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학교) 생기부에 독서기록은 어떤 식으로 올라가나요...

궁금 조회수 : 4,353
작성일 : 2016-05-21 15:52:39

ㅠㅠㅠ

제가 불량맘이라 중딩 때 신경을 못써줘서

고딩 되고 관심 가지려니 모르는 게 너무 많네요.

아들도 덩달아 관심 없어 뭘 알아 오라고 해도

잘 모르는데요,

보통 독서기록을 어떻게 하나요?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내면 선생님이 생기부에 올려주시나요?

특별한 양식이 있나요? 내용은 주로 어느 정도 어떻게 들어가나요?

줄거리, 느낀 점, 그런 걸 기록하나요?

아무 때나 하는 건가요?

애한테 물어봐도 자기도 모르고 친구도 모른다고 한다네요. ㅠㅠ

IP : 175.209.xxx.5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333
    '16.5.21 3:57 PM (222.112.xxx.26)

    자녀가 공부는 어느 정도 수준인지요?
    전교 15위 정도?
    그렇지 않으면 기록도 안해줄걸요.
    전교성적이 상위권이라야 그들만 기록해주는 경향이 강하던데...

  • 2. ㅡㅡ 우리경운
    '16.5.21 3:58 PM (114.204.xxx.212)

    학교 복도에 공지문 붙어있어요. 애가 안보는거죠
    홈피에도 있으니 엄마라도
    아이엠스쿨 깔고 홈피, 나이스 자주 보세요
    독서록 기록하는곳 ㅡ 이름이 생각안나네요
    거기에 1000 자이상 기록하고 학기말에 출력해서 제출합니다 , 아니면 간단히 요약제출
    학교 행사도 담쌓지 마시고 , 보람이나 시험감독같은 도우미로 자원해서 가끔 가보면 좀 더 알수 있어요

  • 3. 참고...
    '16.5.21 3:59 PM (125.134.xxx.228) - 삭제된댓글

    생기부 독서활동상황 기록 : 네이버 블로그
    http://m.blog.naver.com/nyangsam/220616730640

    검색만 해도 많아 나오네요..
    줄거리 같은 거 안 쓰고 느낀점. 알게된점.책을 읽고 변화된점
    등 간단히 3~4줄로 쓰던데요...

  • 4. ㅇㅇㅇ
    '16.5.21 4:01 PM (222.101.xxx.103)

    왠만한 일반고는 학교에서 자체 제작한 독서기록장이 있어요 첫면에 기록하는 방법이랄지, 추천도서같은 것도 몇페이지 붙어있구요 두툼한 그 기록장에 양식에 맞춰 기록한후 한번씩 담임한테 내면 생기부에 기록해주죠
    전교권 아니라도 이상한 쌤아니면 다해주지 왜 안해주겠어요
    학교 일년 행사도 훑어보세요
    다독왕 이런 행사도 있는데 그때 이 기록장이 자료가 되는거죠

  • 5. ㅇㅇㅇ
    '16.5.21 4:01 PM (116.38.xxx.236) - 삭제된댓글

    헐 윗분 웬 낭설 퍼뜨리지 마시고 모르시면 댓글도 달지 마세요;
    독서기록은 담임교사 또는 해당 책 관련 과목 담당 교사에게 책을 읽은 감상문을 확인받으면 그 교사가 써주도록 되어 있어요. 기록 내용은 총 글자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무작정 많아질 수 없고, 아이가 쓴 감상 내용을 잘 짜깁기해서 써주도록 되어 있구요.
    교사들이 이거 일일히 쓰는 거 엄청 고역이에요. 물론 아이들 위한 거니까 하긴 하는데, 실제로 입시에서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항목이라 쓰면서도 기운 빠지구요. 그래도 안 써주는 일은 상식적으로 없으니까 이상한 소문 듣지 마세요.

  • 6. ㅇㅇㅇ님
    '16.5.21 4:03 PM (125.134.xxx.228) - 삭제된댓글

    그럼 아이들이 독후감 써서 내면
    선생님이 요약해서 써주신다는 건가요?

  • 7. 고2맘
    '16.5.21 4:17 PM (124.50.xxx.184)

    독서기록은 누구나 써주는거구요
    학기말에 기록할 독서목록 제출하라하면 2~3줄의 간략한 느낌 적어서 담임께 내면됩니다. 보통 한학기에 6~10권정도.
    글자제한수가 있습니다. 진로관련 독서도 포함시키심 좋구요.
    학교에 따라 교과시간에 읽었던 책도 올려주십니다.

