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더민주 비례대표 명단

비례 조회수 : 2,584
작성일 : 2016-03-23 14:54:22
1 박경미 홍익대 수학교육학과 교수 
2 김종인 당대표
3 송옥주 더민주 홍보국장 
4 최운열 전 서강대 부총장
5 이재정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사무차장 
6 김현권 전 의성군한우협회장 (농민대표)
7 문미옥 (재)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기획정책실장
8 이철희 더민주 전략기획본부장
9 제윤경 주빌리은행 대표, 전 문재인 대선캠프 공동선대위원장
10 김성수 당대변인
11 권미혁 전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12 이용득 전 더민주 최고위원(노동계대표)
13 정춘숙 전 한국여성의전화 상임대표
14 심기준 전 최문순 강원도지사 정무특별보좌관, 현 더민주 강원도당위원장
15 이수혁 전 6자회담 수석대표
16 정은혜 전 더민주 상근부대변인(청년대표)
17 허윤정 전 당 정책위 보건복지전문위원
18 이태수 꽃동네대학교 교수
19 양정숙 한국여성변호사회 부회장
20 유영진 부산시약사회 회장
IP : 173.52.xxx.237
5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
    '16.3.23 2:57 PM (110.47.xxx.80) - 삭제된댓글

    애정이 식은 연인이 새옷 샀다며 잘 샀지 않냐고 자랑하는 꼬라지 같군요.
    새옷 꼬라지라고는 어디서 후진 옷을 바가지 잔뜩 쓰고는 사왔구만은...ㅉㅉㅉㅉ

  • 2. 또또또
    '16.3.23 2:58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19대 때보다는 덜하긴 하지만 역시 운동권이 대세군요.
    이럴려면 왜 비례를 하는건지...

    직능대표, 소회계층 대표라는건 더민주엔 없는 이야기 인 듯...

  • 3. 아....
    '16.3.23 2:58 PM (110.47.xxx.80)

    애정이 식은 연인이 새옷 샀다며 잘 샀지 않냐고 자랑하는 꼬라지 같군요.
    새옷 꼬라지라고는 어디서 후진 옷을 바가지 잔뜩 쓰고는 사왔구만은...
    이 인간은 아까운 돈 처들여서는 옷도 제대로 못사냐.
    ㅉㅉㅉㅉ

  • 4. 아....
    '16.3.23 3:00 PM (110.47.xxx.80)

    저기 누가 운동권인데요?
    시민단체에 이름만 걸면 운동권?

  • 5. 또또또
    '16.3.23 3:00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비례만 보면 딱 정의당이 커졌을 때 예상되는 리스트인데, 합당은 왜 안하죠? 정작 당원들은 왔다 갔다 하는데...

  • 6. ㄴㄴ
    '16.3.23 3:00 PM (118.219.xxx.207)

    누가 운동권이에요?? 그리고 운동권이 나쁘나요?? 친노도 나빠요?? 저는 친일독재가 나쁘지 운동권이 왜 나쁜지 모르겠어요...비꼬는게 아니고..정말 모르겠어요. 저는 운동을 한번도 안해본 사람이지만,,그들에게 빚이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 7. 음음음
    '16.3.23 3:01 PM (59.15.xxx.50)

    제윤경씨가 들어있네요.높은 번호로...축하합니다.

  • 8. 아....
    '16.3.23 3:01 PM (110.47.xxx.80)

    그러니까 누가 운동권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운동을 했는지 알려달라니까요?

  • 9. 또또또
    '16.3.23 3:01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윗님아. 시민단체 누가 만들었는지 조사하면 답 나와요. 눈 가리고 아웅도 정도 껏 해야죠. 그나마 김종인 와서 2012년 보다는 조금 나아졌네요.

