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교육제도로는

열받은학부모 조회수 : 988
작성일 : 2018-04-01 23:45:43
1.특목고 지원
2.떨어지면 낙동강 오리알 신세니, 어쩔수 없이 유학.

결론은 유학갈수있는 부유한 자녀들 위주로 특목가겠죠.

이런 집안되고,공부잘하는 학생 뽑고싶은 스카이는.

수능최저 없애서, 어서옵쇼~~~하며 두팔벌려환영.

학종확대해서 뽑고싶은 애들 맘껏 못뽑는 대신,
확실하게 특목애들은 뽑게해줄께.약속.


IP : 220.75.xxx.14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빡친이
    '18.4.2 12:08 AM (211.199.xxx.85) - 삭제된댓글

    정말 기분 나뿐 교육부입니다.
    정시확대 한다고 하지를 말지 주정대시확대한다고 해놓고 뚜껑 열어보니 정시축소내요.
    누굴 바보로 아나. 국민 개무시 하고 가지고 노네요.
    곧 선거라 앞에선 국민 의견 듣는것처럼 하고 뒤로는 원래 자기들 주장대로 밀어부치네요. 정말 개무시당한 기분입니다. 저도 문재인 정권 지지했는데 전정권과 똑같네요. 아 기분 정말 더럽다.

  • 2. 하아
    '18.4.2 12:46 AM (211.245.xxx.178) - 삭제된댓글

    지금 입시가 혼란스러운건 맞지만 그래도 입시 결과보면 잘하는 애들이 좋은 대학가는건 맞습니다.
    지금 교육부 처사가 맘에 안들지만 이걸로 전정권과 똑같다고 할건 아닙니다.
    입시 제도가 단 한번이라도 만족시킨적은 없지만 그래도 잘하는 애가 좋은 대학가는건 불변이지요.
    지금 입시판이 혼란스럽고 내신 나쁜데 좋은데 같다더라도 결과를 보면 잘하는 애들 귀신같이 뽑아갔어요.
    대학들이 등신인가요. 대학 순위 정하기가 얼마나 어려운데 순위 쳐지고 뒤집힐 짓거리를 하겠어요.
    내신이란것도 전과목합인지 주요과목(웃긴 말이기는 하지만, 국영수 위주에 탐구과목까지)만의 내신인지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오구요.또 내신이 오르는 중인지 내려가는중인지에 따라서도 또 결과가 다르구요.입시란게 그냥 우리 눈에 보이는게 다가 아닐겝니다. 대학도 등신아닌데 아무리 학종이라도,최저 없다고 실력없고 얼토당토 않은 아이들을 데려가지는 않을거예요.
    전 정권과 똑같다니 그건 아닌듯합니다.

  • 3. 하아
    '18.4.2 12:48 AM (211.245.xxx.178) - 삭제된댓글

    대학 순위 정하기가 아니라, 정해지기가

  • 4. 아니요
    '18.4.2 12:59 AM (211.201.xxx.27) - 삭제된댓글

    이제 알았어요
    전정권이든 이번정권이든 궤를 같이하는걸로

  • 5. 허허
    '18.4.2 6:06 AM (61.75.xxx.30)

    입시 치룬 엄마입니다.
    '그래도 잘하는 아이가 대학가더라'
    이 말이 상처가 됩니다.
    지금 입시는 고등학교 선택에에서 이미 반 이상이 결정납니다.
    내신 치열한 학교 갔다가는...

    전교생 중 달랑 10명 정도만 공부하는 학교도 있구요...

  • 6. 허허
    '18.4.2 6:08 AM (61.75.xxx.30)

    요 며칠 교육부, 이 정권에 더 화가 나네요.

    믿었기에요

  • 7.
    '18.4.2 6:54 AM (175.116.xxx.169)

    하아라는 사람은 어디 별나라서 살다 왔어요?

    자기 자식이 공부 안되다가 갑자기 좋은 대학 갔나봐요?

    주변에 보니 실력대로 가긴 커녕 엄마의 정보력과 돈다발 컨설팅으로
    대학 서너 계단이 확확 바뀌더군요

    이게 대입시에요? 그냥 시험 장사라고 하시죠

  • 8. 현정권
    '18.4.2 7:10 AM (211.248.xxx.147)

    현정권 지지하지만 김상곤교육부장관의 불통과 고집스러움 무소통에 화가 나요. 그리고 이번 연대꼼수는 정말 비열하고 국민을 우롱하는것같아서 더 화가나요. 그 뒷배에 교육부가 있지 않기를 바랍니다.

