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 엥겔지수 17년만에 최고네요`

ㅗㅗ 조회수 : 4,287
작성일 : 2018-02-20 17:50:19

그 만큼 먹는 물가가 비싸다는 애기죠.

또, 소득이 늘지 않고, 소득 증가율보다  물가상승율이 훨 높다는 애기.

2017년 기준으로 13.8%로 14% 에 육박` 2000년 이후 최고 수준`

IP : 218.51.xxx.239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무성의
    '18.2.20 5:53 PM (223.62.xxx.140) - 삭제된댓글

    최소 근거 자료는 첨부해야..
    아 물론 엥겔지수 높은거 체감은 합니다.

  • 2. 기사 봤는데
    '18.2.20 5:55 PM (115.140.xxx.215) - 삭제된댓글

    작년 1,2,3분기 결과이고
    그리고 재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0.3% 올랐던데 최고라는 수식어는 좀 자극적인거 같아요.
    2011년에 13% 찍은 후에 계속 상승세이긴 하죠.

  • 3. 원글
    '18.2.20 5:56 PM (218.51.xxx.239)

    http://www.ytn.co.kr/_ln/0102_201802201634291541
    첨부합니다. 여러 뉴스에 나왔기에`

  • 4. ㅇㅇㅇ
    '18.2.20 6:00 PM (203.251.xxx.119)

    그런데도 해외여행은 역대 사상최다

  • 5. 원글
    '18.2.20 6:00 PM (218.51.xxx.239)

    0.3% 면 엄청난 겁니다. 국내 소비지출이 조사 중인 기간중에 573 조이고 이중 먹거리 지출이
    약 79 조니까요.

  • 6. .....
    '18.2.20 6:00 PM (211.49.xxx.157) - 삭제된댓글

    우린 25%는 되는 것 같아요.
    예전엔 고물가 중에도 저렴한 식료품도 있다 싶었는데
    요즘은 저렴한 것이 없잖아요.

  • 7. ....
    '18.2.20 6:01 PM (211.49.xxx.157) - 삭제된댓글

    우린 20~25%는 되는 것 같아요.
    예전엔 고물가 중에도 저렴한 식료품도 있다 싶었는데
    요즘은 저렴한 것이 없잖아요.

  • 8. 원글
    '18.2.20 6:03 PM (218.51.xxx.239)

    먹거리 지출이 통계대로 14% 선인 집은 굉장히 적을겁니다.
    통계는 통계일 뿐이고 실상은 훨 높죠.
    엥겔지수가 낮을수록 더 나은 사회환경이 될 텐데요. 아쉽죠.
    안 먹고 , 최소한으로 먹고 살 수도 없는지라`

  • 9. 엥겔이 어느시대사람인가요
    '18.2.20 6:03 PM (211.177.xxx.4)

    맹모삼천이 요즘교육에 해당없듯 엥겔처럼 빵만 먹고 살던 시절 아니고 브런치 한번이면 쌀 한가마값 훅 나가는 요즘세상에 적용하는 건 무리죠.

  • 10. 샬랄라
    '18.2.20 6:06 PM (211.36.xxx.50)

    몇 달만에 많이 바뀌는 숫자가 아닙니다

  • 11. 원글
    '18.2.20 6:07 PM (218.51.xxx.239)

    윗 님 엥겔지수는 한국은행에서 꾸준히 내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통계 중 하나 입니다.

  • 12. 샬랄라
    '18.2.20 6:16 PM (211.36.xxx.50)

    "민간인 댓글 팀장, 실적따라 월 1200만원 정도 받았다" 법정 증언
    http://v.media.daum.net/v/20180130115701018?f=m?rcmd=rn

  • 13. 정말 너무 비싸요
    '18.2.20 6:17 PM (175.116.xxx.169)

    급여는 쥐꼬리 오르고
    장보기 물가는 체감상 서너배는 올랐어요
    식비가 4인 기준 백만원인 집은 보통...

  • 14. 샬랄라
    '18.2.20 6:19 PM (211.36.xxx.50)

    실제로 엥겔계수는 2000년 이후 꾸준히 낮아져 2007년에는 11.8%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2008년 12.0%로 오르면서 상승세로 전환, 2011년 13.0%를 찍고 꼬박꼬박 상승세를 지속하며 14%대 문턱까지 올랐습니다.

    이제 내려가겠네요

    http://v.media.daum.net/v/20180220094133570

  • 15. ...
    '18.2.20 6:21 PM (58.236.xxx.49)

    기레기가 던지면 물어다 여기저기 옮겨놓고..
    국민들 어리석지 않아요.

  • 16. 근데 이게
    '18.2.20 6:24 PM (115.140.xxx.215) - 삭제된댓글

    이미 2011년에 13% 였는데요뭐.
    궁금해서 찾아보니 일본은 25가 넘는다고 하는데,

  • 17. 근데 이게
    '18.2.20 6:32 PM (115.140.xxx.215)

    이미 2011년에 13% 였는데요뭐.
    궁금해서 찾아보니 일본은 25가 넘는다고 하는데

    근데 그러고보니 저도 먹는데는 너무 아낌 없이 쓰긴 하네요. 비싼건 둘째치고
    먹는데는 돈을 아끼지 않는 경향이;;;

  • 18. 그게
    '18.2.20 6:33 PM (119.70.xxx.204)

    장한번보면 10만원기본이긴하죠

  • 19. ㅁㄴㅇ
    '18.2.20 6:40 PM (84.191.xxx.92)

    2000년에는 지금만큼 식재료 가격이 비싸지 않았어요.

