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생고등어 기생충 보고도 요리를 하네요

징그러 조회수 : 5,700
작성일 : 2016-09-26 19:50:57

조림 하는데 익히면 기생충 죽는거 맞죠?

기생충 살아 움직이는 걸 보니 냉동 고등어는 확실히 아닌 것 같은데

참고로 요리책에서 보길  고등어와 닭고기는 처음에 센불로 해서 끓으면

그담부터는 약한 불에서 오래 익히라고 하네요.

고기결 자체가 천천히 익는거라구요.

저 기생충 죽이기 위해서라도 오래 익혀야 할 것 같아요

요리 하다 기생충 보이면 어찌하세요?

버리시나요?

IP : 59.22.xxx.14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으으~~~
    '16.9.26 7:52 PM (39.118.xxx.24)

    기생충 익혀서 드시겠다는거예요??

  • 2. ㅜㅜ
    '16.9.26 7:54 PM (59.22.xxx.140)

    그럼 어떻해요??
    소 돼지 고기도 다 기생충 있고
    오징어도 기생충 있구요.
    그래서 익혀 먹으라고 하죠.
    생선회는 아예 기생충 각오하고 먹잖아요.
    그제 전어회 엄청 맛있게 먹었네요.

  • 3. dd
    '16.9.26 7:55 PM (59.15.xxx.138) - 삭제된댓글

    눈에 안보여 그렇지 기생충없는 생물이
    어디 잇나요? 익혀 드시면 괜찮아요

  • 4. 으으~~~
    '16.9.26 7:58 PM (39.118.xxx.24)

    새댁인가요?
    뭐든 고기생선단백질요리는요 국물로 우려내서 국물을 드실거면 찬물에 처음부터,
    조림같은 국물아닌 고기를 드실거면 양념이 끓을때 넣어서
    단백질을 응고시켜 맛난성분이 국물로 안빠져나오게 요리해요.
    생선살도 흐느적 부서지지않구요
    처음에는 뚜껑열어서 비린내를 휘발시킨후 한소끔 끓이고나서
    나중에 뚜껑닫고 약불요.
    생강은 맨마지막에 넣어야 효과적이구요~

  • 5. 신선하지 않은걸 사셨나봐요..
    '16.9.26 8:01 PM (14.49.xxx.6) - 삭제된댓글

    그 기생충이 내장에 있다가 고기가 죽으면 빠져나가서 살로 들어가는거에요..
    잡아서 재빨리 손질해서 얼마 안된거면 기생충이 없었을텐데요..
    다음에는 신선한 걸 사시구요.
    뭐 기생충이 별건가요. 징그럽지만 끓이면 다 단백질이죠머..
    곤충도 먹던데요..;;

  • 6. ^^
    '16.9.26 8:04 PM (59.22.xxx.140)

    요리도 지식이 필요하네요.
    왜 닭고기가 안익지 했는데 그게 오래 익혀야 하는걸 몰랐었어요.
    생강도 맨마지막에 넣는거 오늘 처음 알았네요. ㅎ

  • 7. 직접
    '16.9.26 8:06 PM (39.118.xxx.24)

    사온 생선이나 고기 손질하면서 기생충을 본적은 없어요

  • 8. 젤징그러운거
    '16.9.26 8:10 PM (112.140.xxx.70) - 삭제된댓글

    고등어에 기생충 박힌거 보고 기절하는줄 알았어요
    절대 무서위서 안사고 안먹습니다
    먹는다니 그저 놀랍네요
    그거 내장에서 기어 나와 박히는 걸로 알고있어요
    관리잘못 된거 아닌가요?

  • 9. 조림
    '16.9.26 8:11 PM (59.22.xxx.140)

    하나 하는 걸 가지고 요리라고 쓰다니.. 부끄럽네요^^

  • 10. 고등어
    '16.9.26 8:14 PM (59.22.xxx.140)

    살때 손질해주니 내장 빼잖아요.
    그때 빠져 나왔거나 살에 붙어 있거나 그런것 같네요

  • 11. 몰라서
    '16.9.26 8:34 PM (121.140.xxx.135) - 삭제된댓글

    갈치.고등어.꽁치.오징어.생태등..
    다 회충있어요.
    돼지고기도요.

    익혀서 드셔야지요.

  • 12. ...
    '16.9.26 8:38 PM (175.211.xxx.218)

    고등어 원래 기생충 있어요. 그거 잘 발리고 떼어내고 요리해야죠.

