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입을 겪어보신 부모님들께 자문구합니다

준빠 조회수 : 2,956
작성일 : 2018-04-06 10:38:33
여아 초2구요
7세부터 씨매쓰를 다녔어요
여아라 어릴때부터 수학적인 감각을 키워보고자
시키긴했는데요
입체도형부분 나오니까 애가 헤매기시작하고
사실 저도 어렵긴하더라구요
애한테 이런것까지 시켜야하나 싶기도하고 ㅠ
3학년부터 그냥 일반학원수학을 보내서
기본만 다져줄까하는데
창의수학쪽 내려놓아도 될까요?
IP : 115.137.xxx.152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가장 큰도움이요
    '18.4.6 10:42 AM (116.36.xxx.35)

    그때 그런교육이 큰 밑거름 된거같아요

  • 2.
    '18.4.6 10:44 AM (211.204.xxx.23)

    초2면 당연히 어려워하죠.
    학년이 올라가면 이해력이 나아지죠
    형편이 된다면 창의수학 하시구요
    아니면..

  • 3.
    '18.4.6 10:54 AM (180.224.xxx.210)

    그냥 꾸준히 천천히 가르쳐야 할 아이로 보여요.

    짧은 글에서 얻는 단편적 정보라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진 몰라도요.
    글 쓰신 것만으로 느끼기엔 냉정하게 수학적 재능이 아주 뛰어난 건 아닌 듯 해요.

    보통 수학적 재능이 좀 있는 아이들이 도형에 강하다고 하고, 여아들이 상대적으로 도형에 좀 약하다고도 하죠.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아직 어리고 테스트도 없이 판단하긴 어렵지만요.

    다만, 만약 수학적 재능이 뛰어나지 않은데도 계속 수학 쪽으로 밀어부치다 보면 자칫 수학을 싫어하게 될 수도 있어요.

    고등 문과 수학 정도는 꾸준한 노력으로도 극복 가능하거든요.

    하지만 지나친 선행 등의 압박으로 수학에 흥미를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도 많아서 그러느니 천천히 가는 것도 나쁘진 않다는 거죠.

    이런 말을 아이가 중학생 정도라도 못받아들이고 조급하게 생각하시다 고등 가서 땅을 치고 후회하는 경우도 많아요.

  • 4. 수학감 좋은
    '18.4.6 10:56 AM (211.201.xxx.27) - 삭제된댓글

    애들은 어려도 입체도형정도에 어려움이 없어요
    아주 잘풀죠
    그런데 사고력 어렸을때 굳이 안해도되요
    기본 착실히 차근차근 다져서 수학자신감을 키워야해요
    특히 여자애들 이거한번 놓치면 고학년부터 수포자의 길로 들어서죠..
    쉽고 즐거운 수학을 해야지 재미가 생깁니다
    벌써 좌절을 느낀다면 절대 안되요

  • 5. 필요성?
    '18.4.6 10:56 AM (115.136.xxx.173) - 삭제된댓글

    우리 애 도형 진짜 못했는데
    문과지만 강남권 고등학교
    수학 전교권이에요.
    도형이 고등학교 수학에서
    그렇게나 중요하진 않아요.

  • 6. 준빠
    '18.4.6 11:01 AM (115.137.xxx.152)

    피같은 말씀들 다 감사합니다
    수학적 감각 부모 모두 없고요 ㅎ
    둘다 공간지각능력도 제로예요
    쉬운수학 (교과서)으로 젭근해서 자신감 불어주고싶네요

  • 7. ....
    '18.4.6 11:02 AM (119.69.xxx.115)

    문과는 전국단위 1등급 가능...
    이과는 아마 등급받기힘들죠.. 이과형은 아니라는 말이에요.

  • 8. ㅎㅎ
    '18.4.6 11:03 AM (116.36.xxx.35)

    첫댓글예요
    다 각자의 경험에서 조언이겠죠
    크게 열심히 공부 안했고.ㅋ 이런소리하면 엄마가 자기들 얼마나 열심히 한거 아냐고 하갰지만..
    셋다 연고대는 갔어요
    그학교 간 다른애들 대비 덜 노력한거.
    유치원 초등 저학년때 오르다. 시메쓰..이런 놀이수학 했거든요. 그래서 한 얘기예요.
    아래댓글들보니 어려서 질리면 역효과. 뭐 그럴수도 있겠네요

  • 9. ....
    '18.4.6 11:03 AM (119.69.xxx.115)

    일반수학학원에서 제 학년것만해도 문과수학1등급 당연히 가능합니다. 수포자 안 만드는 게 젤 중요한 거 같아요

  • 10. 유리지
    '18.4.6 11:06 AM (115.136.xxx.173) - 삭제된댓글

    우리 조카 초등 때 대치동 창의력 수학 탑급.
    고3때 수능수학 3등급 받고 대학 겨우감.

