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는거 이해안가요ㅠ

중2과학 조회수 : 4,411
작성일 : 2016-06-05 14:28:14
중2과학중에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은 증가하고
습도는 낮아진다고 하는데 이해가 안간대요ㅠ
저도 이해가 안가고요
쉽게 설명해주실분 계실까요?
IP : 112.154.xxx.136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6.5 2:32 PM (49.142.xxx.181) - 삭제된댓글

    최대한 공기에 녹을수 있는 수증기량이 포화수증기량이고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늘어나고
    온도가 낮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줄어듭니다.

    말하자면 더운물에 소금을 녹일때 더운물에 더 잘녹고 찬물에 덜녹는걸 생각하면 좀 이해가 쉬울듯 합니다.

  • 2. ㅇㅇ
    '16.6.5 2:32 PM (49.142.xxx.181) - 삭제된댓글

    최대한 공기에 녹을수 있는 수증기량이 포화수증기량이고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늘어나고
    온도가 낮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줄어듭니다.

    말하자면 물에 소금을 녹일때 더운물에 더 잘녹고 찬물에 덜녹는걸 생각하면 좀 이해가 쉬울듯 합니다.

  • 3. ㅇㅇ
    '16.6.5 2:33 PM (49.142.xxx.181)

    최대한 공기에 들어갈수 있는 수증기량이 포화수증기량이고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늘어나고
    온도가 낮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줄어듭니다.

    말하자면 물에 소금을 녹일때 더운물에 더 잘녹고 찬물에 덜녹는걸 생각하면 좀 이해가 쉬울듯 합니다.

  • 4. 거기서
    '16.6.5 2:42 PM (74.74.xxx.231)

    습도라는 거는 상대습도인데요.

    겨울에 바깥 공기를 집 안으로 들여 온 뒤 집 안에 난방을 틀면요, 절대 습도는 별로 변하는 게 없는데 (가습기 안 튼다고 했을 때) 온도가 높아지니까 포화 수증기량을 증가하죠. 그럼 상대습도는 낮아지겠죠.

  • 5. 원글이
    '16.6.5 2:50 PM (112.154.xxx.136)

    그래도 이해가 안가는 저 머리가 나쁜거죠ㅠ

  • 6. 습도
    '16.6.5 3:00 PM (116.36.xxx.160)

    상대 습도가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과 그 때의 온도에서 대기가 함유할 수 있는 최대수증기량(포화수증기)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인까 온도가 올라가면 상대 습도가 올라가지만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의양은 변화없다면 비율이 낮아지겠죠

  • 7. 아뇨
    '16.6.5 3:04 PM (74.74.xxx.231)

    저 학생때도 교과서에서 그 부분의 기술이 애매했어요. 어쩐 조건하에 그리 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지 않고 애매하게 쓰여 있었어요.

    바깥 공기 중에 떠다니는 기체 H2O가 있을 것입니다. 그 양을 공기 1 m^3당 얼만큼이라고 나타낼 수 있겠지요. 바깥 기온 5도이고 기체 H2O가 1 m^3당 a 그램 들어 있다고 칩시다. 그런데 5도에서 H2O가 1 m^3당 최대 b 그램까지 기체상태로 떠다닐 수가 있어요.

    그럼 상대습도는 a/b.

    그런데 그 공기를 진공이던 어느 집 안으로 들여와 봅시다. 그리고 난방을 틀어서 기온을 20도로 만들어 줘요. 가습기를 틀지 않으면 여전히 기체 H2O가 1 m^3당 a 그램 들어 있죠. 그런데 20도에서는 1 m^3당 최대 c 그램 만큼의 기체 H2O가 떠다닐 수가 있어요.

    그럼 이제 상대 습도는 a/c.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은 증가하고"라는 말은 c가 b보다 크다는 말입니다.

    이제 a/b와 a/c를 비교해 봅시다. a, b, c 모두 양수이고, 위에서 말했듯이 c가 b보다 크므로

    a/c는 a/b 보다 작습니다. 이 말이 5도에서 20도로 온도가 올라가니 상대습도가 낮아진다는 말입니다.

  • 8. 그냥 단순하게
    '16.6.5 3:11 PM (115.134.xxx.185)

    어떤 밀폐(폐쇄된) 공기덩어리가 있다고 가정해보세요.
    그 공기덩어리 안에는 산소를 비롯한 여러종류의 물질(기체)이 있고 수증기도 포함되어 있는데 그 물질들이
    밖으로 나가지도 않고 또 밖에서 들어오지도 않는다는 가정을 해야합니다.
    그 상태에서 온도가 올라간다고 생각하세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증기가 없어도
    온도가 올라간 공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능력이 되는 상태로 바뀌어요
    왜냐면 온도가 올라갔기때문이에요. 그게 포화수증기압이라는 거예요.
    찬물보다 더운물이 더 많은 소금을 용해시킬 수 있듯이 뜨거워진공기는 더 많은 물(액체)을
    수증기(기체) 상태로 담을 수(변화시킬 수)있는 능력이 되는거예요.
    근데 외부로부터 물질이 차단되어 있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더이상의 수증기 유입이 없는
    상태에서 현재의 수증기량은 정해져 있고 수증기를 담을 수 있는 능력인 포화수증기압은
    늘어나기 때문에 상대습도가 낮아지는거예요.
    최선을 다했어요ㅜㅜ

  • 9.
    '16.6.5 3:16 PM (42.147.xxx.246) - 삭제된댓글

    기온이 높을 수록 하천, 바다의 물이 빨리 수증기로 변해서 대기권으로 갑니다.--즉 기온이 높을 수록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는 거라고 생각하고요.
    그런데 그 수증기가
    지표면은 온도가 높아서 수증기 증발이 잘 되니 습도가 낮을 수 밖에 없네요.

