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 "박근혜, 2015년 12월 '리더십 체인지' 서류에 서명"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2015년 말 이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사고로 가장해 암살하려 했다고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이 26일 복수의 관계자 말을 빌어 보도했다.
특히 이 과정에 국가정보원이 북한 정권 붕괴가 임박했다는 정보를 박 전 대통령에게 집중적으로 제공해 이같은 극단적 강경노선을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져 파장을 예고했다.
26일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2013년 2월 박근혜 정권 출범직후 남북의 정보기관 관계가 악화됐다. 국정원은 비밀접촉을 해온 유경 국가안전보위부(현 국가보위성) 부부장이 2011년초 숙정된 것을 계기로, 북한 보위부와의 관계가 악화됐다.
박근혜 정권은 당초 대결노선에 경도된 국정원을 누르고 북한과의 대화에 의욕을 보였다. 실제로 박 전 대통령은 인도지원과 대화 등을 통해 북한과의 신뢰를 구축하는 '한반도신뢰프로세서'를 제창했다. 이어 2014년 3월 독일에서의 연설을 통해 다양한 남북협력사업을 언급, 긴장완화와 남북대화에 의욕을 보였다.
2015년 여름 지뢰폭발사건의 긴장을 완화시킨 남북합의로 "박 정권 주장의 정당성이 증명됐다"(당시 관계자)면서 정권내 대화 분위기가 고조됐다.
그러나 2015년 12월 남북 당국자회담이 결렬된 후 북한과의 관계가 대결 국면으로 치달으면서 박 전 대통령은 북한의 '리더십 체인지'(지도자 교체)를 목표로 하는 것을 포함한 정책을 승인하는 서류에 서명했다.
국가정보원이 주도한 이 정책의 구체적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김정은의 실각과 망명, 암살 등이 포함됐다. 실제로 김정은의 실각이 이루질 경우 한반도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것을 경계, 한국의 개입으로 이러한 사태가 벌어졌음이 알려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기까지 했다는 것. 당시 김정은 위원장이 타는 자동차나 기차, 수상스키 등을 조작, 사고를 가장하는 방법도 검토했지만 북한의 경계가 엄격해 무산됐다.
이같은 정책 전환에는 2015년 10월 한미 정상회담 때 버락 오바마 당시 미 대통령이 대화를 위해서는 먼저 비핵화를 향한 북한의 행동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대화에 신중한 자세를 보인 것도 주요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북한이 2016년 1월과 9월 핵실험을 실시하면서 박 전 대통령은 김정은의 이름을 거론하며 북한을 비난하기 시작했다.
박 전 대통령은 2016년 8월 북한 고위 관계자와 시민들에게 통일을 호소했고, 같은해 10월에는 북한 시민들에게 탈북을 호소했다. 한국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북한 체제를 흔들고 (김정은 주변의 중앙 간부를 귀순시키는)'궁정 혁명'을 촉구하는 움직임의 일환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의 탄핵·파면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이 같은 정책은 자동 폐기됐다고 <아사히>는 덧붙였다.
특히 이 과정에 국가정보원이 북한 정권 붕괴가 임박했다는 정보를 박 전 대통령에게 집중적으로 제공해 이같은 극단적 강경노선을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져 파장을 예고했다.
26일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2013년 2월 박근혜 정권 출범직후 남북의 정보기관 관계가 악화됐다. 국정원은 비밀접촉을 해온 유경 국가안전보위부(현 국가보위성) 부부장이 2011년초 숙정된 것을 계기로, 북한 보위부와의 관계가 악화됐다.
박근혜 정권은 당초 대결노선에 경도된 국정원을 누르고 북한과의 대화에 의욕을 보였다. 실제로 박 전 대통령은 인도지원과 대화 등을 통해 북한과의 신뢰를 구축하는 '한반도신뢰프로세서'를 제창했다. 이어 2014년 3월 독일에서의 연설을 통해 다양한 남북협력사업을 언급, 긴장완화와 남북대화에 의욕을 보였다.
2015년 여름 지뢰폭발사건의 긴장을 완화시킨 남북합의로 "박 정권 주장의 정당성이 증명됐다"(당시 관계자)면서 정권내 대화 분위기가 고조됐다.
그러나 2015년 12월 남북 당국자회담이 결렬된 후 북한과의 관계가 대결 국면으로 치달으면서 박 전 대통령은 북한의 '리더십 체인지'(지도자 교체)를 목표로 하는 것을 포함한 정책을 승인하는 서류에 서명했다.
국가정보원이 주도한 이 정책의 구체적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김정은의 실각과 망명, 암살 등이 포함됐다. 실제로 김정은의 실각이 이루질 경우 한반도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것을 경계, 한국의 개입으로 이러한 사태가 벌어졌음이 알려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기까지 했다는 것. 당시 김정은 위원장이 타는 자동차나 기차, 수상스키 등을 조작, 사고를 가장하는 방법도 검토했지만 북한의 경계가 엄격해 무산됐다.
이같은 정책 전환에는 2015년 10월 한미 정상회담 때 버락 오바마 당시 미 대통령이 대화를 위해서는 먼저 비핵화를 향한 북한의 행동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대화에 신중한 자세를 보인 것도 주요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북한이 2016년 1월과 9월 핵실험을 실시하면서 박 전 대통령은 김정은의 이름을 거론하며 북한을 비난하기 시작했다.
박 전 대통령은 2016년 8월 북한 고위 관계자와 시민들에게 통일을 호소했고, 같은해 10월에는 북한 시민들에게 탈북을 호소했다. 한국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북한 체제를 흔들고 (김정은 주변의 중앙 간부를 귀순시키는)'궁정 혁명'을 촉구하는 움직임의 일환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의 탄핵·파면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이 같은 정책은 자동 폐기됐다고 <아사히>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