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년 육아휴직 써봤자......

예비맘 조회수 : 5,643
작성일 : 2016-02-03 01:21:40

저는 눈치 전혀 안보고 2년간 육아휴직이 가능하고
육아휴직 복직 후 아가를 위해 본인이 원하면 또 2년간 하루 6시간 근무를 할 수 있는 회사를 다니고 있어요.

생각해보니 궁금해서요..
2년동안 육아휴직 해봤자 아이에게 좋은게 있나요?
어차피 2년 지나면 직장에 가야하는데요.
그러면 또 어린이집에 맡겨야할거고..
전업주부님들처럼 큰 관심과 사랑을 못주는게 걱정되서요
그깟 너무나 짧은 2년이라고 생각되는데...
아이에게 정서적으로 큰 영향이 있는건가요..?
IP : 211.36.xxx.74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zzz
    '16.2.3 1:23 AM (119.70.xxx.163)

    이궁.,호강에 겨워 매를 버는 소리를 하는군요

  • 2. ...
    '16.2.3 1:27 AM (69.196.xxx.127)

    애낳고 얘기하세요.....

  • 3. ...
    '16.2.3 1:34 AM (1.240.xxx.136)

    매버는소리222222222222222

  • 4.
    '16.2.3 1:38 AM (219.250.xxx.125)

    초기3년이 평생의 멘탈을 결정해요.

  • 5. 사실은
    '16.2.3 1:39 AM (211.187.xxx.28)

    처음 1-2년 육아휴직은 엄마가 몸은 힘든데 마음이 편한거죠.
    애는 솔직히 학대하는 시터나 할머니 아니고서 잘 먹이고 적절하게 반응해주면 저녁에 엄마 만나면 돼요. 그런데 애엄마가 이걸 확실히 감독하면서 회사다니기가 힘들어요. 차라리 본인이 하는게 마음 편함... 애가 정서적으로 교육적으로 엄마가 필요한 시기는 오히려 클수록 그런거 같고 제 경우 세돌-네돌까지랑 7세말 -초등1학년이 제일 중요한거 같아요.

  • 6. 예비맘
    '16.2.3 1:40 AM (211.36.xxx.74) - 삭제된댓글

    네님 고맙습니다.

  • 7. 예비맘
    '16.2.3 1:41 AM (211.36.xxx.74) - 삭제된댓글

    사실은님 구체적인 답변 고맙습니다..!!

  • 8. ...
    '16.2.3 1:48 AM (222.109.xxx.52)

    아이가 태어나서 첫 몇해에는 오로지 양육자에게 의존해서 살아가게 되요
    생존뿐 아니라 발달 -정서, 인지, 신체 에 양육자의 영향이 큰데...

    가장 중요한거는 정서적인 부분이에요. 이 정서라는게 결국은 정서를 조절하는 뇌발달인데
    엄마가 아니더라도 엄마를 대신할 수 있는 양육자가 지속적으로 적어도 2년 이상은 바뀌지 않고 있어주는게 중요해요.
    스킨쉽도 충분히 해주고 아이에게 즉각적으로 반응해주고 발달에 맞춰서 자극도 주고 훈육이 시작되어야 하는 연령에는 적절하게 훈육도 일관성있게 하구요
    그래야... 아이의 정서를 조절하는뇌 구조라던지 뇌분비물질 레벨 발달이 안정적으로 진행이 되어요
    물론 기질이 있구..유전이 많이 크지만... 초기 애착은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전만큼 중요해요

    그런데...
    저도 시터를 쓰고 있지만...아무리 잘 고르려 하고 잘 하려고 해도 시터는자주 바뀔수 밖에 없어요.
    그래서 친정이나 시댁쪽 어른들이 도와주시는게 제일 좋지만
    엄마랑 맘맞추어서 아이를 잘 양육해주시는게 쉬운일은 아니고..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는 엄마를 너무 좋아해요. 엄마가 있기만 해도 안정되는걸 느껴요.
    그래서...왠만하면 아이발달을 위해서... 어릴적에 함께 하는게 좋은거 같아요.