    날씨가 우중충한 날은 수증기 증발이 잘 안되니 습도가 높네요.

  • 10. 원글이
    '16.6.5 3:18 PM (112.154.xxx.136)

    와우, 굉장해요
    아들이 여기 아줌마들 천재래요^^

  • 11.
    '16.6.5 3:19 PM (42.147.xxx.246)

    기온이 높을 수록 하천, 바다의 물이 빨리 수증기로 변해서 대기권으로 갑니다.--즉 기온이 높을 수록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는 거라고 생각하고요.
    그런데 그 수증기가
    지표면은 온도가 높아서 수증기 증발이 잘 되니 습도가 낮을 수 밖에 없네요.

    날씨가 우중충한 날은 수증기 증발이 잘 안되니 습도가 높네요.
    그리고 수증기는 위로 위로 올라갑니다.

    습도라는 건 지표면의 우리가 사는 곳의 습도를 말하고
    포화수증기량이란 건 지구상의 전체에 대한 하천 바다에서 일어나는 수증기의 량이라고 생각됩니다.

  • 12. 저는 쉽게...
    '16.6.5 5:37 PM (110.70.xxx.118) - 삭제된댓글

    공기 온도가 올라가면 기체 입자들이 하이퍼상태, 즉
    들떠서 방방 뜨는 천방지축들이 되어
    얌전히 떠있던 애들이 여기저기로 흩어지니까
    전체 공기 부피는 늘어나구요.
    기체입자들끼리 거리가 멀어지니 그 공간을 채울수있는
    기체분자수는 더 늘어나요. 즉 포화 수증기압 증가.
    즉 포화시킬수있는 기체 입자수가 많아짐

    그리고 기체입자끼리의 거리가 멀어진상태이므로
    일정 면적안의 수증기 입자수는 감소하죠 즉
    일정 단위면적안의 습도는 감소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6741 미세먼지 ..정상이라는데... 8 2016/06/14 1,590
566740 김밥이나 빵...호일로 싸면 안되나요? 8 호일 2016/06/14 3,109
566739 짠돌이 남편 생일선물 뭐해줘야 할까요? 6 어렵다 2016/06/14 1,566
566738 우리밀은 건강을 발효음식은 글리포세이트로 손상된 몸 치료를 그래.. 3 woorim.. 2016/06/14 684
566737 목동 오피스텔 어때요??? 3 ~~ 2016/06/14 2,138
566736 나와 너무 다른 딸 20 엄마 2016/06/14 5,184
566735 달팽이 식당 같은 영화 추천좀 해주세요 6 2016/06/14 1,422
566734 이재명朴대통령7시간 일정내놓으면 내90일 일정내놓겠다 9 역시이재명 2016/06/14 1,770
566733 동창회 축시낭독 .. 詩 추천 부탁합니다... 축시 2016/06/14 579
566732 여행상품을 예약 후 상품 가격을 오고지 했다며 올리는 경우. 1 여름휴가 2016/06/14 761
566731 방금 지하철에서 11 111 2016/06/14 3,092
566730 대학생 아들 군문제로 궁금하네요 6 군문제 2016/06/14 1,447
566729 16개월 떼쓰는 아기데리고 라스베가스 가능할까요? 5 고민 2016/06/14 1,379
566728 전을 양념장 넣어 볶아먹는게 그렇게 맛있더라구요 5 나는 2016/06/14 1,429
566727 과학고에 가려면.. 언제부터 준비를? 5 ,, 2016/06/14 3,111
566726 메추리알 소고기 장조림 냉동해도 괜찮을까요? 2 장조림 2016/06/14 1,741
566725 오늘 저녁메뉴 주부 2016/06/14 596
566724 허리디스크 잘아시는분 ! 디스크 때문에 한쪽 골반뼈부터 발목까지.. 4 Rrr 2016/06/14 3,209
566723 백화점지하 주차장에서요... 21 아고.. 2016/06/14 4,210
566722 방과후지도사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세요? 3 i00 2016/06/14 1,133
566721 남자아기 이름 좀 봐주세요 9 녹차향기 2016/06/14 1,340
566720 금요일 북한산성 등산 괜찮을까요? 5 겨울이네 2016/06/14 815
566719 팟빵에 정알바 들으시는 분 ... 2 정알못 2016/06/14 846
566718 답정너... 6 ㅇㅇ 2016/06/14 1,555
566717 업무시간 책상에 늘 성경책이 펼쳐져 있다면? 16 직딩 2016/06/14 3,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