  • 9. 하아
    '18.4.2 7:26 AM (211.245.xxx.178) - 삭제된댓글

    전 수시와 상관없습니다.
    입시 두번 치뤘고 지금 재수중인 아이도 먼저 보낸 아이도 정시로 보냈고 정시 준비중입니다.
    저야말로 정시 확대를 부르짖는 사람이지만, 전 정권과 비교한다는게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아무리 입시가 맘에 안든다고 쥐닥세상을요?
    김상곤을 내리는데 힘쓰는게 낫지 전정권과 똑같다니요.
    전 지난 정권이 너무 끔찍해서요.

  • 10. 하아
    '18.4.2 7:37 AM (211.245.xxx.178) - 삭제된댓글

    그리고 허허님.
    저도 큰애 내신 치열한 학교 나왔습니다.
    지난 시험 내신 1등급이었어도 잠깐 방심하면 바로 5등급도 나오는.
    학생수도 적어서 졸업때 이과 1등급대 받은 애가 전교에 한명이었어요. 당연히 우리애는 아니구요.
    내신받기 힘든 학교의 실상은 저도 잘 압니다. 전국에서 오는 아이들이 전원 기숙사 생활하던 학교였구요.
    그래서 일찌감치 정시 준비했고 정시의 필요성도 외치구요.
    둘째는 또 공부라면 학을 떼는 아이라서 성적 낮은 아이들이,내신 바닥인 아이들이 갈데 없다는것도 너무 잘 알구요.
    저위 님이 성적 안되다가 높은데 갔냐는데, 우리애 성적으로는 꿈도 안꿉니다. 수시로 갈수도 없는 내신이거든요.
    저만큼 정시가 간절한 사람이 있을까요?

  • 11. 교육부는
    '18.4.2 8:24 AM (211.201.xxx.27) - 삭제된댓글

    여야가 따로 없나봐요
    다같은 적폐
    국민은 개돼지로 아는 그런 관료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7877 여자친구가 100명이든, 남자친구가 100명이든 5 oo 2018/04/08 1,621
797876 20년 된 건물 사는거 스튜핏? 4 20 2018/04/08 3,075
797875 살이 쪗어요! ㅎ 1 ... 2018/04/08 1,250
797874 김치찌개는 끓이면 자꾸 먹고 싶어요 5 두부 2018/04/08 1,953
797873 어제 엠팍에 노선영비난글.. 15 ㅇㅈ 2018/04/08 4,917
797872 트위터 08_hkkim 계정 실소유자는 누구입니까? 2 새로운질문 .. 2018/04/08 899
797871 과외샘 외제차.. 9 2018/04/08 6,150
797870 4살배기와 엄마 자살한거 24 .... 2018/04/08 18,774
797869 꿈에 개가 나왔는데 6 eel 2018/04/08 1,578
797868 중고생 남자애들 의류 브랜드 추천해 주세요. 2 .. 2018/04/08 1,455
797867 고등아이 인삼도 홍삼처럼 좋을까요? 3 고혈압엔 안.. 2018/04/08 969
797866 방광염에 먹을약(양약) 좀 추천해주세요(급) 9 00 2018/04/08 1,784
797865 하루 몇시간 자야 개운한가요 5 ㆍㆍ 2018/04/08 2,372
797864 전지현은 몸매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15 청계산다람쥐.. 2018/04/08 10,002
797863 한달간 따뜻한 물 4잔 실험중이예요 7 아침 공복 2018/04/08 6,490
797862 다큐같은 전국노래자랑 ^^ 2018/04/08 772
797861 고2 중간에 선택과목 변경? 6 ... 2018/04/08 2,421
797860 오십대 중반 엄마 가방 선물 27 bag 2018/04/08 12,348
797859 머리를 와인색나 레드계열 염색 염색 2018/04/08 723
797858 초등생 낼 신체검사라는데 애들이 놀릴까봐 우울해하네요ㅜ 7 또야 2018/04/08 2,229
797857 곡물식빵 실패한다는 사람인데요. (끌올) 8 어제 2018/04/08 1,532
797856 여섯다리만 건너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10 tree1 2018/04/08 2,842
797855 냉동꽃게도 맛이 괜찮네요 10 꽃게된장찌개.. 2018/04/08 2,491
797854 자한당은 블랙하우스를 폐지하라고 발광 5 richwo.. 2018/04/08 1,555
797853 간단한 아침 메뉴 8 2018/04/08 2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