  • 10. ㅎㅎ
    '16.3.23 3:02 PM (220.72.xxx.73)

    1번을 못 빼는 이유는 뭘까요
    청년 비례는 한명 밖에 안 올랐나요?
    아니 장하나와 김광진의 활약을 보고도 저러는지.
    에효. 전 2번에 있건 없건 상관없다고 생각해요.
    본인이 경제 민주화의 상징이라 생각하고 거기 들어가던 말던 뭐 어쨌던 당선권에 넣을거면서
    근데 문제는 1번은 무엇을 상징하며.
    청년들은 다 공천도 떨어뜨려 놓고는 대체 정치는 노인들만 해야 한다는 마음인건지.

    그리고 여기 분들도 다 반대 하시겠지만.
    조선족 출신의 국회의원도 필요할테구요.
    청년 유니온 같은거 하는 친구들도 다 국회 입성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국회에 들어가는 자리가 나이 많고 기득권인 사람들로 채워질때 진짜 특권이 시작되거든요.

  • 11. 아....
    '16.3.23 3:03 PM (110.47.xxx.80)

    김종인이 운동권인가 보네.
    김영감은 그 연세에도 운동에 열심인 갑소.
    뭔 운동을 하시남?

  • 12. ㄴㄴ
    '16.3.23 3:03 PM (118.219.xxx.207)

    목숨걸고 광장에서 돌맹이라도 하나 던진 사람들...너무 존경스러워요...저는 대학때 내 학점관리한다고 데모를 하던지 뭘하던지 관심도 없었고...그런가부다 했어요. 우리는 김근태 이해찬 같은분들...독재에 목숨걸고 항의분들에게 고마워해야하지 않나요? 이해찬님 어디 영상보니...알츠하이머 증상 있으신거 같은데,,고문받은 휴유증 아니에요?? 정말 너무 가슴아프네요...
    독재를 나쁘다해야지..왜 운동권을 나쁘다고 하는거죠???

  • 13. 또또또
    '16.3.23 3:04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운동권이 나쁜게 아니라 원래 비례라는게 직능대표나 소외계층 뽑아서 지역구로 올라오기 힘든 계층을 대변하고 법안도 심사하게 만드는게 목적이에요.

    저 리스트가 그런 명분에 어울린다고 보시는지?

  • 14. 그러니까
    '16.3.23 3:04 PM (118.219.xxx.207)

    저기에 누가 운동권이냐구요...

  • 15. ^^
    '16.3.23 3:05 PM (147.47.xxx.104)

    권미혁, 정춘숙 씨, 좋은 여성정책 많이 내주세요.^^
    처음 리스트 보고 비례 4번 가야 하나 싶었는데, 지지하는 분들이 당선 안정권이라 한시름 놓았네요.
    두 분 다 여성정책 쪽으로 실속 있는 법안들을 많이 내실 거라 믿어요.

  • 16. 시민단체라고 모두 운동권?
    '16.3.23 3:06 PM (110.47.xxx.80)

    ㅋㅋㅋㅋㅋㅋ
    종편 시청자들이 이렇게 많구나...
    통 개념이 없네.
    시민단체라고 모두 운동권이면 어버이연합도 운동권이겠네?

  • 17. ..
    '16.3.23 3:06 PM (119.18.xxx.198) - 삭제된댓글

    이해찬님의 회한을 어떻게 짐작할 수 있으리오

  • 18. 아....
    '16.3.23 3:07 PM (110.47.xxx.80)

    그리고 첫댓글님.
    소회계층은 어떤 계층인감요?
    설마 작은 모임을 하는 계층?

  • 19. 또또또
    '16.3.23 3:07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위에 나와있는 단체가 몇개 빼고 거의가 운동권 단체니까 알아서 찾아보세요.
    운동권 문재인 측근 더민주 당직 TV에 알려진 유명인 전문인으로 구성됐네요. 그나마 김종인이 전문 직업군에서 뽑는 모양새를 만들었는데, 비대위에서 저렇게 바꾸어버렸군요.

  • 20. 하이고
    '16.3.23 3:09 PM (112.145.xxx.27)

    또../ 제대로 알고 입도 놀려야지요!!!

