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종의 개선 방향

학종 조회수 : 673
작성일 : 2017-05-30 11:17:29

학종의 문제점은 공정성이 아니라 문이 너무 좁다는데 있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학종이 그 자체로 불공정한 제도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고등학교에서 일부 학생 밀어주기라고 하는거,

솔직히 공부 잘하는 아이가 대회나 활동에서도 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교도 좋은 학생을 뽑기 위해 열심히 연구하고요.

학종은 꼭 강남이나 부유층에 유리한 제도도 아니에요.

사교육의 힘은 확실히 수능 정시에 더 발휘됩니다.

강남권 고등학교들 대학 잘 보내는거 같아보여도

대부분 정시 실적이고 실제로는 학종 성과 별로인 경우가 대부분이죠.

학종으로 대학 잘 보내는 학교들은 지역과 관계없이 꽤 종잡을 수 없이 분포되어있습니다. 

학종의 노하우를 일찍 깨달은 학교들인거죠.


학종은 누가 뭐라해도 각각 아이들의 학교생활을 가장 관심깊게 들여다보는 전형이에요.

그냥 숫자하나 띡 보는게 아니라 이 아이의 발전과정이 어떠했는지 시간과 관심을 가지고 보는거죠

흔히들, 늦게 철드는 아이는 수시에서 기회가 없다고들 하는데

그것도 어느정도는 왜곡된 정보입니다.

종합 내신평점이 낮더라도 전공과 관련있는 주요과목에서 꾸준하게 상승 그래프를 그리는 경우

정성평가인 학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요. 전공적합성과 발전 가능성을 증명해보였으니까요.

입학할때부터 졸업할 때까지 성적이 쭉 40%였던 아이보다

1학년때 90% 하위성적에서 출발했다가 늦게 철들어서 60% -> 30% 로 해마다 성적이 상승한 경우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게 학종입니다. 많은 남자애들이 이런 방법으로 꽤 괜찮은 대학에 가요.


문제는 현재 학종으로 대학갈 수 있는 아이들은 대부분 이미 성적 최상위권이라는 ...

학종 아니라 무슨 시험을 봐도 잘 갈 아이들이라는 거죠.

정부에서 바라듯이, 너무 공부에 매달리지 않더라도 폭넓은 도전정신과 활동력, 문제해결력을 가진 인재들은

정작 학종으로 대입의 기회를 얻기 힘들다는게 문제.

그러니 학종의 문제는더 많은 아이들에게 학종의 기회가 돌아오도록 하면 상당부분 해결되는 겁니다.

즉, 과격하게 말해서,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는대로 수시 100% 학종으로 뽑는다면

더 많은 아이들에게 학종의 기회가 돌아가는 것이고 그 결과는 나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요.


많은 분들이 공정성을 이유로 정시 확대를 주장하시는데

홍트럼프나 박근혜 수준의 시대착오적 정권이 다시 들어서지 않는한

정시 확대는 결코 이루어지지 않을 퇴행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해요.

정치적 색깔은 나름 진보적이면서 입시 문제만 나오면 학종반대 정시확대 일치단결해버리는 82쿡 분위기가 안타까워

적어봤습니다.



IP : 121.160.xxx.22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ㅎ
    '17.5.30 11:24 AM (110.70.xxx.74)

    너무 공부에 매달리지 않더라도 폭넓은 도전정신과 활동력, 문제해결력을 가진 인재 ㅡ 이걸 대체 타인이 어떻게 평가하나요? 대학이 공부하러 가는덴데 공부말고 다른걸 보는거 자체가 넌센스예요.

  • 2. ……
    '17.5.30 12:26 PM (125.177.xxx.113)

    그런데...

    그 성적향상 보여줄 그래프또한 무력화 된거죠..

    그리고..

    아이과를 일학년때 정해서 쭉~~가는게
    그게 더 이상하지 않나요?

    그런아이 몇명될끼요?
    그냥 컨셉잡아 컨설팅끼고하면 훨씬 정교한 그림나오는거예요


    다 좋다 쳐요..

    하지만.

    재기할수 있고
    검정고시도 대학갈수 있고

    재수 삼수생을 위해

    정시는 늘려야한다뵈요

  • 3. 첫댓글님
    '17.5.30 12:27 PM (121.162.xxx.69)

    빙고!!!