  • 13. ..
    '16.9.27 12:33 AM (211.178.xxx.205) - 삭제된댓글

    저윗분거꾸로얘기하네요.
    고기육수우려내야할땐 끓는물에고기넣어요,찬물에 첨부터넣음 바로수축응고되니까요.
    참.제대로알고나가르쳐주세요

  • 14.
    '16.9.27 1:01 AM (203.226.xxx.56) - 삭제된댓글

    원래 기생충 있다고 기생충 뻔히 살 파고 들어가있는거
    아는데도 그대로 요리하는 가정 없을 걸요
    거의 마트에서 싱싱한거 손질 잘해서 주기 때문에
    기생충 없구요
    20년동안 고등어 한번, 생태 한번 봤는데 살을 파고 들어간게 너무 많아 버렸어요
    특히 생태는 너무 심해서 그 후유증으로 다시는 생태를 사지 않았네요
    고등어나 생선 사오면 눈에 씻으면서 꼼꼼히 다 보고 만져봐요
    비위가 좋긴 하신가 보네요

  • 15. 저윗분..이라고 지적질하신분
    '16.9.27 9:35 AM (39.118.xxx.24)

    님이나 제대로 알고 댓글다시고
    남한테 지적질하시기전에 검색이라도 해보세요.
    육수나 국물먹는 요리는 찬물에서 시작한다는거 상식이고
    모르시면 조리이론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육류조리이론 검색해드리죠
    http://m.blog.naver.com/serablog/220594004214
    제블러그는 아니니 오해마시길.

    탕국육수는 찬물에서부터 끓이기시작하고~ 보이시나요?

  • 16. 근데요.
    '16.9.27 4:10 PM (121.140.xxx.80) - 삭제된댓글

    탕국 육수를 찬물부터 끓여 보셨나요?
    나는 살림하는 나이 많이 먹은 아줌마인데요...
    찬물부터 끓이면, 거품 많이 나요..
    나도 이론으로는 찬물부터 끓이라고 배웠는데..뜨거운 물에 넣습니다.
    우리 딸들에게도 뜨거운 물에 넣으라고 합니다.
    그 거품 어쩔거야.....요.
    냄비만 지켜 볼 수도 없고, 확 넘쳐서 국물 절반 이하로 되고, 레이지 주변은 어쩔...

    이론과 실제는 조금...달라요.

  • 17. 근데요님
    '16.9.28 2:36 AM (39.118.xxx.24)

    찬물에서 약불로 서서히 끓여야해요
    끓기시작하면 거품 계속 걷어줘야하구요
    거품이 넘쳤다는걸보니 쎈불에서 하신듯요
    서양요리 스톡 우려낼때도 제일 중요한 포인트가
    찬물에 넣고 약불로 서서히 거든요.
    쎈불로하면 스톡이 탁해져서 못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3039 와사비테러사건 사진보면 7 마미 2016/10/03 3,368
603038 다이어트 하려면 자기 4시간전 부터만 안먹음 되나요?? 8 .. 2016/10/03 3,503
603037 아이가 키스장면이 계속 나오는 순위프로를 혼자 보고 있다면 9 조언부탁드립.. 2016/10/03 1,861
603036 화장 처음하는데 조언 좀 부탁드려요 1 ddd 2016/10/03 601
603035 나의 강아지야 9 어쩌나 2016/10/03 1,872
603034 이것도 부동산 사기로 되는건가요?? 2 하와이 2016/10/03 1,043
603033 영혼이 털리는 느낌? 3 ... 2016/10/03 2,090
603032 이게 퍼실 냄새였군요... 27 Zzz 2016/10/03 26,142
603031 병어조림이 넘 그리운데 병어 판매처가 없어요. 9 우울할때 2016/10/03 1,209
603030 식당에서 먼저 나오는 반찬 먹으면 안되는건가요? 37 밥상머리교육.. 2016/10/03 16,338
603029 동대문 야시장 고급소재 옷 어디서 파나요? 구매 tip도 부탁드.. 4 가을 2016/10/03 3,761
603028 소송인이 다수일 경우 2 힘들다 2016/10/03 499
603027 글로 마음 주고 받다가 사랑에 빠질 수도 있나요? 12 사랑 2016/10/03 3,388
603026 노인 우울증 약의 효과와 부작용 6 궁금해요 2016/10/03 2,392
603025 고지방식의 말로 7 위험해요 2016/10/03 3,902
603024 안철수 "백남기 농민 ‘외인사'...의학에 정치논리 개.. 14 탱자 2016/10/03 2,606
603023 위경련이 오는데 집에 약이 없어요 ㅜㅜ 21 에구 2016/10/03 14,186
603022 직장에서 유부남이 껄떡거릴때 가장 좋은 대처방법은 뭘까요? 16 .. 2016/10/03 9,776
603021 돈 떼먹고 연락끊은 사촌이 남양주 6 ... 2016/10/03 3,305
603020 여교사에 의한 '여성은 고귀한 존재' '여성은 약자이니 보호해야.. 5 한국사회비판.. 2016/10/03 1,478
603019 빵집에 붙여놓은글, 본인이 떨어뜨린빵 본인이계산하시라고. 13 ㅇㅇ 2016/10/03 6,359
603018 십자수 와 흠 십자수와 일반 자수 의 차이점을 좀~~ 1 후배가~~ 2016/10/03 566
603017 간단하게 웰빙하게 먹는 법이 뭘까요 20 ㅇㅇ 2016/10/03 4,417
603016 에버랜드-신규로 만들면 할인되는 카드 있나요? 질문 2016/10/03 415
603015 G패드 구입 괜찬을까요? 절실 2016/10/03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