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금보험관련 고민하시는 분들 많아서 올려봅니다.

보험 조회수 : 2,854
작성일 : 2016-04-15 17:52:40

유력 보험사에서 오래 근무하다 이직한 사람으로서,(설계사는 아니었고, 본사에서 근무했던 사람이라 상품설계 구체적인건 몰라도 돌아가는 건 압니다.) 연금보험관련 해약을 고민하는 분들이 많으셔서 올려봅니다.


결론적으로, 가입한지 오래되면 될수록 절대절대 해지하시 마시라는 조언을 드리고 싶네요.

특히나 소득공제를 받았던 부분이 있으면 더더군다나 해지하시면 토해내야하는 금액이 생각보다 많으실꺼고,


연금상품을 설계할때 최저 보장이율이 있어요.

5년, 10년 이상 이전에 가입했던 보험의 경우 우리나라가 저금리가 아니었던 때라 이 최저 보장이율이 매우 높지요.

보험료는 기본적으로 설계사 수당 등을 포함한 각종 비용을 차감한 사업비를 차감한 금액을 순수 보험료로 운용하게 되서 해약할때 낸 돈보다 적게 받는 것은 다 아실텐데, 기간이 오래된 보험의경우 이 보험료들이 당시 설정했던 최저 보장이율로 차곡차곡 쌓이게 되니 지금 그 돈을 어디에 넣더라도 이보다 높은 수익률을 올리기 쉽지 않아요.

저도 입사때 회사 켐페인으로 억지로 가입한 연금보험이 있는데 지금도 6.5%로 쌓이고 있습니다. 당시 억지로 가입했던 거라 최소금액만 10년 넣는 걸로 해서 이미 벌써 납입기간 끝났는데, 더 많이 더 오래 안넣은 것을 후회하고 있지요.


요즘 보험사의 부채문제가 심각하다고 하는 것들이 다 이 과거 고금리시절 높은 금리를 약속하여 종신토록, 혹은 최소 80세,70세가 될때까지 이 수익률로 연금을 지급해야 하는 반면 이 자금을 운용해서 낼 수 있는 수익률은 매우 낮아서 생기는 문제거든요(보험사 자산운용은 최대한 안정적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주로 채권에 투자하는데 요즘 수익률2.5% 내기도 쉽지 않아요). 이것을 역마진이라고 합니다.


역마진 문제가 본격화 된것이 꽤 되었고, 예정이율도 시중이율에 따라 변경할수 있도록 대부분 상품이 설계되었지만, 그래도 최저 보장이율은 2% 이상인 것들이 대부분이지요. 5년전 들었던것도 4%대였던것으로 기억합니다. 


회사입장에서는 오래된 계약을 해약해주면 정말 고마운 문제지만, 고객입장에서는 최대한 들고 가야 합니다.


변액연금보험의 경우도 원칙적으로는 수익률에 따라 연금금액이 변동되고(그래서 변액), 사업비로 떼어가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저도 변액보험은 기본적으로 새로 가입하는 것은 반대이고, 저도 하나도 안 갖고 있어요. 보험은 보험만, 자산운용은 자산운용전문 (펀드도 창구에서 가입하면 판매수수료를 너무 많이 떼어가서, 아까와 못들고 그나마 저렴한 온라인 펀드슈퍼마켓에서)으로 따로 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변액연금에서도 원금손실이 날때 원금보장 혹은 최저 수익률을 보장해주는 상품이 있기도 하니 그것을 확인하시고 있다고 한다면 계속 가지고 가시는 것도 나쁘진 않겠으나, 그부분은 각자 판단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만약 이러한 보험사 전체적으로 갖고 있는 부채부담(예전 고금리로 약속한 상품들에 대한 지급부담)이 과거에는 회계적으로 반영이 안되었다면 향후 IFRS 2단계가 도입되게 되면 일시에 시가로 평가되게 됩니다. 이 경우 갖고 있는 자산에 비해 엄청나게 높은 금액이 부채로 계상이 되는 만큼 충분한 자본금, 혹은 지급여력을 쌓고 있지 못한 보험사들 중에는 망하는 곳도 생길 수 있는만큼 (실제 우리보다 저금리를 오래전부터 겪었던 일본에서  대형 생보사들도 많이들 무너졌었죠) 새로 가입하는 것에는 매우 신중하셔야 하겠습니다. 이번 알**생명이 중국계 보험으로 넘어갈때 헐값에 넘겨진 것도, 이러한 예전 상품에 대한 부담으로 새로 쌓아야 할 충당금, 혹은 자본금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금리가 올라가는 상황이면 자연 해결이 되는 문제이긴 하나, 쉽지는 않겠지요.


