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 금리인상 & 해방후 인플레이션을 떠넘기고간 일본 #믿어요 문재인

조회수 : 1,548
작성일 : 2017-12-19 06:38:02

1. 코스톨라니의 달걀모형

코스톨라니의 달걀모형을 많이들 보셨지요?

※ 이미지 원문 참조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nfull-movement&logNo=2211661769...

금리에 따라 부동산 가격 or 채권 가격 or 주식 가격이 연동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이지요.


2. 미국의 통화팽창, 양적완화는 끝났다. 미국의 금리인상

미국은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달러를 풀어대는 양적완화를 발동했지요. 초저금리로 집값조정을 미룬 이명박근혜 하의 한국처럼 말이지요.
이제 미국은 기형적으로 훅 떨어뜨렸던 기준금리를 슬금슬금 올리고 있습니다.
풀어졌던 달러가 회수되면 세계경제와 한국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미국이 풀었던 달러를 회수할 자신감은 어디서 오는걸까요.


3. 일본인들 때문에 통화남발과 인플레이션을 고통을 겪어야 했던 대한민국

※ 이미지 원문 참조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nfull-movement&logNo=2211661769...
(화질은 조금 나쁘지만, 명동에 소재한 '우리은행 은행사 박물관'에서 찍어온 사진들 입니다.)

우리 선조들은 이미 해방 때 공황에 준하는 금융혼란을 겪어봤습니다.
미국의 핵폭탄 두방으로 해방은 되었지만, 일본인들이 그냥 물러난게 아니었지요.
일본인들은 귀환하면서 예금을 현금으로 인출해갔고, 조선내 일본기업의 부실채권도 급증했지요.

식민지배로 수탈당한 것도 억울한데 우리네 은행들은 일본인들에게 예금인출을 해주느라 현금이 부족해통화남발을 할 수 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맞게 되었습니다.

왜 현금은 일본인의 것이 되고, 인플레이션의 고통은 한국인의 것이 되어야 했던 것 일까요.
게다가 해방 후 미군정의 지출을 보전해주느라 통화남발이 더해져 인플레이션의 강도는 더 심해지게 되었습니다.

나라를 잃고, 나라를 우리 손으로 되찾지 못 했고, 해방조국마저도 분단되었던 슬픔이 경제적으로도 온 것이죠. 대한민국은 아직 독립기념일이 없습니다. 미국이 시켜준 해방의 광복절만 있을 뿐 입니다.

우리의 독립투사들은 독립의 타이밍도, 통일의 타이밍도 놓친 채 한을 쌓아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일본인들의 기업이 도산하고, 일본으로 철수하면서, 부실채권이 급증해서 우리네 은행들까지 파산위기를 맞았었군요.

이렇게 너덜너덜한 상황에서 6.25 전쟁까지 겪었으니 황폐해질 대로 황폐해진 나라에서 다시 경제건설하느라고 애썼던 우리 국민들의 피와 땀과 눈물과 고통으로 가득찬 시간들에 경의를 보냅니다.

그 과실을 이명박근혜가 사욕으로 날름 가로챘으니 법대로 엄중하게 심판받기를 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4. IMF를 극복한 김대중 대통령과 사심없이 나라경제 꾸린 노무현 대통령

우리 국민들은 IMF의 고난도 이겨냈지요.
위의 표를 보시면 한국의 은행들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를 아실 수 있을 것 입니다.
대한민국 전체가 IMF 경제위기 속에서 살아나고자 눈물겨운 노력을 벌였습니다.

IMF의 국난을 대한민국이 대동단결하여 극복할 수 있도록 중심이 되어주신 김대중 대통령님께 무한한 감사를 드립니다.
김대중 대통령님을 이어받아, 수습중인 나라살림을 알뜰하게 잘 운영해주신 노무현 대통령님께도 감사드립니다.


5. 경제에도 무능하고 사심 많았던 이명박근혜

이렇게 힘겹게 되살려놓은 나라살림을 사심으로 거덜내며, 사대강에 쏟아붓고, 부동산 거품은 방치하며, 가계들은 빚으로 허덕이게 만든, 경제적으로도 무능했던 이명박근혜는 지탄받아 마땅하겠습니다. 일전에 경인선 글에서 가계부채를 키운 이명박근혜에 관한 글이 올라온 적도 있었지요.