  • 21. ㅋㅋㅋ
    '16.3.23 3:09 PM (122.43.xxx.32)

    정청래의원은
    친노인가요
    친박인가요

  • 22. 아....
    '16.3.23 3:09 PM (110.47.xxx.80)

    변호사, 약사, 교수, 농민, 노동계...는 전문 직업군이 아니군요.
    그럼 또또또~님이 생각하는 전문 직업군은 어떤 분들인감요?
    어버이 연합?

  • 23. 농민단체대표가
    '16.3.23 3:10 PM (119.67.xxx.187) - 삭제된댓글

    소외계층을 대변화고
    채무 가득한 사람들 주빌리은행 만들어 사민금융 살리자는게 그럼 기득권인가요??
    저분들이 전문가 아니고 누가 전문가인가요??
    론스타 은행 먹튀론으로 외국자번 한국유입을 적극 옹호한 최운영 학제민주화 김종인씨와
    이론면에서 반대쪽인데 양쪽 균형 맞추자고 올린거랍니다.

    한쪽으로 너무 쏠리면 균형 잡기 어렵고 누군가 견제를 하도록 김대표 스스로 올린건 아주 부정적으로 보고 싶지 않아요.알파고 때문에 논문표절로 알려진 박경미교수도 코에걸면 토코걸이로 합리화 할수 있지머ㅏㄴ 비례상징으로 1ㅂ골린

  • 24. 또또또
    '16.3.23 3:11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무식해서 그런가, 아니면 국민을 무식하게 생각하는건가...
    1980년대 대학생 거의 전부가 운동권이었어요. 그래서 386세대 = 386운동권인거고... 뭐 민주화가 되는 시기니까 그랬던거고..
    그 사람들이 정치에 들어오지 못하는 사람들 중 세상 바꾸어 보자고 하는 사람들이 하는게 대부분의 시민단체인거고, 그 단체는 예전에 참여연대라는 이름으로 활동한거고...

    그런데, 지금 할 만큼 하지 않았나? 젊은이들은 누가 대변해 주고, 문화콘텐츠 업체, 1인 미디어, 벤처기업, 동네 자영업자들 등등... 이런 사람들 대변하라고 비례만들었더니... 자기들끼리... 음냐...

  • 25. 표절교수를
    '16.3.23 3:11 PM (119.67.xxx.187) - 삭제된댓글

    비례1번으로 올린건 억지스러운데는 있지만 나름 꿰어 맞추면 새누리스럽게 이해 못할것도 없지만
    2ㅂ

  • 26. 또또또
    '16.3.23 3:12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ㅎㅎㅎ 지금 국회의원 대부분이 변호사인데, 뭔 변호사가 더 필요하나요? 게다가 약사???? 약사의 권리를 뭘 더 보장해요?

  • 27. 저기
    '16.3.23 3:13 PM (116.125.xxx.103)

    운동권이 누군데?그리고 운동권이 뭐죄지었어
    운동권이 자기들 사리사욕으로 운동했어?
    너 민주주의 지켜줄라고 한거야
    붕신 알지도 못하면서
    그나저나
    이철희 이인간때문에 아 짜증나

  • 28. 또또또
    '16.3.23 3:14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답답하네, 운동권이 잘못된게 아니라, 비례에 운동권을 왜 올리냐는거지... 난독인가 -_-;;

  • 29. 그런데
    '16.3.23 3:14 PM (203.247.xxx.210)

    수학교육은 전생에 무슨 일을 했길래
    왜 1번인가요?

  • 30. 또또또님아~
    '16.3.23 3:15 PM (110.47.xxx.80) - 삭제된댓글

    그러니까 변호사, 약사, 교수, 농민, 노동자 외의 전문 직업군으로 비례대표로 권리보장이 꼭 필요한 직업군이 뭐냐니까요?
    어버이 연합?
    혹은 김종인 추천한 비례대표?

  • 31. 또또또님아~
    '16.3.23 3:15 PM (110.47.xxx.80)

    그러니까 변호사, 약사, 교수, 농민, 노동자 외의 전문 직업군으로 비례대표로 권리보장이 꼭 필요한 직업군이 뭐냐니까요?
    어버이 연합?
    혹은 김종인이 추천한 비례대표?

