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선진국의 교육은 어떻게 다른가요

ㅇㅇ 조회수 : 825
작성일 : 2016-03-11 23:08:27

 

프랑스 바깔로니아 시험은 유명하던데

거의 논술이던데

이렇게 논술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걸 중요시여기는지

 

미국의 교육은 또 어떻게 내용면에서 다른지

궁금합니다.

 

경험담을 들으니까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10개의 구슬묶음을 가지고

3개나 5개로 나누는 연습

우리처럼 구구단 외우지 않고

저렇게 놀다보면 보수의 개념을 저절로 익히고

분수의 개념을 충분히 익히게 된다고

그런다음 연산을 익힌다고 ...

 

사회나 다른 문학 과학 수업은 어떤지

어떤면에서 세계를 리드하는 교육을 하는지

경험담좀 알려주세요

IP : 58.123.xxx.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_-
    '16.3.11 11:59 PM (1.127.xxx.90)

    호주 초딩 3학년 맘인데요, 교과서도 제대로 없는 거 같던데요, 알아서 책사라고
    출판사 북클럽전단지는 꽤 자주 보내고
    뭐 1학년 때부터 쇼 앤 텔 발표하기 그런거 하고 마인크라프트 겜
    안하는 애들이 없데서 게임기도 사줬네요
    수영레슨 30분인가 할려고 줄 쫙서서 버스타고 다니기도 하고 아이는 땡볕에
    새카맣게 타지.. 운동회도 안보내고 싶어요
    왕따없고 그런건 괜찮은 듯요

  • 2. 미국은 천차만별
    '16.3.12 12:24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주마다 다르고, 학군마다 다르거든요.

    어떤 주는 학생들을 주입식으로, 명령에 복종하게 가르치고요. 드레스코드, 뭔 코드... 애들 억압하는 규율들이 많고요. 그것을 학교에서 차별하는 애들에게만 적용해서 억압하는데 쓰기도 합니다.
    어떤 학군에서는 유럽식으로 애들에게 뭐든지 토론해라, 에세이 써와라... 엄청나게 애들이 주도해야 하는 학습을 가르치기도 하고요.

  • 3. 외우기
    '16.3.12 2:29 AM (73.42.xxx.109)

    그냥 외우기는 별로 없어요.
    역사를 가르치면... 어떤 전쟁이나 인물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넣어서 글쓰기를 해야 해요.
    간단한 페이퍼 쓰기라고 해야 하나... 초등이면 거우 1-2페이지지만...
    그냥 베겨쓰기는 안되고....
    언어 시간에도 물론 쓰기를 많이 시켜요... 설명문, 자긴의 의견을 담은 쓰기, 창작 글쓰기...등등...
    시험을 봐도, 번호 찍는건 한 페이지 정도 나오고 뒤에 꼭 주관식 논술형 문제가 있어요,
    선생님들이 그거 다 읽어보고 채점하기도 쉽지 않을 듯해요.

  • 4. 미국
    '16.3.12 2:50 AM (73.34.xxx.5)

    학구열이 대단한 동부나 서부가 아니라 그냥 중부 시골 작은 사립학교에 다니기 때문에 한정된 시각일 수 있겠지만 제가 참 좋아하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들을 말씀드리자면,

    1. 책을 많이 읽힙니다. Bingo Book 은 전교생 전체가 참가하고 Book Report는 학교 선생님이 매달 아이들에게 프로젝트, 다른 장르 책 읽게 하고 만들어서 발표 시켜요.
    2. research 관련. 많아요. 초등 2학년때부터 시사 뉴스를 읽고 자기가 정리해서 발표시키고 있어요.
    3. 사이언스 프로젝트, 아트 프로젝트등 장기 프로젝트가 많습니다. 처음부터 가설을 만들고 생각을 모은 후 단계별로 어떤 실험이나 작업을 하는 그 기간의 일이 공부보다 더 힘들수도 있지만 얻는것도 많아요.
    4. 수업시간 발표 - 수업시간에 시간이 남을때 특히 선생님이 아이들을 하나씩 나와서 발표하는걸 참 많이 시켜요. 그리고 듣는 자세도 가르쳐주고요. 그러다보니 질문과 토론이 활성해지겠죠. 제가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에요.

    아이들에게 생각을 많이 물어요. 창의적인 생각을 적는 연습도 많이 시키구요. 리더쉽 과정들을 보면 대부분 나 자신을 알고 상대방을 알고 그리고 주변 모든 사람들의 마음을 알아가는 과정을 기본으로 가르치고들 있거든요. 그래서 여기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게 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게..

    나중에 좋은 대학 들어가고 안들어가고 이전에 하나의 인격체로서 타인과 교류하고 의사를 표현하는 것부터 가르치니까 참 좋은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8763 롱코트길이 야상 중학교 총회복장으로 어떨까요 2 ㅡㅡㅡㅡ 2016/03/17 1,236
538762 화장실에서 하수구냄새 왜 날까요? 3 갑자기 2016/03/17 2,288
538761 코스트코 바지락살 샀는데 씻어야겠지요 5 아마 2016/03/17 2,438
538760 육포 집에서 만들어 보신분~ 8 도전 2016/03/17 1,582
538759 고등 학부모 총회에 교장선생님 말씀 7 우주 2016/03/17 3,397
538758 초콜렛 이름 어떻게 찾아야 할지 모르겠어요 3 .. 2016/03/17 703
538757 싫은것들 써봐요 50 늘보 2016/03/17 6,494
538756 반항하는 초6 6 질문 2016/03/17 1,534
538755 고등학교 선생님들 나이대가 어떻던가요? 5 이런거 2016/03/17 1,069
538754 이쁜적이 없었어요..나이드니 더 암울.. 82 니모 2016/03/17 17,909
538753 조카가 고등검정로 입학 하는데(도와주세요) 4 걱정 2016/03/17 825
538752 1년전 공항에서 환전한 인도돈인데 4 영이네 2016/03/17 1,111
538751 아버지 희수연 케이크 주문하려고 하는데 어디가 잘할까요..? 5 도돌이 2016/03/17 1,357
538750 성남 복정동 어때요?? 4 막내 2016/03/17 2,043
538749 혼자 여행 다녀올만한 곳 7 2016/03/17 1,697
538748 37살에 둘째 낳으면 좀 늦은편이죠? 12 789 2016/03/17 6,043
538747 썸 타는 기간? 1 ㅣㅣ 2016/03/17 1,342
538746 뚝배기 좋은거는 어디에서 판매하나요? 14 뚝배기 2016/03/17 4,480
538745 결혼식 부조금 얼마가 적당 8 초원 2016/03/17 2,314
538744 아파트리모델링하면 며칠동안 어디가서 사셨어요? 4 행복한하루 2016/03/17 2,705
538743 아이 너무 시켜먹는 음식 주나요? 5 입짧은 아이.. 2016/03/17 2,013
538742 펀드 고수분들 계세요??제 펀드좀 봐주세요 6 고민녀 2016/03/17 1,539
538741 강북서 키자니아가요.. 버스 도움좀 부탁드려요 2 내일 2016/03/17 474
538740 피코크 돈까스 12 별론데 2016/03/17 4,418
538739 안산 국회의원 박순* 이랑 싸울뻔 했어요~ 30 안산 2016/03/17 3,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