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버터의 효능 ^^

빠다 좋앙 조회수 : 7,794
작성일 : 2018-04-07 12:34:27

닭고기를 먹던 등심을 먹든 버터에 녹인거에 구우면 구수하죠 ㅎㅎ



동물성 지방, 버터의 반전 
동물성 지방에 대한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 사실 버터는 몸에 좋은 음식입니다.


다수의 전문가들이 천연버터를 통해 지방을 섭취하라고 권할 만큼,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우선 비타민A, 비타민B, 셀레늄 등 항산화제 역할을 하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듬뿍 들어있고,

‘레시틴’이라는 성분은 혈관에 쌓이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분해하기도 합니다.


또한, 버터의 60%를 차지하는 포화 지방산은 분자 길이가 짧은 지방산들로 이루어져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음식들과 함께 먹으면 마그네슘, 칼슘, 비타민B군 및 지용성 비타민A, D, E, K, 아미노산 등의 영양분 흡수를 도와 신진대사를 높여줍니다.

특히 ‘라우르산’은 면역력 강화, 다이어트, 항균, 항염 등의 효능을 갖고 있고, ‘올레인산’은 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필수지방산인 ‘리놀산’도 버터에 함유된 좋은 지방의 하나이죠.
우리는 그동안 ‘심장병의 주범’이라는 오해로, 오랜 시간 몸의 보약과도 같은 지방을 멀리하고 있었던 거죠.

식물성 지방의 변신, 트랜스 지방
동물성 지방을 버리고 선택했던 식물성 지방. 그럼, 식물성 지방은 동물성 지방보다 나은 걸까요?
불포화 지방산이 많은 식물성 지방은 포화 지방과는 반대로, 혈관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좋은 지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실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식물성 지방은 동물성 지방에 비해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 고체상태로 가공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과정에서 식물성 지방은 나쁜 지방의 대명사이자 ‘우리 몸의 보이지 않는 암살자’, 트랜스 지방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이 트랜스지방은 불포화 지방이지만 사람의 혈관에서는 포화 지방처럼 작용합니다. 더구나 이런 트랜스지방이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은 포화 지방보다 더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하버드의대가 1999년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콜레스테롤과 관련한 트랜스 지방의 악영향은 포화 지방의 무려 2배에 달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버터 대용으로 사용하는 마가린, 라면이나 각종 튀김에 사용되는 팜유, 쇼트닝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죠.

버터의 대안, 마가린?
버터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과 원유 부족문제로 한동안 버터를 대체할 것을 찾던 중 만들어진 것이 바로 마가린입니다. 마가린의 우유 성분은 5%이하로, 식물성 지방에 수소를 첨가하여 고체화시킨 것이죠. 여기에 버터의 맛을 내기 위해 비타민A와 D, 그리고 소금과 색소를 더했고, 정제 및 경화 과정에서 트랜스 지방산이 생성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마가린에는 버터보다 콜레스테롤이 낮은 장점이 있지만, 대신 트랜스지방이 많은 단점이 있습니다. 버터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보존기간이 길며, 음식에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할 수 있지만 그 향과 풍미는 버터보다 떨어지고 트랜스지방이 있다는 부분! 마가린을 드실 때 참고하심 좋겠죠?

아는 만큼 안심하고 즐기는 버터 
아직도 버터를 먹는 일이 걱정되시나요? 그런 여러분을 안심시켜 드릴 또 하나의 사실!
사실, 음식섭취를 통해 생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혈중 콜레스테롤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적정량의 2/3가 간에서 직접 생성되고, 고작 1/3을 우리가 음식으로 섭취하기 때문이죠. 음식으로 콜레스테롤을 많이 섭취하면 간에서 적게 만들어지고, 우리가 적게 섭취하면 많이 만들어 내는 식입니다.

같은 원리로, 버터에 들어있는 포화 지방을 섭취하는 것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해요. 그 이유는 버터에 함유된 포화 지방의 구조가 간단해서 바로 간으로 보내지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하면, 버터와 같이 분자 길이가 짧은 포화 지방산은 인체에 남지 않고 모두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더불어 원래 인체에 쌓여있던 지방산까지 같이 태워서 에너지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얘기죠.
그러니까 몸에 이로운 지방이라면 충분히 섭취해주는 게 좋겠죠? 다만, 식물성 지방이 산화된 형태는 몸에 가장 해롭다고 하니, 꼭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식품이든 과하게 섭취해서 좋을 건 하나도 없겠죠? 무엇이든 적당히!
그리고, 깨끗한 천연 버터를 찾으실 땐 비타민A, D, 단백질, 칼슘, 인과 유지방이 80%

IP : 122.36.xxx.12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4.7 1:01 PM (203.238.xxx.100)

    저도 요즘 그래서 좋은버터 먹고있어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 2. 좋은
    '18.4.7 1:33 PM (61.78.xxx.132)

    좋은버터 먹고픈데
    어떤게 좋나요?

