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업가집안하고 소시민집안, 전문직집안은 유전자가 다른가봐요

... 조회수 : 6,314
작성일 : 2016-03-25 21:49:32
어릴때 학교를 나름 좋은데 나와서 동창들이 다 잘사는 편이에요.
저는 그냥 부모님 월급쟁이인 소시민 집안 출신이구요.

근데 이게 집안 직업이니 재산만 대를 잇는게 아니라 유전자도 대를 잇나 봅니다.
학교 다닐땐 외모나 공부 이런게 특출나지 않아서 몰랐는데
그저 그런 친구들이 집안 빨로 다들 좋은 집에 시집가서 유한마담으로 살고
SNS에 항상 유럽 구석 구석 여행간 사진 올리더군요.
전 동창하고 거의 연락도 안하고 만나지도 않는데 오랜만에 만난 동창 친구가
그렇게 입에 침이 튀게 누구네는 누구랑 결혼하고 남편이 뭐하고 집안이 뭐하고
줄줄이 얘기하더군요.

근데 느낀게 정말 집안 환경 유전자도 대물림 하나 봅니다.
건물주네 집 동창은 역시 그런 고정수입 받는 남자랑 결혼해서 유복하게 살고
사업해서 부자 집안이였다가 부모가 망해서 고생한 친구는 역시 사업해서 집안 일으켜서 살더군요.

저같은 소시민 월급쟁이는 한푼 한푼 월급에 목매여서 사는데
사업가네 집안 친구는 사업 아이템 뭐 투자하고 인수하고 이런 얘기 아무렇지 않게 하니까
정말 사고방식 유전자가 다르단 생각이 들어요.

주변에 다 그런 동창들이라 일반 직장 다니는 친구들이 없다보니
직장이 넘 힘들다 못다니겠다 이런 하소연 해봤자 공감도 안되고 이해도 못합니다.

일단 전 진짜 개고생해서 받은 월급 모은 돈 이게 내 마지막 목숨줄이다 생각하면
함부로 투자니 뭐니 못하겠는데 사업하던 애는 뭐 돈만 된다면 카페니 뭐니 투자 척척하고
자본금 마련한다고 집도 담보 대출받고
저같은 소시민 새가슴은 도저히 이해 못하고 할 수 없는 일들을 하더라구요.

또 다른 전문직 집안 친구는 아무래도 월급쟁이 마인드를 이해는 하는 거 같습니다.
어차피 전문직도 돈 많이 버는 월급쟁이니까....
진짜 자본주의사회인 게 느껴지네요. 오너와 피고용인 2부류는 유전자도 다르더라구요

그러니까 저같은 소시민은 이렇게 평생 벌벌거리며 살고
그런애들은 사장님 소리 듣고 큰 차 몰고 사는 건가 싶더라구요.

부럽기도 하고 그렇네요.
그런 배포가 없으니 인맥이니 마인드 셋 자체가 없으니 저같은 사람은 평생 큰 돈 한번 구경도 못하고
인생 하직할 듯요.
저커버그나 잡스나 그런 부자들은 다 베팅을 하는 그런 마인드가 기본적으로 탑재된거 같아요.

IP : 220.118.xxx.18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전자의 영향도 무시 못하죠.
    '16.3.25 10:07 PM (122.128.xxx.69) - 삭제된댓글

