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동부모와 달리 아이둘부모는 자신의 인생을 포기해야하나요?

평안한마음 조회수 : 5,030
작성일 : 2016-03-02 14:43:03
아이하나일때는 부부의 삶,여가도 충분히 즐길수있는데
애가 둘이 되면 모두 포기하고 부모로서만 살아야된다는 말을 봤는데요...
정말 그런가요? 아님 다소 부정적인 의견인가요?
둘째가 3살정도 되기전까지는 네배이상 죽도록 힘든건 아는데
그이상커도 그럴까요?ㅜㅠ

현실에선 대부분 둘은 낳으시던데 다들 부모로서의 삶에 집중하고 미래를 기약하고 사시는건가요?
솔직히 희망적인 답변을 기대합니다만ㅠ 현실을 가르쳐주세요~


덧.
포기하는 인생이란건 나개인의 취미나 여가생활(운동,공부등)을 즐길 시간,심적여유가 없는것이요...
경제적인부담은 당연히 알고있어요ㅠㅠ
IP : 114.204.xxx.13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현실
    '16.3.2 2:45 PM (121.131.xxx.108)

    요즘은 어느 정도 사는 경우 30대 초반까지 지원해 줘요.
    교환학생 어학연수 혹은 적어도 영어학원비..
    아이 하나당 3억 정도 든다고들 하는데 지나고 보니 얼추 비슷하게 들었어요
    현금 수입이 없는 집들이야 아무것도 못해주겠지만
    부모가 저 정도 지원 해 주는 집의 자녀들과는 출발선이 다르긴 합니다.

  • 2. 현실
    '16.3.2 2:46 PM (121.131.xxx.108)

    아이가 어렸을 때는 몸만 고달프지만, 초등 고학년 되면서는 현금이 엄청 나게 들어가요.
    그래서 하나 이상 못 두는 거예요.

  • 3. 아들둘맘
    '16.3.2 2:49 PM (110.70.xxx.189)

    돈이 확실히 많이 들어가요.
    저희남편이랑 자주 하는 얘기가 애셋이면 밖에서 커피한잔씩 사먹는것도 망설여지겠다네요ㅎ

  • 4.
    '16.3.2 2:50 PM (49.175.xxx.96)

    제3양육자없인
    주변엄마들보면 자기이름도 사라지더라구요

    저는 외동인데도
    내인생이 없어요 잠자는것조차..

  • 5. 저는
    '16.3.2 2:50 PM (125.149.xxx.181)

    둘째 낳은 이후로 백화점에서 옷사입는걸 중단했어요.. 그래도 둘째 낳은거 후회는 없습니다

  • 6. ..
    '16.3.2 2:52 PM (210.217.xxx.81)

    부모노릇 잘하는게 제 삶을 사는거죠
    이런거 저런거 따지기엔 현실이 너무 바쁘네요

  • 7.
    '16.3.2 2:52 PM (58.149.xxx.45)

    저 애 둘인데 중등 고등 되니 돈이 무지 듭니다
    식비 용돈 학원비 등등 돈 500이 돈도 아니게 깨집니다

  • 8. 새옹
    '16.3.2 2:57 PM (1.229.xxx.37)

    자식 키우는걸로 제 2 인생 시작 아닌가요 어차피 아이들 대학들어가면 할일도 없어 자식한테 집착하게.된다면서요

  • 9. 구름의 발생
    '16.3.2 3:00 PM (210.180.xxx.2) - 삭제된댓글

    아이하나일때는 부부의 삶,여가도 충분히 즐길수있는데
    애가 둘이 되면 모두 포기하고 부모로서만 살아야된다는 말을 봤는데요...
    정말 그런가요? 아님 다소 부정적인 의견인가요?
    -----------------------------------------------------------------
    케바케입니다


    둘째가 3살정도 되기전까지는 네배이상 죽도록 힘든건 아는데
    그이상커도 그럴까요?
    -----------------------------------------------------------------
    나이에 맞게 시련과 기쁨을 안겨줍니다.
    지금이 제일 좋을땝니다.


    현실에선 대부분 둘은 낳으시던데 다들 부모로서의 삶에 집중하고 미래를 기약하고 사시는건가요?
    ----------------------------------------------------------------------------------
    네.. 당연한 말씀

  • 10. ......
    '16.3.2 3:01 PM (210.180.xxx.2)

    아이하나일때는 부부의 삶,여가도 충분히 즐길수있는데
    애가 둘이 되면 모두 포기하고 부모로서만 살아야된다는 말을 봤는데요...
    정말 그런가요? 아님 다소 부정적인 의견인가요?
    -----------------------------------------------------------------
    케바케입니다


    둘째가 3살정도 되기전까지는 네배이상 죽도록 힘든건 아는데
    그이상커도 그럴까요?
    -----------------------------------------------------------------
    나이에 맞게 시련과 기쁨을 안겨줍니다.
    지금이 제일 좋을땝니다.