    폭 넓은 도전정신과 활동력, 문제해결력을 가진 인재- 이걸 대체 타인이 어떻게 평가하나요? 222
    그리고 비강남권이 대학을 많이 가면 괜찮은 제도이고
    그게 아니면 손 봐야 하는 제도이고
    그런 발상 자체도 문제가 있어요.

    교과서내에서 문제 제출하고 정시로 시험 보면 학부모들 이의 제기 안해요.
    수시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제도가 되어야지
    그게 실력 안되는 금수저들을 위한 제도가 되면 안되지 않나요?

  • 4. ^^
    '17.5.30 12:47 PM (223.39.xxx.23)

    일선의 입시전문가들이
    알수없다고
    다들 학종을 깜깜이라고 하는더
    뭐가 공정하다는건가요?
    예측이 안되는데.
    지금
    소비자쪽과 공급자쪽이
    서로 합의가 안되는데
    소비자쪽이 자꾸 우기는것도 안되는거죠.
    학부모와 대학간의 합의가 있어야죠.

  • 5. 이상하네 논리가
    '17.5.30 2:50 PM (175.223.xxx.216)

    언제부터 금수저 전형이 진보였나

    원글님 논리 좀 이상해요

    가진자만 공부하라는 제도가 진보라면 나 진보 알할랍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4792 주상복합아파트 원래 좀 시끄럽나요 7 주상복합아파.. 2017/06/04 1,883
694791 사무실 관리직원은 뭘 하는 직원인가요? 2 .. 2017/06/04 654
694790 정유라 눈, 서클렌즈 낀거였다는거 아셨어요? 17 DDD 2017/06/04 8,871
694789 문대인 대통령이 서울대에 떨어진 이유.jpg 3 2017/06/04 3,928
694788 윤현숙얼굴보고도 놀랐어요 10 .. 2017/06/04 6,332
694787 원피스를 샀는데...맞는 구두좀 추천해주세요. 11 yy 2017/06/04 1,815
694786 아니 죠스바 내장이 언제부터 핑크색인거죠? 18 . . . 2017/06/04 3,745
694785 도와주세요)이케아 품절물품 언제쯤 입고 될까요? 12 동그라미 2017/06/04 8,312
694784 강경화씨를 발탁한 이유가 37 ㅇㅇ 2017/06/04 5,800
694783 중딩 남학생들 주말에 뭐하나요? 11 중딩 2017/06/04 2,189
694782 수입 소형차 중 가장 사이즈 작은거 뭐 있나요? 11 321 2017/06/04 2,276
694781 새로산 스텐 냄비 닦는방법 1 봄봄 2017/06/04 1,340
694780 文대통령 "청와대가 일자리 인큐베이터 되겠다".. 7 샬랄라 2017/06/04 766
694779 사람의 천성은 변하기 어려운거인지 1 ... 2017/06/04 1,090
694778 할머니 손에 검버섯 제거하면 부작용은 없을까요? 4 피부과 2017/06/04 2,916
694777 토지요... 13 소설 2017/06/04 2,528
694776 가슴큰거 과시?하길 좋아하는 아줌마직원 32 너저분 2017/06/04 9,742
694775 장염끝에 혈변을 봤는데요.. 4 대학생딸 2017/06/04 2,530
694774 남편이 20년전 쌍꺼풀과 안검하수를 같이했는데 눈꺼풀이 쳐져요... .. 2017/06/04 1,421
694773 지금 이시각 집 얼마나 밝은가요? 20 자연광 2017/06/04 2,796
694772 70친정아빠 샌들 뭐가 좋을까요 6 .. 2017/06/04 1,241
694771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집,차사고 사치 펑펑하는건 법에 저촉되.. 11 ㅇㅇ 2017/06/04 4,929
694770 개나 고양이 키우시는 분들 32 모리 2017/06/04 3,570
694769 노땅커플 상담해요. 엄청 싸운 후 화해했는데 남자가 밀어내는 말.. 28 2017/06/04 5,324
694768 코엑스에서 한국여자 서양남자 커플 봤는데 13 qq 2017/06/04 8,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