뻔한 질문이라는 건 알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국내박사논문의 경우 분야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겠지요?
요즘은 심사기준이 강화되어 국내박사라도 어렵다는데 많이 어려운가요?
그리고 해외대학에서 박사한거면 대단하다고 봐야 하나요?
국내박사와 해외박사의 차이는 어떤지, 어떤 점에서 다른지 궁금해요.
그냥 궁금헤서 물어보는 거니 날선 댓글은 사양하구요,,, 가끔 너무 공격적인 분들이 있어서..
뻔한 질문이라는 건 알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국내박사논문의 경우 분야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겠지요?
요즘은 심사기준이 강화되어 국내박사라도 어렵다는데 많이 어려운가요?
그리고 해외대학에서 박사한거면 대단하다고 봐야 하나요?
국내박사와 해외박사의 차이는 어떤지, 어떤 점에서 다른지 궁금해요.
그냥 궁금헤서 물어보는 거니 날선 댓글은 사양하구요,,, 가끔 너무 공격적인 분들이 있어서..
저는 해외박사학위자로서... 잘은 모르겠지만 한국이나 외국이나 박사논문을 쓰는 것은 피를 말리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죠.
박사논문을 쓰는 과정은 누구에게나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은 시절이라고들 해요. 그만큼 괴롭고 내 논문이 제일 후져보이고 언제 끝날지 끝이 안보이고 그래요. 학문의 어느 한 분야에서 자기 논리를 세워 학위를 받았으니 한국말로 쓴 논문이나 영어로 쓴 논문이나 그 가치를 인정해 줘야 하는 것 같고요. 학교의 수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은.. 저는 그렇다고 봐요. 교수진의 차이일수도 있고요. 학교수준에 따른 차이는 한국이 조금 더 심한 것 같고 미국같은 경우는 지도교수가 누구인가, 그리고 학교레벨보다는 학과레벨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 같고요.
예전에 얼핏 원글님?!으로 생각되는 분께 답글 단 적 있었어요.
석사과정도 아직 시작을 안 한 분인 것 같으셨는데 본인이 파트타임 학생으로서
짜투리 시간 활용 인맥형성 학부학벌극복
이 박사학위 과정의 목표이고, 이후 국내에서 학계 쪽으로 풀리시길 희망한다고 적으셨더군요.
전 왠만함 부정적인 글 안 쓰는데 정말로 그게 주 목적이라면 말리고 싶다. 연구 그렇게 쉬운거 아니다. 라고 짧게 답변했었구요.
박사과정은 제 경험이랑 주변 사례들을 볼 때 국내이건 해외이건 둘 다 만만찮다고 생각됩니다.
어떤 커뮤니티에서는 박사과정을 그 자체로 full time job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던데 왜 그럴지...
그리고, 어떤 분은 자기 피를 찍어 쓰는게 박사 논문이라는 말을 하던데 왜 그런 격한?! 표현이 나왔을지...
그리고 바로 윗분이 적은 "피를 말리는 과정, 누구에게다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은 시절" 등의 표현이 왜 나왔을지에 대해 생각해보신다면 그 만만찮은 정도는 어느 정도 짐작되시리라 생각합니다.
해외박사가 대단한거냐고 물어보셨는데....해외박사 국내박사 대우 차이가 줄어들었다는 말은 있지만 다른 조건들이 경쟁자들끼리 엇비슷할 경우 해외 박사쪽을 좀 더 선호하는 경향은 아직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해외박사를 IVY에서 하고 와도 몇 년간 비정규직을 돌게 되는 경우도 허다하게 많다는 것도 워낙 많이들 얘기되니 잘 아실거구요.
....관심있어하시는 분야의 연구를 어느곳에서 어떻게 진행할 지 등 "연구" 자체가 주 고민거리는 아니신 듯 싶어 이 정도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죽을 것 같은 과정입니다.
심신이 피폐해지고 실제 병이 생기는.
-미국박사
제가 그 과정에 있기 전에는 박사 끝낸 선배들이 명함에 PhD 넣는 거 속으로 웃었는데, 저 명함 팔때는 PhD 부분만 폰트 사이즈 늘리고 굵게, 아주 굵게 넣고싶더라구요.
죽는 줄 알았습니다. 쓰는 동안. 다 쓴 지금도 제정신은 아니구요.
영어 보다 더 어렵다는 그 언어로 박사학위 하고 있는 유럽박사입니다. 전 인생에서 제일 만족스러운 투자가 공부하고 생각하기에 아무리 힘들어도 가치 있다고 여겨집니다. 후회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