  • 32. ㅁㅁ
    '16.3.23 3:15 PM (175.116.xxx.216)

    어쨌든 조정된게 훨 낫네요.. 그 김숙희인지 뭔지 하는 여자는 빠진거죠?

  • 33. ..
    '16.3.23 3:16 PM (163.152.xxx.154) - 삭제된댓글

    지금 국회의원 대부분이 변호사인데, 뭔 변호사가 더 필요하나요? 게다가 약사???? 약사의 권리를 뭘 더 보장해요?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
    22222222

  • 34. 운동권의 정의
    '16.3.23 3:17 PM (110.47.xxx.80) - 삭제된댓글

    운동권(運動圈)이란, 대한민국에서 사회 개혁, 변혁 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자...저 중에서 누가 대한민국의 사회 개혁이나 변혁을 위해 몸바쳤던 후보일까요?

  • 35. 운동권의 정의
    '16.3.23 3:17 PM (110.47.xxx.80)

    '운동권(運動圈)이란, 대한민국에서 사회 개혁, 변혁 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자...저 중에서 누가 대한민국의 사회 개혁이나 변혁을 위해 몸바쳤던 후보일까요?

  • 36. 또또또
    '16.3.23 3:17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윗님아 사회적 약자 몰라요? 새누리는 19대 때 그나마 외국인 포함된 가정들 권리보장 필요하다고 이자스민 코스프레라도 했어요.
    한국에 도움 필요한 사람 몰라서 물어보는 거에요?
    그 많은 환자들, 혼자 사는 독거 노인들, 이혼 후 아이 키우기 힘든 사람들, 직장 못 잡고 우울해 하는 그 많은 사람들, 동네 어두워서 위험해하는 동네 주민들, 올바른 교육 받지 못하는 아이들 등등...

    정말 몰라서 물어보는거임?

  • 37. ㅋㅋㅋㅋㅋ....또또또~
    '16.3.23 3:20 PM (110.47.xxx.80)

    그래서 이자스민 처럼 국회에서 초코렛이나 까먹을 인물들을 비례로 뽑으라고?
    어디보자~ 환자와 독거노인과 미혼모와 백수와 빈민촌 거주민과 학대받는 아이들이 국회에 모여서 뭘 어떻게 하려나?

  • 38. ,,,
    '16.3.23 3:21 PM (119.67.xxx.28) - 삭제된댓글

    도대체 박경미라는 수학교수가 뭔 일을 했길래, 아님 무슨 상징성이 있다고 떡하니 1번인가요?
    저사람이 김종인 마누라의 동생이 추천했다는 그 여자죠?

  • 39. 박경미는
    '16.3.23 3:22 PM (110.47.xxx.80)

    어려운 수학문제로 고통받는 학자들과 학생들의 권리를 찾아주기 위해 김종인 영감님께서 특별히 영입하신 인물입니다.
    감사한 줄 아세욧!!!

  • 40. 또또또
    '16.3.23 3:22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윗님은 그럼 사회 취약계층은 국회에 보낼 필요 없다? 그냥 교수 변호사 약사 게다가 운동권 시민단체 간부를 투표없이 국회의원으로 올려야 한다?

    애초에 비례가 왜 필요한데요?

  • 41. 또또또
    '16.3.23 3:23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수학문제로 고통받는 학생 생각하면.. 음... 감사의 기도를...

  • 42. 저기
    '16.3.23 3:26 PM (180.66.xxx.3)

    정청래는 비문

  • 43. 또또또님아~
    '16.3.23 3:29 PM (110.47.xxx.80) - 삭제된댓글

    직능을 대표하는 인물이란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뜻하는 게 아니라 그 직업이나 계층에 속한 사람들의 이익을 대변할 능력이 되는 사람을 뜻하는 거랍니다.
    국회의원이 직접 그들의 이익을 위해 뛰어다니는 게 아니라 정부를 상대로 그들을 위한 정책들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가 살펴보고 그들에게 꼭 필요한 예산도 확보를 해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그런 인물들 말입니다.
    때문에 그들을 위한 일을 해왔다는 단체의 인물들이 비례대표로 선정될 수밖에 없어요.
    정작 진짜 사회 취약계층은 정부를 상대로 일을 할 능력이 없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세월호 변호사인 박주민을 지역구로 돌린 것은 천발받을 짓인 거죠.
    박주민 변호사야말로 사회구조적인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서도 어쨌든)로 재난을 당한 사람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또다시 그런 재난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적당한 인물 중에 한 사람인데 말입니다.