    일단 성공에 유리한 유전자를 타고난 인물이 성공할 확률이 높고, 그런 인물이 또 다른 성공 유전자를 가진 집안의 자손과 결혼을 하니 후손에게 성공 유전자를 물려줄 확률 또한 높겠죠.
    우리 집안이 그다지 잘난 집안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쨌든 sky를 포함한 대학 출신들이 많고 직업 또한 교수나 교사 혹은 공무원과 괜찮은 기업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거든요.
    하지만 잠깐 과외 비슷하게 가르쳤던 동네 중학생이 그야말로 지잡대에 합격했는데 그 아이가 친가와 외가를 포함해서 그 집안 최초의 대학생이라는 얘기를 전해 듣고는 아직까지도 그런 경우가 있구나 싶었습니다.
    그나마 그 아이가 지잡대 입학이라도 가능했던 건 그 아이 엄마가 힘들게 모은 돈으로 시작했던 동네 사채로 돈을 벌었기 때문이었어요.
    포장마차를 할 정도로 가난하게 살다가 사채를 시작하더니 정말 불 일 듯이 재산이 불어나기 시작하는 눈치더군요.
    지금은 사채로 번 돈이라고 무시 당하고 있지만 그렇게라도 계속 재산이 불어나고 학벌을 쌓아간다면 손자대쯤에서는 소시민의 자식들에게 그렇게 자신이 없냐고 비웃으며 살 수 있게 되겠죠.

  • 2. 유전자의 영향도 무시 못하죠.
    '16.3.25 10:10 PM (122.128.xxx.69)

    일단 성공에 유리한 유전자를 타고난 인물이 성공할 확률이 높고, 그런 인물이 또 다른 성공 유전자를 가진 집안의 자손과 결혼을 하니 후손에게 성공 유전자를 물려줄 확률 또한 높겠죠.
    우리 집안이 그다지 잘난 집안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쨌든 sky를 포함한 대학 출신들이 많고 직업 또한 교직 혹은 공무원과 괜찮은 기업에 근무하는 회사원들이 대부분이거든요.
    하지만 잠깐 과외 비슷하게 가르쳤던 동네 중학생이 그야말로 지잡대에 합격했는데 그 아이가 친가와 외가를 포함해서 그 집안 최초의 대학생이라는 얘기를 전해 듣고는 아직까지도 그런 경우가 있구나 싶었습니다.
    그나마 그 아이가 지잡대 입학이라도 가능했던 건 그 아이 엄마가 힘들게 모은 돈으로 시작했던 동네 사채로 돈을 벌었기 때문이었어요.
    포장마차를 할 정도로 가난하게 살다가 사채를 시작하더니 정말 불 일 듯이 재산이 불어나기 시작하는 눈치더군요.
    지금은 사채로 번 돈이라고 무시 당하고 있지만 그렇게라도 계속 재산이 불어나고 학벌을 쌓아간다면 손자대쯤에서는 소시민의 자식들에게 그렇게 자신이 없냐고 비웃으며 살 수 있게 되겠죠.

  • 3. ,,,,
    '16.3.25 11:17 PM (39.118.xxx.111)

    맞아요,,유전자 집만꼴 잘살펴야해요

  • 4.
    '16.3.26 1:01 AM (219.240.xxx.140)

    사업수완이나 월급쟁이 마인드는 보고 자란게 커요
    저도 월급쟁이라 성실히 일히고 급여받는것밖에 모르고
    부모님도 투자하면 큰일나는줄알고 안해요.

    그치만 부모가 투자잘하고 그럼 어릴때부터 보고 배울수있잖아요. 우리같은사람이야 투자를 책으로 배우지만요 ㅜㅜ

  • 5. 흠흠
    '16.3.26 1:39 AM (175.200.xxx.207)

    부모님께 보고 배운게 커요.
    저는 윗님과 반대로 부모님이 사업수완이 좋으셨는데
    저도 그쪽으론 어릴때부터 잘 알고 흥미가 있었어요
    그리고 부모님이 교사거나 공무원인 친구들은 제가 점쟁이처럼 딱 안답니다.
    아마 그 친구들도 저 보면 다르다고 생각했을 것 같아요.
    마인드의 차이가 꽤 크거든요.
    전문직 부모 월급쟁이 부모 장사로 돈 번 부모 사업가 부모 (장사보다는 좀더 지능적인 류의 자영업)
    는 자녀 교육에 있어서도 되게 다르더라고요.
    서로 경제적 수준이 비슷해도 자녀의 어디에 투자하는지가 달라요.
    전문직(자기 머리로 출세한 부류?) 월급쟁이 쪽은 교육열이 비교적 높아요.
    장사로 돈 번 부모님들은 소득에 비해 연연해하지 않으시고요. 대신 가게 같은 거 호기롭게 내주심.
    사업가 쪽은.. 각기 다르기 한데 자신이 자수성가면 좀 더 학벌에 신경쓰고
    증여받은 거면 좀 덜 한 느낌? 그리고 국내 학벌에 목매달지 않고 안되면 차선을 많이 선택하구...
    여튼 제 친구들 보면서 느낀거네요.