    현실에선 대부분 둘은 낳으시던데 다들 부모로서의 삶에 집중하고 미래를 기약하고 사시는건가요?
    ----------------------------------------------------------------------------------
    네.. 당연한 말씀

  • 11. 아니요
    '16.3.2 3:13 PM (202.30.xxx.226)

    아들만 둘, 고3, 중3인데요.

    흠..큰애는 국어, 수학 학원비에 참고서비, 계절별 피복비 정도 들어가고요.

    작은애는 공부쪽 아닌 것 같아서 애정만 듬뿍 주고 키우고 과외비는 일절 안 써요.

    주말에는 큰애는 알아서 공부, 작은 애는 그냥 친구들이랑 놀거나 집에 있거나..

    저는 저대로 주말 계획 따로 세워서 보내고 있어요.

    작은 아들 사춘기 오기 전까지는 네식구 주말이면 산으로 바다로 박물관으로 지역축제로 바쁘게 놀러다녔는데 더 이상은 애들이 가려고 하질 않으니 어른들도 안가고 각자 놀아요.

    아이들 때문에 내 인생이 저당잡혀있다거나, 노후대비자금이 애들 교육비로 다 소진된다거나 이런 일 없어요.

  • 12. 그러네요.
    '16.3.2 3:15 PM (220.72.xxx.46)

    둘째가 이제 세살인데 이쁘기는 엄청나게 예쁘지만
    힘들어서 죽을것같아요.
    글구 하나만 있을땐 백화점에서 애옷도 사입혔는데 지금은 꿈도 못꾸고요. 돈이 점점 많이 든다는데 이제라도 다시 맞벌이해야하나 고민이에요.
    제 주변에 애 둘인데 자기 인생사는 사람 딱 한명봤어요.친정부터 금수저에 시어머니가 애들 다 키워주니까 가능하던데 그 한명말고는 애 둘 이상이면 아무리 의사, 교수라도 다들 허덕허덕 살더라구요. 경제적으로는 부족함없어도 애들한테 신경쓸게 많아서 힘들어보였어요.

  • 13. 이건
    '16.3.2 3:16 PM (1.210.xxx.11)

    진정 케바케에요 지금 어리고 고등때까지 학비 안 들여도 도중 남편실직에 애들이 취업 안 될 수도 있고요 반대도 있구요
    자기 그릇 봐야죠 요즘 애들도 영악해서 형제 필요없다는 애들도 좀 있거든요

  • 14. ㅇㅇ
    '16.3.2 3:17 PM (175.193.xxx.172)

    저는 넷이라 힘들때도 많았지만 내 삶이 포기되는 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보상심리? 측면에서 제 자신에게도 가끔 상도 줘가면서 살아오니 이 정도면 잘 살아온거 같아요
    이제 막내가 고3 이네요.
    아이중에서 특목중.고 졸업(미술전공)한 아이도 있었고 재수한 아이도 있었어요.
    학비면에서 겨우 자급자족 정도 하고 살았지만
    힘들때면 남들도 다 견뎌내고 있는데 이쯤이야 뭐~~~하면서 위안삼았어요
    아이들 어려서도 문화센타 통해 주1.2회 꾸준히 취미생활을 했구요.
    지금도 인문학강의 매주 듣고 연극.뮤지컬.자주 보고 있어요.
    작년에도 두 번 긴 여행을 다녀왔지만 올해 막내 대입마치면 더 훨훨 나를 위해 살아가려고 계획중입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아이를 너무 올인하여 케어하지 말고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발판만 만들어주고
    아이를 지켜봐주고 기다려주는 시간이 많이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앞으로의 제 인생이 궁금하지만 잘 해낼거라 믿고 있습니다.

  • 15.
    '16.3.2 3:21 PM (175.209.xxx.100) - 삭제된댓글

    아이 성향 부모 성향 경제력 삼박자에 따라 천차만별인것 같아요.

    힘들어 죽겠다는 친구도 있고, 둘이 있으니 둘이 노니까 신경 덜 써서 더 자유롭다는 친구도 있고... 기본적으로 다들 빚없이 집 한채 이상은 있긴해요~

  • 16. 글만
    '16.3.2 3:50 PM (101.181.xxx.102)

    보면 외동부모는 자기 인생 즐기면서 아이 키우는줄 알겠어요?

  • 17. 글만님 말씀에 동감
    '16.3.2 4:17 PM (223.33.xxx.120) - 삭제된댓글

    아이 숫자에 따라 딱 그 숫자만큼 더 힘들고 덜 힘들고는 아니라고 봐요. 아이 성향, 부모 성향에 따라 하나라도 매일매일 힘든 경우도 있죠.
    가끔 주변에서 자기는 애 4명이깐 일 다 떠다밀고 애 하나인 사람 노는 사람 취급하는 사람 있는데 좀 꼴불견이에요. 나름 다 사정이 있는거지...