  • 44. 또또또님아~
    '16.3.23 3:30 PM (110.47.xxx.80)

    직능을 대표하는 인물이란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뜻하는 게 아니라 그 직업이나 계층에 속한 사람들의 이익을 대변할 능력이 되는 사람을 뜻하는 거랍니다.
    정부를 상대로 그들을 위한 정책들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가 살펴보고 그들에게 꼭 필요한 예산도 확보를 해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그런 인물들 말입니다.
    때문에 그들을 위한 일을 해왔다는 단체의 인물들이 비례대표로 선정될 수밖에 없어요.
    정작 진짜 사회 취약계층은 정부를 상대로 일을 할 능력이 없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세월호 변호사인 박주민을 지역구로 돌린 것은 천발받을 짓인 거죠.
    박주민 변호사야말로 사회구조적인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서도 어쨌든)로 재난을 당한 사람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또다시 그런 재난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적당한 인물 중에 한 사람인데 말입니다.

  • 45. ㅇㄱㅇㅂ
    '16.3.23 3:33 PM (175.223.xxx.68)

    또또또 바부.
    자기생각이 없네.

  • 46. 또또또
    '16.3.23 3:37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네요. 국회에서 예산확보나 법을 만드는 작업은 혼자 못해요. 박주민 변호사 개인 능력이 얼마건 간에 그런 일들은 불가능하죠. 최소 국회의원 10명 정도는 붙어야 가능하고, 더군다나 야당이라면 예산까지 가는건 불가능에 불가능이죠. 그게 목적이면 차라리 새누리에 들어가서 땡깡이라도 부리는게 가능성이 더 높아요.

    이자스민 욕하는 분들 많은 것 같은데, 이자스민이 한 일이 그런 거에요. 보통 사람들이 모르는 것들 이것저것 모으고 조사해서 다른 의원들 찾아가서 도와달라고 조르고 조르고 또 조르고... 그리고, 하나 더... 일반인들에게 그런 이슈에 대해서 이슈메이커로서의 역할도 해야죠.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니까...

    박주민 같은 분이 국회로 들어가서 뭘 했죠? 국정원 사건 터져서 국회로 들여보낸 권은희는 무슨 역할을 했나요?

    그런 것들은 기존 국회의원이 하게 국민으로서 압력을 가해야 하는거에요.

    비례는 정말 국민이 잘 모르는 것들을 국회의원에게 알리고, 조르고 졸라서 법안 발의하고, 국민에게 당위성을 소개하고... 정말 어려운 자리고, 매일매일 뛰어다녀야 하는 자립니다. 왜 지역구 국회의원이 해야 하는 일을 비례에 맡기려고 하는지 모르겠네요.

  • 47. ...
    '16.3.23 3:48 PM (66.249.xxx.208)

    1번 번호 좀 바꾸지...

