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혼자녀와 기혼자녀는 돈을 어떻게 나눠내나요?

크하하하 조회수 : 2,282
작성일 : 2016-12-28 08:55:16
부모님 2분과 미혼 자녀 1
기혼자녀 부부 2과 그들의 자녀 1이 외국 여행 갈 때
미혼 자녀가 부모님 요금까지 3명 분.
기혼 자녀가 자신의 가족 3명 분. 이렇게 내나요?

그리고 또
어머니의 환갑 때
어머니 1분. 미혼 자녀 1. 기혼 자녀 부부 1. 그들의 자녀 1 일 때는 식사 요금을 반으로 나눠서 미혼 자녀와 기혼 자녀가 똑같이 내나요?
IP : 211.229.xxx.254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4
    '16.12.28 8:58 AM (58.137.xxx.101)

    1. 미혼자녀는 본인꺼 부모님1분
    기혼자녀는 본인가족꺼 부모님1분

    2. 그냥 반반 하겠어요

  • 2. 공평하게
    '16.12.28 8:58 AM (122.37.xxx.171) - 삭제된댓글

    공평하게 1/n 하는 습관 들이세요.
    기혼자가 섭섭해해도 지금 안 그러면 나중에 형제 차이 틀어집니다.

  • 3. 여행은
    '16.12.28 8:59 AM (121.132.xxx.225)

    부모님은 자녀들이 1/n 하시고 자기 가족경비는 각자하는게 합리적이겠죠. 그리고 밥값은 자녀들이 반반내야죠.

  • 4. 공평
    '16.12.28 8:59 AM (122.37.xxx.171) - 삭제된댓글

    공평하게 1/n 하는 습관 들이세요.
    기혼자가 섭섭해해도 지금 안 그러면 나중에 형제 차이 틀어집니다.
    미혼분이 부모 중 한명 분만 책임지고요.

  • 5. 밥값가족수 챙겨가며 n분 하고싶으면
    '16.12.28 9:01 AM (121.132.xxx.225)

    그냥 만나서 밥 안먹는게 좋아요.

  • 6. 딸기맛우유
    '16.12.28 9:01 AM (122.37.xxx.116)

    제의견은 1번 여행갈때 각자 요금은 각자 내고 부모님2분꺼는 반씩 나눠 냄 /2번 나온돈을 반으로 나눠 냄

  • 7. 2222222
    '16.12.28 9:02 AM (218.236.xxx.244)

    1. 미혼자녀는 본인꺼 부모님1분
    기혼자녀는 본인가족꺼 부모님1분

    2. 그냥 반반 하겠어요

  • 8. 통상
    '16.12.28 9:03 AM (79.213.xxx.245)

    여행은 각자가족 각자 부담, 부모 분만 1/n
    회갑은 전체 비용 자식들이 1/n.

  • 9. ...
    '16.12.28 9:12 AM (59.11.xxx.5)

    저도 윗분들과 같아요

    여행 : 각자 부모님 경비 반씩 본인/자기가족 경비
    식사 : 미혼이 혼자라서 좀 손해보는 느낌이겠지만 식사비 정도는 반씩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 10. ..
    '16.12.28 9:18 A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보통은 나눠 내지 않고 번갈아 내는데,
    잘버는 맞벌이 부부라면 더 많이 내고, 근근한 외벌이라면 반반 내거나 오히려 얻어먹죠.
    부모가 부자면 식사비나 여행비 다 쏘고요.
    식구간에도 돈이 많건 적건 간에 철저히 더치해야 앙금이 없는데,
    한국인 사고는 아직도 더치를 시차하다고 여겨요.
    그래서 서로의 경제사정이 달라지면 잘 안 만나게 돼죠.

  • 11. dlfjs
    '16.12.28 9:19 AM (114.204.xxx.212) - 삭제된댓글

    각자 자기가족꺼 내고 부모님껀 1/n로 나눠야죠
    미혼이 봉인가요 여유있으면 가서 식사정돈 사도요

  • 12. 저희집
    '16.12.28 9:19 AM (220.71.xxx.114)

    이번에 상의한 것은

    1. 남. 미혼
    2. 남.기혼. 자녀없음.
    3. 여.기혼. 자녀2

    여행경비 각자 1/n 비행기. 숙박...
    부모님 경비는 형제회 곗돈에서.
    숙박지 외에서 먹는 외식은 그냥 곗돈에서.
    제가 3번 인데 매달 내서 모으는 곗돈 금액이 동일해요.
    이정도래도 불만이 생길까요?