6. 다시 정상화 시켜줄, 문재인 대통령이 있어서 참 다행입니다.

이명박근혜가 바닥까지 해먹은 나라경제를 다시 정상화시켜줄 문재인 대통령을 맞이해서 참 다행입니다. 전쟁의 아픔을 누구보다 잘 알고, 해방과 전쟁 후의 참담했던 경제상황을 누구보다 잘 아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통수권자라서 정말 다행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한국 가계부채가 지난 9년간 쌓여 폭발 직전이더라도, 대한민국 국민을 최우선 하여 섬기는 유능한 문재인 대통령이 있어서 다행입니다.

우리가 드릴 것은 무한지지 뿐이지만 받아주세요.
끝까지 응원하겠습니다. 우리 이니 하고 싶은거 다해!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nfull-movement&logNo=2211661769...
IP : 175.223.xxx.4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선 리플
    '17.12.19 6:43 AM (121.128.xxx.234)

    후 일독 하겠습니다.

  • 2. ,,,,
    '17.12.19 10:59 AM (203.142.xxx.5)

    본문에서

    화폐는 일본인의 것이 되고 인플레는 조선인의 것이 되었다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인플레가 자산(물건)에 비해 화폐가 많아서 생기는 거잖아요.

    귀국하는 일본인들이 자기 돈을 은행에서 화폐로 인출한 것은 일본으로 가져가기 위해서이고 그러면 그 화폐는 일본으로 갔을텐데(일본은행권으로 환전되었을지 모르나) 왜 인플레가 발생하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1361 천상의 엄마?? 2 어제 2017/12/24 1,114
761360 고속도로 한치앞이 안보이네요 다들 운전조심하셔요! 8 안보여 2017/12/24 3,761
761359 눈을 틔워주는글 추천!! 원글도 댓글도 너무 좋네요 5 강빛 2017/12/24 1,832
761358 진로고민입니다.(영어관련 학과선택) 6 수험생맘 2017/12/24 1,358
761357 명박이가 베스트 문파출첵보면.. 6 ㅅㅈ 2017/12/24 1,007
761356 황교익이 기레기를 멕이는 방법 6 richwo.. 2017/12/24 2,708
761355 코스코 레드벨벳케익 어떤가요? 18 ㅇㅇ 2017/12/24 2,909
761354 제가 너무 욕심이 많은 걸까요? 9 욕심 2017/12/24 3,298
761353 文 정부는 북한식 사회주의 꿈꾼다…고려대에 붙은 대자보 27 ........ 2017/12/24 3,433
761352 그/그녀의 반려자를 보면 그들이 훨씬 잘 보여요 11 만남 2017/12/24 3,735
761351 키177인 한국20대 남자 몇킬로면 보기 좋을까요? 13 몸무게 2017/12/24 3,448
761350 89345명입니다.95000명 갑시다! 8 ㅇㅇ 2017/12/24 990
761349 조선일보 여론 몰이 댓글의 정체 9 ... 2017/12/24 1,449
761348 국민들도 탄저균 백신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세요! 6 ........ 2017/12/24 1,198
761347 보덤 머그 유리컵 대체는 어떤 컵이 있을까요? 4 머그 유리컵.. 2017/12/24 2,416
761346 오늘 두돌아가랑 서울에서 가기좋은곳.. 8 .... 2017/12/24 1,464
761345 영화 남한산성 을 이제서야 봤는데... 2 막눈 2017/12/24 1,929
761344 결혼 안 한 여자는 엄마 되면 안되나요? 7 oo 2017/12/24 3,006
761343 근데 광탈이 뭐죠? 10 빠빠시2 2017/12/24 3,716
761342 ASAP 호신술(자기방어훈련) oo 2017/12/24 479
761341 신경치료 받는중인데 진통제를 먹어도 아파서 힘들어요 5 아파요 2017/12/24 2,718
761340 일본에서 일본의 여행자 보험을 저렴하게 가입하는 방법 2016년.. 5 여행자 2017/12/24 1,087
761339 나는 에너지가 부족하다고 생각되시는 분들 4 에너지 2017/12/24 3,722
761338 좋아하는 사람에겐 3 ... 2017/12/24 1,617
761337 면역력 약한 사람 캘리포니아롤 먹어도 될까요? 2 캘리 2017/12/24 1,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