    대포항에 가서 광어 3만원 어치 샀더니 해삼, 멍게, 오징어회, 작은 생선 세꼬시회까지 공짜로 주던 시절...
    엘지 초봉이 3200만원 정도 했는데 돈까스가 4000원, 닭한마리칼국수가 1만원 좀 넘었고,
    종로깁밥이라는 체인의 참치김밥, 라볶이 이런 건 2500원이었죠.

    (당시 일본에 갔었는데 일본 식료품비, 외식비가 한국보다 비싸서 아끼면서 살았죠. 돈까스돈부리 500엔이 좀 비싸게 느껴졌던 기억이 나네요)

    그 상태로 2006년까지 급여는 오르고 식료품 물가는 거의 똑같았는데
    이명박근혜 시대가 시작한 2008년에 갑자기 돈까스 하나에 7000원으로 두 배 가까이 비싸졌던 게 기억납니다.
    같은 해에 금융권, 공기업의 초봉이 마구 삭감되더니
    대기업 연봉도 동결된 채 10년이 지나갔네요.

    통계가 어떻게 됐건 한국의 식료품 물가는 지금이 사상최고인 듯.

  • 20. 그러니까요
    '18.2.20 6:43 PM (220.85.xxx.206)

    서민은 살기 힘든나라
    쥐꼬리월급 높은 물가 창렬먹거리

    삼성만 살기 좋은...

  • 21. ㅇㅇ
    '18.2.20 7:30 PM (60.50.xxx.183)

    서민은살기 힘든나라
    삼성만 살기 좋은

  • 22. ㅠㅠ
    '18.2.20 8:18 PM (121.128.xxx.117)

    서민은 살기 힘든 나라
    삼성만 살기 좋은3333333333333

  • 23. 다비싸요.
    '18.2.20 8:56 PM (211.238.xxx.9)

    먹거리 돈 젤많이들어감

  • 24. ....
    '18.2.20 9:39 PM (180.69.xxx.199)

    여기저기서 살아봤는데 우리나라 식료품비용이 제일 많이 들어요. 훨씬 많이요. 기가 막힐 정도에요.
    공산품은 싼 편이네요.

  • 25. 저번달보다
    '18.2.20 10:16 PM (14.75.xxx.29) - 삭제된댓글

    더올랐어요
    파도 사과도 매주사는 품목을 비교해보니
    전달보다 더올랐고요
    공산품도 곧오른다고 소문들리던데
    제발헛소문이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5180 포탈사이트 음란광고 규제 청원입니다 7 . . 2018/03/02 659
785179 명지전문대 연영과 교수진 .. 2018/03/02 1,775
785178 오달수 편드는 분들 이거 좀 보시고요 4 ㅇㄹㅎ 2018/03/02 3,943
785177 역시 집안에 솥뚜껑 운전수는 6 .. 2018/03/02 3,352
785176 남자한테 복수 25 ... 2018/03/02 8,276
785175 분해서 잠을 못 자겠어요. 9 2018/03/02 6,898
785174 속초에 사는거 어떤가요..? 3 속초 살기 2018/03/02 3,256
785173 포켓커피 드셔보신분? 6 ㅇㅇ 2018/03/02 2,035
785172 통조림햄 뚜껑손잡이가 빠졌어요. 교환되나요? 2 2018/03/02 2,394
785171 충남지역 지방의회 의원 209명의 명단 입니다. 2 탱자 2018/03/02 1,336
785170 뒤척이다 도저히 안되겠어서 일어났어요 2 Dx 2018/03/02 2,335
785169 수호랑, IOC 선정 매력적 마스코트 1위. 8 .. 2018/03/02 4,098
785168 잘하는게 없어서 우울한데요. . 13 ㅇㅇ 2018/03/02 4,654
785167 고은시인은 인정하고 더이상 추접스럽게 굴지마라 17 기회주의자 2018/03/02 5,393
785166 이번 평창 올림픽 패딩 jpg 10 이럴수가 2018/03/02 6,106
785165 가지나물 너무 푹 불렸나봐요;; 이후 과정 해야할까요ㅠㅠㅠㅠ 13 2018/03/02 1,771
785164 마트에서 1 1 상품을 안가져온 경우 4 2018/03/02 2,339
785163 6살 아이와 외국에서 1년간 살다오는 거 어떨까요 18 .. 2018/03/02 3,771
785162 주휴수당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4 알바 2018/03/02 1,287
785161 백화점 근무하시는분 계신가요? 9 고민고민 2018/03/02 3,341
785160 커피를 줄이고 생긴 변화 10 그린빈 2018/03/02 15,328
785159 직장 이런 조건 어떤가요 4 .. 2018/03/02 1,457
785158 자영업자분들 직원뽑을때 팁 좀요. 4 자유게시판 2018/03/02 2,175
785157 심훈의 상록수중 '공상버텀'이란말이 무슨뜻인가요? 8 도움 2018/03/02 2,161
785156 중등 학원정보와 옥석을 가르는 비결은 뭘까요 4 학부모 2018/03/02 1,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