  • 8. ㅇㅇㅇ
    '16.5.21 4:26 PM (116.38.xxx.236) - 삭제된댓글

    125.134 / 일단 기본은 그렇죠. 그런데 사실 요약할 내용이 없는 수준의 감상일 때가 굉장히 많아요. 그래서 거의 새로 써주다시피 해야 할 때가 많죠.
    아무튼, 네, 아이가 감상한 내용을 짧게 요약해서 적는 거예요.
    예를 들면
    '토끼와 거북이'(작자 미상)를 읽고 요령을 부리기보다는 항상 정직하게 노력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느낌
    이런 식으로 써주라고 하거든요. 교사가 아이의 감상문을 평가해서 쓰는 게 아니라, 아이의 감상을 그대로 적되 제한된 글자 내에 적어주는 거예요.

  • 9. ㅇㅇㅇ
    '16.5.21 4:30 PM (116.38.xxx.236) - 삭제된댓글

    그리고 다른 분들도 말씀하셨지만.. 학교마다 다른데 요즘은 독서기록부 양식이 다 있어요.
    그러니까 정리하면
    1) 책을 읽는다
    2) 감상문을 쓰고 교사에게 보여준다
    3) 교사에게 감상문 제출로 읽었음을 확인받은 책에 한해서 독서기록부에 자신의 감상을 두세줄 정도로 요약해서 낸다.
    4) 교사가 독서기록부를 보고 나이스에 적는다. 단, 전체 글자 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읽은 책의 권수가 많아지면 두세줄짜리 감상이 그대로 실리지 못하고 매우 축약될 수 있다.

  • 10. 어머,
    '16.5.21 5:22 PM (175.209.xxx.57)

    도움 주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찬찬히 찾아보고 잘 배워나가겠습니다. 감사드려요...

  • 11. 독서록 어려워요
    '16.5.21 6:53 PM (112.152.xxx.96)

    독서록어려워요

  • 12. 어머나
    '16.5.21 7:28 PM (221.148.xxx.142)

    답글주신 분들 저도 같이 감사드려요
    그럼 학종을 준비하는 고1은 인문 사회 과학 예술체육을
    분야별로 몇권 이상씩 기록해두면 좋을까요?
    무작정 많이 적어도 안된다고 얼핏 들은 듯 해서요

  • 13. 원글님 지우지말아주세요
    '16.5.21 8:02 PM (121.182.xxx.126)

    지금 바빠서 대충 읽었거든요
    찬찬히 다시 읽어볼 수 있게 지우지말아주세요~~~ ^^

  • 14.
    '16.5.21 9:26 PM (124.50.xxx.166) - 삭제된댓글

    어렵다
    내신에 수행에 행사에 봉사 독서

  • 15. 고2맘
    '16.5.21 11:18 PM (124.50.xxx.184)

    저희애는 1학년때는 분야별로 골고루 적었어요.
    문학작품도, 사회 과학분야도, 영어원서도요.
    진로관련 책도 넣었구요~
    고등되면 독서할시간 턱없이 부족한거 다아는데
    양만 많이 적는다고 좋은거 아니예요
    영향받은 스토리를 쓸수있는 책을쓰는게 효과적이구요.
    학년올라갈수록 진로관련 책을 추가하는게 좋아요.
    근데 나중에 다른 진로로 바꿀수도 있으니 너무 한분야에
    치중 안하는게 좋아요 적절히 적으세요

  • 16. ㅇㅇㅇ
    '16.5.21 11:27 PM (116.38.xxx.236) - 삭제된댓글

    독서가 아니라 뭐가 됐든, 생기부는 통일성이 중요해요. 이 아이가 장래 무슨 과를 지원하는지에 따라 봉사/독서/동아리/수상내역 등등이 같은 방향으로 기록되어 있어야죠.
    그런 걸 감안해서 독서 관리를 해야죠.
    ....마는, 저건 교육부 지침이고 현실적으로 1학년이 아니라 2학년 때에도 자기 진로 못 정하는 애들이 부지기수니까
    대충 문과/이과 나눠서 그에 맞는 분야에 더 힘을 주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이게 큰 의미가 있는지는 솔직히 의견이 분분하지만
    아이들이 보통은 귀찮아서 놓치는 게, 교과 담당 선생님께 독서기록 써달라고 하지 않거든요. 그냥 담임이나 국어교사한테만(국어과는 보통 독서감상평가한 책이 학기당 한 권 정도는 있으니까 자동적으로 써주게 되거든요) 내죠.
    근데 수학에 관한 책 읽으면 수학교사에게, 과학에 관한 책 읽으면 과학교사에게 써달라고 하면 더 좋다고들 해요. 생기부에 (수학), (과학) 이런 식으로 과목 이름이 찍혀서 나오거든요.