  • 11. 첨언
    '18.4.6 11:06 AM (115.136.xxx.173) - 삭제된댓글

    우리 조카 초등 때 대치동 창의력 수학 탑급.
    고3때 수능수학 3등급 받고 대학 겨우감.

  • 12. 잘 못하면
    '18.4.6 11:09 AM (118.219.xxx.45)

    수포자 만들어요.
    그런 문제만 봐도 눈이 뱅글뱅글..ㅠㅠ

    수학감 있는 큰애..도움 받았고
    수학감 그냥그런 작은애..안 보냈어요. 힘들어 할 것 뻔하고 돈 아까워요. 수학은 현재진도에 맞춰 천천히 가르치는데 학교시험은 거의 다 맞는편이예요.

  • 13. 그러니까요
    '18.4.6 11:11 AM (180.224.xxx.210) - 삭제된댓글

    문과 수학 정도는 도형 못해도 극복 가능하다고요.
    하지만, 이과 수학은 도형 못하면 힘들어요.

    이과 갔다가 수학 가형 힘들어 3.4등급 받던 아이들이 고3때나 재수할 때 1등급 받으려고 나형으로 돌리고 실지로 그렇게 받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물론 초등 저학년이라 뭔가 길을 한정하는 건 당연히 좋지 않아요.

    하지만, 요즘 아이들 어릴 때 은물이니 가베니 창의수학이니 영재원이니 안 다니는 아이들이 어디 있나요?
    전국 모든 아이들이 거의 다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등 되면 왜 그 중 수많은 아이들이 수포자가 되는 걸까요?

  • 14. 그러니까요
    '18.4.6 11:13 AM (180.224.xxx.210)

    문과 수학 정도는 도형 못해도 극복 가능하다고요.
    하지만, 이과 수학은 도형 못하면 힘들어요.

    이과 갔다가 수학 가형 힘들어 3.4등급 받던 아이들이 고3때나 재수할 때 1등급 받으려고 나형으로 돌리고 실지로 그렇게 받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물론 초등 저학년이라 뭔가 길을 한정하는 건 당연히 좋지 않아요.

    하지만, 요즘 아이들 어릴 때 은물이니 가베니 창의수학이니 영재원이니 안 다니는 아이들이 어디 있나요?
    전국 모든 아이들이 거의 다 다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등 되면 왜 그 중 수많은 아이들이 수포자가 되는 걸까요?

  • 15. 제가 봤을땐
    '18.4.6 11:27 AM (103.229.xxx.4)

    따님 적성이 문과라서 문과 보낼거면 , 위에 많은 분들이 말씀하신 대로, 나중에도 극복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과 갈거면, 도형은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요. 방법론적인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미리 해 두시는게 좋을것도 같아요..

  • 16. ...
    '18.4.6 11:42 AM (118.219.xxx.142)

    수학잘하는 문과성향의 딸아이 초등때 그런수업듣고 학을떼서
    그후로는 수학과학(아니 과학까지 왜!!!) 싫어합니다
    싫어하는데 또 성적은 괜찮아요 ㅠㅠ
    그래서인지 대학진학할때 공대는 완전제껴놓고 생각하네요(거기에다가 이과를 갔어요 도대체 왜!!!!)

    결론은 아직 어리니깐 나중에 고학년이 되면 그때 생각해도 늦지않아요

  • 17. 봄이온다
    '18.4.6 12:36 PM (124.111.xxx.62)

    어쨌든

    고등학교 내내 엄마가 달고 살아야 말은

    '수학은 포기하면 안된다, 점수가 안 나와도 실망하지 말자, 수능 날까지 끝까지 한다.' 입니다!!

    국, 영, 수 세과목이 골고루 나와줘야 대학교 선택에 절대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18.
    '18.4.6 12:39 PM (175.223.xxx.80) - 삭제된댓글

    이과 수학 초등도형하고 무슨 상관있나요?
    시고력 수학으로 초등 때 대치동서 날리던
    아는 아이 수능수학 3등급 받고 대학 겨우 갔어요.
    문제 유형 파악하고 같은 유형 문제 수천번 반복하는게 수학점수 올리는 길이죠.