  • 6. ㄱㅅ듸
    '16.3.26 9:39 AM (220.94.xxx.154)

    공무원 자녀들은 좀 세상물정 모르는 부류가 많았고요.
    사업하는집 자녀들은 에티튜드가 달라요.
    타인에게 굉장히 예의바르게 행동함.
    교수나 교사는 기승전 공부...
    사고방식이나 태도 딱딱 달라요.
    유전자뿐 아니라 평생 보고 배우것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4953 집에서 쌀가루 만들려면 말려서 믹서기에 돌리나요? 2 백설기 2016/04/06 1,761
544952 정진후-이정국, 안양 동안을 후보 단일화 최종실패 3 .... 2016/04/06 514
544951 눈썹타투팩 효과 좋은가요? 4 모나리자 2016/04/06 1,744
544950 새누리당 심판을 위해, 3위 후보의 아름다운 사퇴가 이루어 졌으.. 3 탱자 2016/04/06 478
544949 왜 한국 상사들은 유난히 이상한? 사람이 많은 것 처럼 느껴질까.. 3 ....왜그.. 2016/04/06 673
544948 세월호 리본 뱃지 사고싶어요. 8 알려주세요 2016/04/06 1,272
544947 도와주세요~등갈비 폭립 간단히 하는 법이요~ 5 늦었다 2016/04/06 1,694
544946 너무 이쁜 6살 잔소리 어느정도까지 하시는지? 2 엄마 2016/04/06 729
544945 가스건조기 사용하고 계신 분들 도움 부탁 드려요. 7 가스건조기 2016/04/06 957
544944 더이상 뭘해야 빠질까요? 17 다이어터 2016/04/06 2,484
544943 '투표 해봐야 소용없다'는 조선동아, 왜 이러는 걸까요 1 샬랄라 2016/04/06 620
544942 무도 초기때 하하는 왜 정형돈을 대놓고 싫어했던건가요..? 37 궁금 2016/04/06 16,427
544941 전세 만기일 넘긴 경우.. 세입자 2016/04/06 483
544940 한 번 안 보면 영원히 안 보는 타입 30 라떼 2016/04/06 6,403
544939 어린 자녀 어학연수? 10 82쿡스 2016/04/06 1,258
544938 미국으로 아이들과 영어 캠프 올때요 3 soccer.. 2016/04/06 926
544937 알려주세요 쫄쫄면 2016/04/06 269
544936 시어머니 갈치 보내라는 요구.. 9 미미 2016/04/06 4,815
544935 선거철과 선거철 아닐때 북한모습..ㅎㅎㅎ 2 2016/04/06 757
544934 로즈마리?? 5 .. 2016/04/06 817
544933 감정 기복이 큰 성격은 어떤 식으로 마음을 다스리면 좋을까요? 3 감정 2016/04/06 1,364
544932 내시경과 고혈압? .... 2016/04/06 834
544931 외근나왔다가 잠시 농땡이 부리고 있어요 3 ㅎㅎ 2016/04/06 659
544930 파일을 첨부했습니다.. 어떤 표현이 좋을까요? 1 영문메일 2016/04/06 1,043
544929 김을동 토론회 불참하고 그시간에 본인 선거유세 12 ... 2016/04/06 1,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