  • 13. 저희집
    '16.12.28 9:20 AM (220.71.xxx.114)

    환갑이나 기타 부모님 댁 살림살이 바꿔드릴땐 곗돈에서

  • 14. ..
    '16.12.28 9:22 AM (114.204.xxx.212)

    미혼이 봉도 아니고 그건 좀..
    여행땐 큰돈이니 각자 자기가족꺼 내고 부모님껀 나눠야죠
    가서 경비는 여유있는 쪽이 좀 더 써도되고요
    식대경운 기혼이 미혼 배려해서 좀 덜내라고 하고요

  • 15. 여행은
    '16.12.28 9:24 AM (1.231.xxx.157)

    윗님들 말씀데로 부모님 한명씩 맡아내심될것같고
    식사는 둘이 반씩요.

    저는 아이하나 초등 저
    언니는 아이없는데
    부모님두분에 우리세식구 언니네 두식구모여서
    고깃집가서 아빠생신하는데(언니랑 둘이 반띵함)
    언니가 자기는 애없는데 돈 똑같이 낸다고 식사자리에서 한마디하더군요...어찌나 빈정 상하던지..
    그럼 제가 꼬마하나분만큼 더 내야하나요?
    자기 애기없다고 설에 세뱃돈 한번을 안주고
    진짜 화나요..갑자기 생각나서 여기다 적고 가네요;;;

  • 16. ///
    '16.12.28 9:29 AM (61.75.xxx.215) - 삭제된댓글

    미혼이 봉이네요.
    식사비 반반은 아닌 것 같습니다.

  • 17. 저희집님
    '16.12.28 9:29 AM (114.206.xxx.44)

    숙박지 외식중에 한끼는 우리집 식구가 제일 많아 매번 미안해서 한번 산다고하며 밥값을 내세요.
    됐다고 다들 사양하면 헤어질때 초코렛 한상자씩이라도 기념이라며 주고요.

  • 18. ///
    '16.12.28 9:31 AM (61.75.xxx.215)

    여행경비는 부모님 두분 경비를 자녀들이 나누어 내고
    기혼자녀는 자기가족경비는 각자 부담....

    그리고 식사비는 기혼자녀가 더 내는 게 맞죠.
    반반 내면 결국은 부모님 식사비는 늘 미혼자녀가 부담하는 게 되잖아요.

  • 19. ...
    '16.12.28 9:37 AM (114.204.xxx.212)

    형제곗돈은 보통 똑같이 내는데... 사실 다른형젠 서너식구라면
    미혼이 사정이 별로면 결혼전엔 좀 덜내게 하는게 맞긴 할거 같아요

  • 20. ...
    '16.12.28 9:56 AM (125.184.xxx.139)

    1/n이 제일 나아요. 기혼 자녀인 경우에도 내 자식 먹은거니 할 말 없고, 미혼인 경우에도 손해받은 느낌없고
    여행은 부모님 비용 1/n 하는 게 맞고, 식사비용은 1/n하면 정없어 보이니, 기혼자녀, 디저트 미혼자녀 하면 별 불만이 없더라구요.

  • 21. 왜 미혼이
    '16.12.28 10:11 AM (223.62.xxx.81)

    부모님 비용 다 내야해요 어이없어라..

  • 22. 생일은
    '16.12.28 10:21 AM (121.132.xxx.225)

    생일인 사람이 밥값 좀 내는게 좋겠네요. 선물이나 축하금 안받을거면 모르겠는데.