  • 3. ㅇㅇ
    '18.4.7 1:34 PM (115.139.xxx.144)

    오늘 아침에 버터 먹었는데 잘했네요 ㅎㅎ

  • 4. 앗~
    '18.4.7 1:54 PM (180.230.xxx.96)

    그래요?
    버터를 이젠 맘놓고 먹을수 있겠네요 ㅎㅎ

  • 5. 당산사람
    '18.4.7 1:57 PM (59.5.xxx.73)

    근데 이렇게 건강하게 먹으려면 고기나 우유 등 다른 지방을 먹지 않은 상태에서 천연 버터만 먹어야돼요.
    고기도 먹고 우유도 먹고, 다른 인스턴트 음식도 먹으면서 천연 버터도 먹는 거라면 오히려 지방과다로 해가 되죠.

  • 6. happ
    '18.4.7 2:04 PM (122.45.xxx.28)

    글쎄요 일단 태우지 않고 먹어야 하지 않나요?
    고기를 익히고 발라먹는 거랑 버터랑 태우며 굽는거랑
    다르다고 아는데요.

  • 7. 다큐멘터리
    '18.4.7 2:05 PM (223.62.xxx.200) - 삭제된댓글

    길어서 다는 못 읽었어요.
    풀!만! 먹인 소에서 나온 우유로 만든 버터가 원글에 해당하는 버터로 알고 있어요.
    옥수수나 곡물 사료 먹여 키운 소에서 나오는 버터는 소용없고요.

  • 8. ㅇㅇ
    '18.4.7 3:53 PM (122.36.xxx.122)

    천연 버터만 먹어야돼요.

    -->> 파스퇴르에서 나온 버터는 천연버터 아닌가요?

  • 9. ......
    '18.4.7 4:52 PM (125.136.xxx.121)

    가끔씩 먹으면되지요. 우리가 3끼다 버터 먹을일이 얼마나 있을까 싶네요

  • 10. 맞음
    '18.4.7 5:42 PM (68.172.xxx.216)

    풀만 먹인 소 버터만 해당돼요.
    BBC 다큐멘터리에서 봤어요.
    그렇지 않은 경우 좋지 않은 오메가 6가 많고 좋은 오메가 3는
    적어서 몸에서 배출되지 않아 살찐다고요.

  • 11. 윗님
    '18.4.7 8:10 PM (175.213.xxx.182)

    풀만 먹인 소는 어떻게 알수 있죠?

  • 12. 늑대와치타
    '18.4.7 8:41 PM (42.82.xxx.244)

    좋아썽! 내일 닭도리 할때 애벌구이는 버터로 하겠당 으하하하.

  • 13. 나옹
    '18.4.7 10:13 PM (39.117.xxx.187)

    우리나라 버터들 서울우유꺼말곤 다 가공버터라고 써있어요. 사실때 유지방 100% 확인하고 사시면 돼요.

  • 14. 맞음
    '18.4.8 10:54 AM (68.172.xxx.216)

    저는 외국이라서 보통 포장지에 표기되어 있어요.
    "grass fed"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7690 무도 특별방송 너무 좋네요~^^ 7 ... 2018/04/07 2,344
797689 정윤희 아줌마 지금으로치면 송혜교정도인가요? 40 .. 2018/04/07 7,417
797688 양반들 리그 옹호한 정약용 11 정약용실망 2018/04/07 1,691
797687 [청원]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를 청원합니다 2 ... 2018/04/07 435
797686 내일 4월 8일 벚꽃 보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5 xeon 2018/04/07 1,568
797685 초밥 간장 어디에 찍나요? 10 초밥 2018/04/07 3,912
797684 자꾸 이상한 문자가 오는데요 2 ㅇㅇ 2018/04/07 1,165
797683 주식 하시는분들 12 주식 2018/04/07 4,999
797682 치킨 얼마에 한번 시켜먹나요? 18 ... 2018/04/07 5,333
797681 바나나걸이에 걸어두면 8 싱싱함이 2018/04/07 3,075
797680 52살도 살빼면 예뻐지나요? 20 코트 2018/04/07 8,122
797679 갑자기 단문성글이 왜케... 6 ㅡㅡ 2018/04/07 1,174
797678 손뜨개수세미 1 항상봄 2018/04/07 1,672
797677 감기후 냄새 8 ... 2018/04/07 1,910
797676 동그랑땡 어느 부위로 하세요? 3 .. 2018/04/07 1,503
797675 밖에 오지게 추워요 한겨울 패딩봤어요 15 추위 2018/04/07 6,071
797674 고등학생의 기숙사생활은 어떤가요? 5 .. 2018/04/07 2,599
797673 1회용품 줄이려고 2 저는 2018/04/07 1,007
797672 김감독 그날,바다..예매좀해주세요 16 세월호 2018/04/07 2,647
797671 혜경궁 김씨 경기록 .jpg 10 어흑 2018/04/07 3,362
797670 대장금 재방보는데 15년전에 만든건데도 전혀 촌스러움이 없네요.. 4 ... 2018/04/07 1,731
797669 하겐다즈 - 후쿠시마근처 공장관련 6 뚱뚱이지름길.. 2018/04/07 7,813
797668 이런 고구마 썩은걸까요? 1 ㅡㅡ 2018/04/07 1,175
797667 미국여행시 현금vs 카드? 3 화창한 날 2018/04/07 2,222
797666 아파트앞 성당?에서 큰개여러마리를 키워요 3 봄봄 2018/04/07 1,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