  • 48. 또또또님아~
    '16.3.23 3:48 PM (110.47.xxx.80) - 삭제된댓글

    맞아요.
    국회에서 예산확보나 법을 만드는건 의원 개인의 힘만으로는 힘들어요.
    법안의 제정능력은 물론이고 발의에 동참할 여러 의원들을 설득할 수 있는 능력까지도 필요하죠.
    그런데 무식한 사회 취약계층이 그게 가능하겠어요?
    법안을 만들고 잘나빠진 타 국회의원을 설득할 능력이 갖춘 인물이 사회 취약 계층으로 살아갈 이유가 뭐랍니까?
    그 정도의 인물이라면 국회의원 아니라도 이미 사회 취약 계층은 벗어나 있습니다.
    그리고 박주민 변호사는 국회의원이 아니었으니 국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었습니다.
    세월호 유가족들을 위해 열심히 뛰어다니는 것밖에 할 수 있는 게 없었어요.
    그래서 국회의원이라는 힘이 필요한 겁니다.
    그래서 당선 가능성이 낮은 지역구가 아니라 순번만 좋으면 당선이 확실한 비례를 줬어야 하는 거구요.
    그리고 지역구 국회의원과 비례의원이나 하는 일은 똑같습니다.
    비례의원은 정당의 지지자들이 정당에 보내는 지지를 바탕으로 각 정당이 자신들 정당의 정체성에 맞는 인물을 의원으로 선출하는 것이고, 지역구는 지역구민들이 직접 그 정당의 정체성에 맞는 인물로 선택해서 국회로 보내는 주는 겁니다.
    선출자가 지지자들의 위임을 받은 정당에서 하는 것이냐, 아니면 지역구민들이 직접 보내주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때문에 지역구 의원들이 내세우는 지역발전의 공약은 사실 국회의원들의 몫이 아닙니다.
    그런 공약은 지자체장들이나 내세워야 하는 겁니다.
    지역발전에 대한 공약은 사실 국회의원들의 월권이네요.
    그런 의미에서 재선을 위해 지역구에 신경써야 하는 지역구 의원보다는 비례대표들이 국회의원 본연의 임무에 더 충실할 수 있는 거랍니다.

  • 49. 또또또님아~
    '16.3.23 3:50 PM (110.47.xxx.80)

    맞아요.
    국회에서 예산확보나 법을 만드는건 의원 개인의 힘만으로는 힘들어요.
    법안의 제정능력은 물론이고 발의에 동참할 여러 의원들을 설득할 수 있는 능력까지도 필요하죠.
    그런데 무식한 사회 취약계층이 그게 가능하겠어요?
    법안을 만들고 잘나빠진 타 국회의원을 설득할 능력이 갖춘 인물이 사회 취약 계층으로 살아갈 이유가 뭐랍니까?
    그 정도의 인물이라면 국회의원 아니라도 이미 사회 취약 계층은 벗어나 있습니다.
    그리고 박주민 변호사는 국회의원이 아니었으니 국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었습니다.
    세월호 유가족들을 위해 열심히 뛰어다니는 것밖에 할 수 있는 게 없었어요.
    그래서 국회의원이라는 힘이 필요한 겁니다.
    그래서 당선 가능성이 낮은 지역구가 아니라 순번만 좋으면 당선이 확실한 비례를 줬어야 하는 거구요.
    그리고 지역구 국회의원과 비례의원이나 하는 일은 똑같습니다.
    비례의원은 정당의 지지자들이 정당에 보내는 지지를 바탕으로 각 정당이 자신들 정당의 정체성에 맞는 인물을 의원으로 선출하는 것이고, 지역구는 지역구민들이 직접 그 정당의 정체성에 맞는 인물로 선택해서 국회로 보내는 주는 겁니다.
    지지자들의 위임을 받은 정당에서 선출 하느냐, 아니면 지역구민들이 직접 보내주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때문에 지역구 의원들이 내세우는 지역발전의 공약은 사실 국회의원들의 몫이 아닙니다.
    그런 공약은 지자체장들이나 내세워야 하는 겁니다.
    지역발전에 대한 공약은 사실 국회의원들의 월권이네요.
    그런 의미에서 재선을 위해 지역구에 신경써야 하는 지역구 의원보다는 비례대표들이 국회의원 본연의 임무에 더 충실할 수 있는 거랍니다.

  • 50. ㄴㅇ
    '16.3.23 4:05 PM (221.149.xxx.14) - 삭제된댓글

    가만보면 대학때 짱돌 한번 안 들어 본 사람들이 운동권에 대한 환상이 좀 있어요.

  • 51. 또또또
    '16.3.23 4:17 PM (220.126.xxx.191) - 삭제된댓글

    비례가 지역구에 비해서 지역구 관리가 없어서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다는건 19대 비례 때 허구로 밝혀졌죠.