  • 23. ,,,,,,,
    '16.12.28 10:47 AM (210.223.xxx.17) - 삭제된댓글

    뭐든지 미혼 기혼 똑같이 내야죠
    미혼이 부모님 생활비 대는게 아니라면요.
    생활비라고 해봐야 본인 하숙비겠지만.
    억울하면 결혼해서 맞벌이하시길

  • 24. 저희같은경우는...
    '16.12.28 10:52 AM (183.104.xxx.14)

    공동경비는 같은금액 냈구요 뱅기표는 각자 해결했어요

  • 25. 크하하하
    '16.12.28 11:37 AM (211.229.xxx.254)

    210.223 17
    객관적인 대답을 듣고 싶어서 본인이 기혼인지 미혼인지 밝히지 않았으나 미혼 자녀 입장인 걸 꿰뚷어 보고 답글을 적었네요. 그럼 님 말대로 생활비 대고 있으면 어떻게 내야하는지도 좀 알려주시죠. 생활비라고 해봐야 내 하숙비라고 했는데 미혼 자녀라고 어째서 부모님과 함께 살거라 생각하죠? 심지어 저는 제 집에서 제가 모시고 살고 있는 가장 역할의 미혼 자녀입다만.
    그리고 억울하면 결혼해서 맞벌이 하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님은 고작 결혼의 이유가 오로지 그 것 뿐인 결혼을 한 기혼 자녀인가요? 안되셨네요.. 토닥토닥.
    본문엔 구구절절 안 썼지만 여행경비 제가 3인 지출햇고요.
    기혼 형제에겐 자식 1이 더 있지만 어려서 안 썼고요.
    제가 미혼이라 상대적으로 지출이 적기에 평소엔 제가 사먹입니다. 네. 모두 다 내요.환갑까지도 내가 전부 내야 하는지 생각하다가 자기도 자식인데 환갑에는 나눠내야 하지 않나 싶어서 다른 분들은 어찌 내는지 궁금해서 글 남긴거고요.
    이 생각을 하다보니 부모님 여행경비도 내가 냈는데 그럼 기혼 자녀는 자식이 생김으로서 부모 부양에서 벗어나고 미혼 자녀가 부양을 하는건가의 생각까지 도달하게 되어 글 쓰게 된 것 입니다.

  • 26. 크하하하
    '16.12.28 11:43 AM (211.229.xxx.254)

    많은 분들이 남겨주신 댓글들 잘 읽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듣게 되니 혼자 생각할 때 보다 좋네요, 역시.
    댓글 남겨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27. 나도 환갑
    '16.12.28 12:45 PM (121.170.xxx.80) - 삭제된댓글

    어머니가 환갑 나이시면...부모님이 젊습니다.
    그 연세에 모든 경비를 자식이 대는 것은 무리입니다.

    부모님이 경제력이 0이라면, 저기 윗글처럼 본인경비에 부모님 1/2인 1인 경비 하면 되고요.
    식사비는 그때그때 상황 따라서 1/2하든지 1/3 하든지..서로 내든지...하지요.

    내 경우에는 해외여행 갈 때는,
    여행경비 (호텔, 비행기, 가이드비용) 100% 냅니다.
    그외 간식비나 면세점 소소한 것들은 자식들이 냅니다.

    생일 식사비는, 보통 아이들이 선물이나 봉투를 주기 때문에,
    식비는 생일 당사자들이 내겠다고 못을 박았습니다.
    원래 생일 초대를 한다면 집에서 주최자가 식사를 준비하고 선물을 받기 때문입니다.
    요즘 부모님들은 외식하면 식비와 선물, 봉투 등...다 자식들에게 부담 주는가 봅니다.
    이걸 부모님들이 교통 정리 해 주셔야 합니다.
    내동생들에게도 신신 당부했어요.
    결혼한 자녀들과 생일 식사하려면, 식비는 본인들이 내라고요...
    처음에는 사위랑 나랑 서로 돈내겠다고 옥신각신 했는데...딱 잘라서 생일밥값은 부모들이 냅니다.
    어버이날 밥은 자식들이 냅니다.

  • 28. 나도 환갑
    '16.12.28 12:49 PM (121.170.xxx.80) - 삭제된댓글

    이렇게 경비 내는 것을 못을 박아 놓으니 편합니다.
    아이들이 해외 여행 갈때도, 같이 가자고 하면..아무 부담 없습니다.
    각자 본인 경비 내는 것이니까요.
    여행 갔다와서 정산해 보면, 부모들이 40%, 아이들이 60% 낸 셈이더라고요.

    생일 식사도, 보통 호텔 뷔페를 가기 때문에 부모들이 내게되면 자녀들이 부담이 적습니다.
    즐거운 생일날에, 식비 때문에 얼굴 붉히는 거 싫거든요.
    아이들에게 어느 뷔페 가고 싶냐고 묻고서 꼭 내가 예약합니다.
    자식들 입장에서는 생일 선물만 준비하면 되니까 좋지요.

