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있는분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다음은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더미래연구소에서 홍일표 사무처장의 사회로 김동석 이사, 안병진 교수와 가진 좌담 내용이다.
(일부중 발췌)
김동석 : 트럼프는 이번 선거의 흐름이 어떻게 갈 것인가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보여진다. 대통령이 어때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유권자와 의사소통을 하는 방식을 잘 이해하고 있다.
말씀하신 부분을 기동성 있게 낚아채려면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클린턴은 버니 샌더스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그런 포인트를 잡아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당내 경선에서 그렇게 혼쭐이 났으면서 배운 것이 없는 것 같다"는 평가도 나온다.
클린턴은 유권자나 시민들, 국민들을 통치의 대상으로만 보는 경향이 있다. 시민과 함께한다는 가능성을 볼 수가 없다. 이것이 여론조사에서 '비호감'으로 나타난다. 클린턴이 주민들과 가까운 거리에서 편하게 이야기하는 이른바 '타운 홀 미팅'을 할 때 직접 현장에 가보면 동네 유력 인사들이나 재력가들로 붐빈다. 돈 많은 자본가들, 똑똑한 지식인 오피니언 리더들을 불러서 토론하고, 이들과 정책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샌더스는 이와는 다르다. 특정 지역에 가서 깃발을 박으면 사람들이 구름같이 밀려 나오게 만든다. 타운홀 방식이 아니고 군중동원식이다. 이게 오바마 대통령이 후보 시절 때 했던 방식인데, 클린턴은 여기서 배운 것이 없는 셈이다.
오히려 시대 흐름에 더 잘 맞는 것은 트럼프일 수 있다. 그는 미국에서 정치에 무관심했던 백인 중하층들로부터 지지를 얻고 있다. 이들이 없다면 트럼프는 선거에서 이길 수가 없다. 그런 상황에서 트럼프는 세계가 어떻게 하면 안전해지느냐의 문제보다는 유권자 표심이 중요했을 것이다.
말씀하신 부분을 기동성 있게 낚아채려면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클린턴은 버니 샌더스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그런 포인트를 잡아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당내 경선에서 그렇게 혼쭐이 났으면서 배운 것이 없는 것 같다"는 평가도 나온다.
클린턴은 유권자나 시민들, 국민들을 통치의 대상으로만 보는 경향이 있다. 시민과 함께한다는 가능성을 볼 수가 없다. 이것이 여론조사에서 '비호감'으로 나타난다. 클린턴이 주민들과 가까운 거리에서 편하게 이야기하는 이른바 '타운 홀 미팅'을 할 때 직접 현장에 가보면 동네 유력 인사들이나 재력가들로 붐빈다. 돈 많은 자본가들, 똑똑한 지식인 오피니언 리더들을 불러서 토론하고, 이들과 정책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샌더스는 이와는 다르다. 특정 지역에 가서 깃발을 박으면 사람들이 구름같이 밀려 나오게 만든다. 타운홀 방식이 아니고 군중동원식이다. 이게 오바마 대통령이 후보 시절 때 했던 방식인데, 클린턴은 여기서 배운 것이 없는 셈이다.
오히려 시대 흐름에 더 잘 맞는 것은 트럼프일 수 있다. 그는 미국에서 정치에 무관심했던 백인 중하층들로부터 지지를 얻고 있다. 이들이 없다면 트럼프는 선거에서 이길 수가 없다. 그런 상황에서 트럼프는 세계가 어떻게 하면 안전해지느냐의 문제보다는 유권자 표심이 중요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턴 후보 쪽에 자금이 많다고 하는데, 선거 운동의 방식으로 보면 돈이 쓰이는 정도가 다르다. 트럼프는 돈이 많이 들어가는 방식이 아니다. 반면 클린턴은 돈이 없으면 하루도 진행할 수 없는 선거 운동 방식을 쓰고 있다. 어쨌든 결과는 대선 당일에 투표함을 까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고 정책을 보더라도 클린턴이 트럼프보다 유리하다고 보여지는 것이 별로 없다. 클린턴은 국내외 이슈에 있어서 뭔가 바꿀 수 없을 것 같은,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식으로 비춰지고 있다. 외교정책보다 국내 이슈에서 이런 측면이 더하다.
그렇다고 정책을 보더라도 클린턴이 트럼프보다 유리하다고 보여지는 것이 별로 없다. 클린턴은 국내외 이슈에 있어서 뭔가 바꿀 수 없을 것 같은,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식으로 비춰지고 있다. 외교정책보다 국내 이슈에서 이런 측면이 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