  • 17. ㅇㅇㅇ
    '16.5.21 11:36 PM (116.38.xxx.236) - 삭제된댓글

    권수는 정답이 없긴 하지만.. 독서는 솔직히 말해 마음만 먹으면 가장 조작이 쉬운 분야라서(학생이 감상문을 대충 썼거나 심지어 감상문을 인터넷에서 퍼온 것을 살짝 눈감아주면 그만이니까요) 대학에서 거의 보지 않는 분야예요.
    그래서 무작정 책 읽느라고 공부 안 할 필요는 없죠.
    원래 책 읽는 거 엄청 좋아해서 자발적 독서가 되는 아이가 아니라면 그냥 사물함, 화장실, 침대 옆 이런 데 한 권씩 두고 아침자습시간, 화장실에서, 자기 전에 읽어버릇하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그럼 한 학기에 책 3권은 나오지 않을까요..? 방학 때 좀 몰아서 읽으면 2권 더 읽고 그럼 5권은 채우는데 그 정도만 해도 준수하네요.

  • 18. ㅇㅇㅇ
    '16.5.21 11:39 PM (116.38.xxx.236) - 삭제된댓글

    아.. 그런데 권수를 5권 말씀드린 건 평범한 성적인 학생의 경우를 말씀드린 거예요. 학종에 신경을 많이 쓰는 경우라면 많이 해야죠... 에효 아이들 너무 힘드네요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0791 돌고래쇼를 보며...어떻게 교육 시키는거에요??? 1 동물 2016/05/25 533
560790 부산에 밥 먹을만한 데 추천 좀 해 주세요 - 어머님 생신 2 부탁 2016/05/25 865
560789 진짜 부자들 많나봐요 ㅜㅜ 39 ... 2016/05/25 28,730
560788 백화점 지하주차장 내려가는 심한 s자 구간 운전 잘하는 방법좀 .. 19 궁금이 2016/05/25 6,974
560787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고 싶은데요. 5 화나요 2016/05/25 2,848
560786 머리 숱 엄청 많으신 분들 17 아놔 2016/05/25 4,700
560785 cbs 라디오 알려주신 분 감사해요 5 2016/05/25 1,914
560784 부산에 이런수영장 없나요? 1 질문 2016/05/25 789
560783 그래픽 디자이너로의 인턴생활 9 한국에서 2016/05/25 2,540
560782 미세먼지 나쁜 날에도 이 동네는 그나마 괜찮다!!하는 곳? 6 ** 2016/05/25 1,457
560781 절약방법 좀 알려주세요 4 ㄱㄴ 2016/05/25 2,561
560780 평론가 황장수의 반기문 이야기 1 ^^ 2016/05/25 1,425
560779 드라마 오혜영 그렇게 재밌나요? 27 ii 2016/05/25 3,934
560778 세월호771일)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족들 꼭 만나.. 8 bluebe.. 2016/05/25 410
560777 노 전 대통령은 어떤 과오라도 입도 뻥긋해서는 안 되는 기묘한 .. 1 조정 2016/05/25 909
560776 카페인을 몸에서 빨리 빼려면? 9 괴로워요 2016/05/25 10,315
560775 남자 아이 방은 이렇게 칠해줘도 좋을 거 같네요 5 봉봉 2016/05/25 1,392
560774 오메가 시계 밧데리 교체 - 도움 부탁합니다. 10 시계 2016/05/25 4,680
560773 과일가게에서 남자점원이 엄마 라고 불렀어요-_- 19 mm 2016/05/25 3,971
560772 굉장히 웃긴 기사예요.웃고 가세요 1 ㅍㅎ 2016/05/25 1,344
560771 사각형얼굴 화장할때 턱옆에 무얼바르나요? 9 모모 2016/05/25 1,281
560770 길이가 엄청 긴. 실파. 다듬기 1 2016/05/25 749
560769 전세집 못박은 벽은 도배 새로 해줘야 하나요? 5 전세 2016/05/25 4,555
560768 사춘기 남자 애들 엄마를 만만하게 보나요? 14 사춘기 2016/05/25 4,051
560767 반기문 대선출마 선언이라고 속보뜨는데요 16 반기문 2016/05/25 6,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