    자녀들과 부담없이 만나는 게 좋습니다.

  • 29. 나도 환갑
    '16.12.28 12:52 PM (121.170.xxx.80) - 삭제된댓글

    이렇게 경비 내는 것을 못을 박아 놓으니 편합니다.
    아이들이 해외 여행 갈때도, 같이 가자고 하면..아무 부담 없습니다.
    각자 본인 경비 내는 것이니까요.
    여행 갔다와서 정산해 보면, 부모들이 40%, 아이들이 60% 낸 셈이더라고요.

    생일 식사도, 보통 호텔 뷔페를 가기 때문에 부모들이 내게되면 자녀들이 부담이 적습니다.
    즐거운 생일날에, 식비 때문에 얼굴 붉히는 거 싫거든요.
    아이들에게 어느 뷔페 가고 싶냐고 묻고서 꼭 내가 예약합니다.
    자식들 입장에서는 생일 선물만 준비하면 되니까 좋지요.

    남편 환갑때는, 나의 형제, 조카, 친정엄마 모시고, 내 자녀 부부와 뷔페에서 식사했어요.
    그리고...아이들에게 못을 박았어요.
    남편 환갑은 아내가 낸다...아내 환갑도 남편이 낼 것이다라고요...
    즐거웠던 시간이었습니다.

    자녀들과 부담없이 만나는 게 좋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7571 냉동 난자보관 하시는분 있나요. 1 2017/01/07 967
637570 보통 생리후 1주일이 몸 컨디션 최상인 거죠? 3 ㅈㄷ 2017/01/07 3,140
637569 거의 나이든 여자만 있는 직장, 으앙 너무 힘들어요 8 답답 2017/01/07 3,004
637568 예비고2 아들 - 여드름 흉터 언제 치료하는 게 좋을까요? 8 피부 2017/01/07 1,649
637567 82쿡님들은 제사 장보기 주로 어떤식으로 하세요..?? 6 .. 2017/01/07 1,867
637566 편의점 수입맥주 포스트 블랑 2 ㅇㅇ 2017/01/07 1,464
637565 저를 자꾸 까내리는 사람 7 아침부터 2017/01/07 2,294
637564 치매검사로 유명한 병원이 어딘가요? 2 2017/01/07 2,509
637563 치매부모님 계신 분들 7 휴... 2017/01/07 3,032
637562 (해당지역 분들 위주로 답변 부탁드립니다)지방의 지거국 말고도 .. 7 renhou.. 2017/01/07 743
637561 요즘 중고딩들 상표안보이는 옷이 유행이라는데요 14 add 2017/01/07 6,349
637560 소상공인센터 직원 공무원인가요? 2 불친절신고 2017/01/07 846
637559 어제밤 쪽팔려 죽겠다던 알바 글은 지웠네 2 알바등신아 2017/01/07 773
637558 천호식품 회장 사퇴 그래도 천호식품은 영원히 아웃이다. 3 marco 2017/01/07 1,659
637557 김부겸 문자 ㅡ 31ㅇㅇ통 ㅡ 전번 바꿨대요 43 .... 2017/01/07 3,894
637556 헐 ... 대포폰 인생들~~ 2 .... 2017/01/07 1,381
637555 이재명, 모든 사회문제 뿌리는 공직사회 불법·부정부패 2 .... 2017/01/07 580
637554 반기문은 새누리때문에 나가리 예상입니다 5 하루정도만 2017/01/07 1,181
637553 내려놓아야겠죠? 1 .. 2017/01/07 928
637552 남자도 피부가 중요한가요? 3 ㅇㅇ 2017/01/07 1,550
637551 자존감 낮은 사람한테 5 ㅁㅁ 2017/01/07 2,839
637550 유인영 좋아하는데 여교사 볼만한가요? 7 ㅎㅎ 2017/01/07 3,485
637549 MBC 개쓰레기에요 방송한 대구 MBC 7 moony2.. 2017/01/07 3,514
637548 근육운동을 시작해볼라고하는데... 1 근육운동 2017/01/07 1,189
637547 여권무효화되는데 왜 강제추방 안되는건가요? 8 정유라누구딸.. 2017/01/07 1,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