  • 18. 글만님 말씀에 동감
    '16.3.2 4:20 PM (223.33.xxx.120) - 삭제된댓글

    주변에 자기 애 4명이라고 대놓고 외동 가진 사람들 노는 사람 취급하는 엄마 하나 있는데 좀 꼴불견이에요. 첨엔 넷이라 힘들겠다 해주다가도 넘 나 몰라라 해대니.
    누가 그렇게 낳으라고 했나.
    애 성향에 따라 하나라도 매일매일이 힘든 사람도 있는거지...숫자 가지고 무조건 그럴건 아니라고 봐요.

  • 19. .........
    '16.3.2 5:01 PM (211.210.xxx.30) - 삭제된댓글

    둘이건 하나건 또는 셋이건
    제일 어린 아이가 초등 고학년 이상 되면 여가 시간은 생겨요.
    하다못해 아이들이 대여섯살만 되면 TV 정도는 볼 수 있거든요.
    게다가 아이 둘이 어느정도 의지를 하니 조금 수월한 면도 있어요.
    끊임없이 신경 써 줄 일은 있지만 자신의 삶을 포기하거나 하지는 않아요.
    아이들이야 좀 크면 말도 통하고 어찌보면 무료한 삶에 친구와 같은 존재이기도 하고 버팀목이 되어 주기도 하고요.
    아이가 하나건 둘이건 상관 없이요.

  • 20. ...
    '16.3.2 7:00 PM (222.235.xxx.28)

    무슨 외동이 여유가 있고 자기 인생을 즐겨요? 둘있는 집이야 어릴 때 좀 힘들지만 나중에는 둘이 서로 놀고 하니 품도 훨씬 덜 들던데요 외동은 돌보는 품이 끝까지 가요 둘째 낳고 싶으시면 낳으세요 저는 장점이 더 많은것 같더라구요 둘 있는 편이...

  • 21. 외동 엄마
    '16.3.2 7:36 PM (222.108.xxx.94)

    일단 여자는 결혼하면서 적어도 5년은 힘듬. 이건 남자도 같음.
    일단 남자나 여자나 애를 갖으면 양육과 보살핌, 엄마 아빠 역할로 힘듬.
    즉, 애 하나, 둘이 문제가 아니라 책임감의 여부. 경중이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침.
    그래서 케바케라고 함.

  • 22. ....
    '16.3.2 8:12 PM (121.143.xxx.125)

    제대로 키우려면 다 힘들죠. 그런데 둘은 더 힘들죠. 제대로 키우려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5664 깡주은네 14 wisdom.. 2016/03/08 6,248
535663 송강호.유해진.류준열이 영화 택시운전사 찍는데요 9 흥해라 2016/03/08 3,667
535662 요즘 신입들 너무 예쁘고 잘생긴거 같아요 2 2016/03/08 1,902
535661 일반냉장고 바꿔야하는데 고민이에요 7 고민 2016/03/08 1,191
535660 요즘 왜이렇게 툭툭 치고 다니는 아줌마들이 많은 거죠? 10 시러!! 2016/03/08 1,936
535659 초등 녹색어머니 아빠가 대신해도 될까요? 9 녹색 2016/03/08 1,813
535658 가정어린이집 원장님 계신가요? 4 ... 2016/03/08 1,166
535657 언어가 늦는 아이 치료해야 할것같은데 도움 부탁드려요 5 고민입니다 2016/03/08 1,103
535656 82피플이 뭔가했더니 2 82피플 2016/03/08 6,878
535655 男, 女의 외모보다 ○○을 중시하도록 진화중 (연구) 삼팔 2016/03/08 940
535654 검정스타킹 아직 신나요? 5 블랙 2016/03/08 1,463
535653 어제 생활의 달인 파김치 방송 보신분 계신가요? 17 맛난 파김치.. 2016/03/08 7,824
535652 욕심많은 시댁 6 답답 2016/03/08 3,126
535651 전세 8천올려달라네요 19 힘겹다 2016/03/08 5,855
535650 6차선 도로옆 10층이상 이면 많이 시끄러울까요? 6 .. 2016/03/08 1,685
535649 이력서 메일 보냈는데 수신확인이 안되어 있을때..전화 해도 될까.. 5 ㅜㅜ 2016/03/08 1,076
535648 참나물이 이렇게 맛있을 줄이야! 9 나물사랑 2016/03/08 3,212
535647 남들 다~있는티브이를 7 댓글좀 주세.. 2016/03/08 853
535646 크레메소 커피머신 가지신 분 계시나요? 1 커피머신 2016/03/08 1,247
535645 등시리고 손발 추워 미칠거 같아요 7 추위 2016/03/08 1,449
535644 더민주/국민의 당, 일주일씩 강제 휴가 보냈으면 좋겠네요 2 ㅜㅜㅜ 2016/03/08 545
535643 애들데리고 온가족이 안식년 하고싶은데 어느 나라가 좋을까요 22 꿈꾸는자 2016/03/08 5,118
535642 해피트리 살리고 싶어요.. 7 방울어뭉 2016/03/08 2,151
535641 유치원 가는 아이를 왜 배웅하지 않고 혼자 보낼까요? 29 궁금 2016/03/08 4,851
535640 고1) 공대 지망이면 어떤 동아리가 좋을까요? 4 혹시 2016/03/08 1,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