    3년 차 정도부터 재선 생각하고 지역구 챙기기 시작하는게 비례에요. 비례대표도 사람인데 재선 생각 안하겠어요?
    비례의원이 정당의 정체성에 맞는 인물을 의원으로 선출하는 거라면 비례대표가 왜 필요한가요? 왜 국민들이 정당의 정체성에 맞는 인물을 특별히 뽑아줘야 하나요?

    비례는 정당의 특권이지만, 특권을 준 이유는 정당 색깔에 맞는 사람을 인위적으로 국회로 올리라고 있는게 아니에요. 사실 대통령제 소선거구제에 비례라는게 있다는거 자체가 이상한거죠. 차라리 의원내각제로 가던지요...

    이 부분은 개인생각차가 있는 것이니까 님의 생각이 틀렸다라는건 아닙니다. 다만, 비례라는 특권을 정당에게 부여했다면, 그 의미에 맞는 사람을 올려야 한다는 거죠.

  • 52. ....
    '16.3.23 4:38 PM (123.213.xxx.15) - 삭제된댓글

    1번 4번 8번 파내고 싶네요.

  • 53. ....
    '16.3.23 4:39 PM (211.246.xxx.138) - 삭제된댓글

    1번 4번 8번 파내고 싶네요.

  • 54. ......
    '16.3.23 4:41 PM (59.8.xxx.215) - 삭제된댓글

    9번 추가요. 3=3=3=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3390 왜 이리 일을 못할까요? 2 say785.. 2016/04/01 717
543389 화장품 인생템 뭐 있으신가요? 30 ... 2016/04/01 10,513
543388 장국영이 만우절에 세상을 떠났죠.. 14 2016/04/01 1,983
543387 대학교육이 필요없을수도 있지만 5 ㅇㅇ 2016/04/01 771
543386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해 여쭙니다. 3 궁금 2016/04/01 1,000
543385 정청래 의원은 유세의 달인~ 7 손혜원 2016/04/01 1,052
543384 중산층의 비애 16 .... 2016/04/01 4,797
543383 맛있는 시판 토마토 파스타 소스 15 맛있을까? 2016/04/01 3,100
543382 입벙이 났는데. 4 ㅠㅠ 2016/04/01 590
543381 구립 도서관책을 온라인으로 신청해서 우리동네 무인대여기에서 받아.. 2 세상 좋아졌.. 2016/04/01 468
543380 지금의 중고등학생 경쟁이 의미가 있을까요 11 ㅇㅇ 2016/04/01 1,716
543379 '인천' 국민의당 후보 절반, 야권연대에 전향적 3 샬랄라 2016/04/01 519
543378 11번가에서 옷사면 별로일까요? 2 ........ 2016/04/01 647
543377 질투도 심하고 자기비하도 심하면서 자랑도 심한사람 5 .. 2016/04/01 2,357
543376 국민연금 얼마씩들 넣으세요 11 2016/04/01 3,545
543375 4월 그리고 만우절... 3 내일 2016/04/01 542
543374 강아지 목욕은 얼마만에 11 도그맘 2016/04/01 1,571
543373 제왕절개하신님 전신마취? 하반신마취? 뭐하셨어요? 6 제왕절개 2016/04/01 2,856
543372 아기를 놓다.. 33 ㅡㅡ 2016/04/01 5,500
543371 송혜교 베스트글 논란..처음이 아니지요. 2 ... 2016/04/01 1,706
543370 [여름휴가] 해운대 파크하야트 호텔 vs 파라다이스 어디가 나을.. 7 휴가 2016/04/01 1,553
543369 초3 학교 시험, 5과목 다 보는거 맞나요? 2 궁금 2016/04/01 682
543368 망할 미세먼지, 대책은 세우고 있는 걸까요? 3 망할 2016/04/01 852
543367 이 문제 좀 풀어주세요. 2 .영어수학문.. 2016/04/01 402
543366 번역 부탁드려요. ^^ 4 번역 2016/04/01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