그러나, 설사 문제가 생기더라도, 이번 알**생명의 경우처럼 인수하는 회사에서 해당 계약을 모두 인수하게 되고, 같은 조건으로 연금을 지급합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즉 인수할 곳도 없어서 망하게 된다면,  공적자금이 투입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긴 합니다만...


새로 드는 것은 엄청 신중해야하지만 (그러나 연금이 전혀 없으신 분들은 세태크를 위해서 세액공제 한도까지는 드는 것 권유드려요) 있는 연금, 특히 변액이 아닌 일반 연금보험을 해지하는 것은 아직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IP : 183.96.xxx.129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룰루
    '16.4.15 6:39 PM (221.138.xxx.80)

    좋은글 잘읽었어요
    해지하지말란건 말그대로 연금보험인거죠?
    변액은 아니구요
    오늘 현재 마이너스인 상태에서 고객센터에 변액물어보니 말씀하신 원금보장이나
    최저수익률 이런건없구요

    각자 알아서 펀드설정하는법뿐이라고 하네요
    그부분은 알아서 하라구요
    사업비 다 빼먹었는데도
    유지비 무슨비 또 월몇만원씩 나가구요;;

    계산해보니 10년간 사업비로 700만원정도를
    가져갔더라구요
    변액은 답없는거같아요 유지하는건;;;

  • 2. ...
    '16.4.15 7:40 PM (222.237.xxx.146)

    얼마전 방송보고 연금 다 해지해야 하냐는 글이 올라올때 답글 달고 싶었는데 분위기상 안했는데 덕분에 묻어서 답글달아요~ 모든 연금 보험이 다 위험한게 아닌데 아깝게 왜 해지하려고 그러나 답답했거든요

  • 3. ㅇㅇ
    '16.4.15 9:21 PM (121.167.xxx.170)

    국민연금 최대 불입하고 추가로 연금 더 넣고 싶음
    개인연금 넣어야할까요?
    무조건 적금이 더 낫나요?
    어차피 세액공제 같은건 상관없다 하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1930 남편 생일 선물로 1 선물 2016/04/26 630
551929 알몸 안철수 23 fact 2016/04/26 1,745
551928 결혼을 앞두고 남자친구와의 의견차이 27 예비신부 2016/04/26 7,381
551927 뒷모습이 아가씨같다는데 12 44세 2016/04/26 2,450
551926 제 2의 imf가 올까요? 10 ... 2016/04/26 4,147
551925 국정원, 비판광고 문구 '깨알 지시'..정부옹호 기사 주선도 2 샬랄라 2016/04/26 553
551924 급질) 집주인이 돈을 날짜에 안준다는데요. 10 세입자 2016/04/26 2,242
551923 “그래도 노무현 대통령은 보살이었지” 2 ,,,, 2016/04/26 1,613
551922 지금 미세먼지어떤가요? 4 high 2016/04/26 1,404
551921  '적반하장' 옥시 "곰팡이·아메바에 오염된 가습기 때.. 8 샬랄라 2016/04/26 1,416
551920 이런 남자친구.. 1 2016/04/26 1,032
551919 51평아파트 에어컨 몇평형 놓아야할까요? 4 82 2016/04/26 2,436
551918 총선이후 여러 싸이트 돌아다녀보니 10 2016/04/26 1,507
551917 문재인과 김성근 감독, 그리고 광적인 지지자들.. 31 일그러진 영.. 2016/04/26 2,045
551916 남편 없이 아기랑 아주 즐겁고 편안한 날들이었는데... 4 휴우우..... 2016/04/26 2,877
551915 전세시 국세체납 여부 어찌 아나요? 4 궁금이 2016/04/26 1,247
551914 도와주세요. 유니온 스퀘어 홀 푸즈에 왔는데 7 ..ㅈ 2016/04/26 1,309
551913 호남에서 반문정서와 호남홀대론은 사실입니다. 14 ,,,, 2016/04/26 1,335
551912 현대아파트 건너편 주택가 살기 어떤가요? 2 압구정 2016/04/26 1,569
551911 28세 여자면 30대 중반 어떻게 보나요? 11 sk 2016/04/26 2,854
551910 전문과외시 중간지점 스터디룸 사용한다는데요 1 전문과외 2016/04/26 1,273
551909 괜찮은 정신과 좀 소개해주세요. 4 망상자 2016/04/26 1,682
551908 내일 아침까지 버틸 수 있겠죠? 5 .. 2016/04/26 2,395
551907 중1 첫시험 완전 멘붕이네요 29 중학생 2016/04/26 6,119
551906 결혼 할 때 집안을 보라는 의미를 알 것 같아요 15 ㅇㅇ 2016/04/26 9,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