  • 19.
    '18.4.6 12:46 PM (175.223.xxx.80) - 삭제된댓글

    이과 수학 초등도형하고 무슨 상관있나요?
    시고력 수학으로 초등 때 대치동서 날리던
    아는 아이 수능수학 3등급 받고 대학 겨우 갔어요.
    고등 때 문제 유형 파악하고 같은 유형 문제 수천번 반복하는게 수학점수 올리는 길이죠.
    현행하다가 살짝 살짝 선행해서 중학교 가기전에 중학교 거 끝내면 됩니다. 결국 선행하면 다 풀 수 있는 문제예요. 초 저학년 때는 현행하고요.
    중학교1 때 수학 빡세게 하면 자율학기제니까 해결 되는 거죠.

  • 20. 음님
    '18.4.6 1:19 PM (206.225.xxx.195)

    큰일 날 소리 하시네요.
    공부도 재능이듯 특히 수학은 소질이 있어야 돼요.
    그렇게 시켜서 될 것 같으면 위에 어떤 님 말씀대로 아이들 수학학원 안 다니는 아이들 없을테고, 수학과외 안 받는 아이 없을텐데 왜 누구는 1등급이고 누구는 9등급인가요.
    음, 9등급이야 진짜 공부를 안 한 것일테니, 한 5등급 정도까지라고 하죠.
    주변에 수학선생 아이들 중에 수포자들 좀 봤어요. 왜 그럴까요?

  • 21. 경험자
    '18.4.6 1:43 PM (114.205.xxx.104) - 삭제된댓글

    애 3명 대학보냈습니다. 첫 애가 수학을 잘 했고 조기졸업하고 대학갔습니다. 셋째까지 비슷하게 키우면 되는 걸로 생각하고 유사한 코스를 밟았는데, 그러지 말아야 했습니다..받아들일 수준이 안 되면 아니함만 못한 것 같습니다. 저 위의 댓글이 맞습니다.
    ㅡㅡㅡㅡ
    다만, 만약 수학적 재능이 뛰어나지 않은데도 계속 수학 쪽으로 밀어부치다 보면 자칫 수학을 싫어하게 될 수도 있어요. 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7334 공기청정기 렌탈이 사는거 보다 나은가요? 6 ㅇㅇ 2018/04/06 2,287
797333 민주당 내부에도 반대세력이 있어야 건강해진다??? 6 춘몽 2018/04/06 687
797332 정봉주와 양승동, 그리고 신경민 4 길벗1 2018/04/06 1,249
797331 민주당에 국민의 뜻을 알립시다 (연락처 모음) 4 연락처 2018/04/06 806
797330 실내운동으로 스텝퍼 어떤가요~??^^ 8 흠흠 2018/04/06 2,506
797329 현재 법원 앞 상황 4 ..... 2018/04/06 1,949
797328 정해인 보다보니 4 꺄꺄 2018/04/06 2,175
797327 닭가슴살 쉐이크 포만감이 엄청나네요*.* 4 미세먼지비켜.. 2018/04/06 1,787
797326 서울에 젊은 애들 별로 없는 분위기 좋은 카페 어디 없나요? 3 카페 2018/04/06 1,466
797325 미간, 이마보톡스 유지 기간이 얼마나 돼나요? 9 ㅇㅇㅇ 2018/04/06 8,780
797324 MBC뉴스특보 ㅡ박그네 1심 선고 9 기레기아웃 2018/04/06 2,140
797323 실내에서도 마스크 껴야되죠?지금상태요? 1 위험수준 2018/04/06 1,514
797322 이낙연 총리 “사람들은 신문의 ‘순종적 수용자’ 아니다” 7 저녁숲 2018/04/06 1,314
797321 퀼트배우는것 어렵나요? 6 왕초보 2018/04/06 1,553
797320 이읍읍 아니면 남경필 못 이긴다??? 16 춘몽 2018/04/06 1,390
797319 혜경궁 관련 인스타 댓글들 정말 삭제했네요. 1 ..... 2018/04/06 1,342
797318 골프장 부킹이 무슨 뜻이에요? 6 2018/04/06 10,577
797317 기사 : '깜깜이' 오명 학종전형, 연세대 등 가이드라인 첫 공.. 5 정시확대 2018/04/06 1,437
797316 돈 안드는 취미 갖고 계신 주부님들 계신가요? 17 취미 2018/04/06 6,511
797315 5-6세 아이있는 집 고양이 키워도 될까요? 8 흐음 2018/04/06 1,783
797314 (Live) 박근혜 1심 재판 생방송 4 뉴스타파 2018/04/06 1,263
797313 2000년생 아이들 머리가 좋은편인가요 15 고3맘 2018/04/06 3,640
797312 그랜저 11년차 앞유리에서 물이 샙니다 11 유리 2018/04/06 1,983
797311 08_hkkim ,그리고 프레임 10 ... 2018/04/06 1,274
797310 민주당에 전화하니 심드렁하네요 5 ㅇㅇ 2018/04/06 1,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