    이런걸 알지만 저도 파트로 짬짬이 일하고 있어요 씨터 쓰면서요.
    당장 거절하면 나중에 아예 일이 끊어질거 같아서... 그래도 일안하는 날은 아이와 붙어있으려고 노력합니다.

    모든 상황 무시하고 엄마가 꼭 아이와 있어야 하는건 아니지만... 그리고 계속아이와 함께 하지 않으면
    큰일나는건 아니지만....적어도 아이 낳고 2년까지는 엄마가 최대한으로 할수 있는한 시간을 많이 보내세요.

  • 9. ...
    '16.2.3 1:49 AM (222.109.xxx.52)

    위에 엄마...가 아니라 친정 어머니나 시어머니와 맘맞추어서 아이를 잘 양육하는게....입니다.

  • 10. ......
    '16.2.3 1:52 AM (14.50.xxx.22) - 삭제된댓글

    위의 ... 님 글에 완전 동의

  • 11. ......
    '16.2.3 1:55 AM (14.50.xxx.22)

    222.109님의견에 완전 동의 ! 글 잘쓰시네요 ~^^

  • 12. 아이스라떼
    '16.2.3 2:05 AM (211.212.xxx.246)

    저도 경험전에는 몰랐었는데 아이를낳아서 직접키워보니 왜 엄마가 키워야하는지 알겠더라구요.물론 각자의 상황이다르기에 100%단정 지을수는 없지만 육아는 엄마가 감당할수밖에없는 부분이 너무나커요.이런면에서 출산과 육아에서 결국 희생이 큰 사람은 여자일수밖에 없는것같아요.개인적으로 출산후 포기한것도 많고 힘들긴하지만 한편 아까울정도로 빨리크는 아이를 매일 보고있었다는 자체만으로 감사해요.나중에 아이가 잘되고 못되고 이런걸 떠나서 그냥 같이 보낸 그시간자체가 소중합니다.

  • 13.
    '16.2.3 2:35 AM (223.62.xxx.98)

    아이가 3살까지 엄마와의 유착관계가 평생 성격을 결정한다는 연구결과를 봤습죠

  • 14. 요즘은
    '16.2.3 7:01 AM (211.36.xxx.70)

    요즘은 다들 1년 육아 휴직내고 출산휴가 각종휴가까지 붙여서 15개월정도 쉬고 보통 초1때 일년 더 내서 아이 케러 하더라구요.
    아기때도 중요하기는 하지만 초1도 엄마 손이 많이 가는 시기거든요.

  • 15. 2년이면
    '16.2.3 12:00 PM (175.112.xxx.238)

    아이 세살
    말을 할 수 있어요
    그때되면 어린이집 맡겨도 수월하고
    시터랑 있어도 표현이 가능하니 맘이 놓이죠
    전업들도 세살되면 애 어린이집 많이 맡겨요
    모유수유 하면서 끼고 자고
    돌지나서 여기저기 나들이 다니고
    2년이면 애착형성은 차고 넘치게 됩니다

  • 16. ..
    '16.2.3 3:52 PM (14.52.xxx.65)

    2년 한꺼번에 쓰지마시고 유아때 1년 쓰시고 아이 초등들어가면 1학년때 1년 쓰세요. 초등 1학년때 엄마손 많이 타네요. 1학년때 학교맘 친해서 알아두면 6년간 편해요. 아이도 그때 제일 많이 어울리게되요.

  • 17. 무식한 소리
    '16.2.16 3:22 PM (175.223.xxx.187)

    세살까지 엄마가 키워라 라는 책이 있어요 그 책 한번 읽어보세요 3살까지 아이 뇌의 80프로가 발달하고 이 시기에 제대로 된 어른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면 심각한 정서적 인지적 문제가 생깁니다 그래서 어린이집도 가급적 이 시기에 보내지 말라 하는 거고요 차선으로 시터 쓰고 있는데 고르고 골라 좋은 사람 만났다 생각하는데도 윗님 말대로 애는 엄마를 찾어요 남한테 맡기면 애가 잘 클 거 같나요 괜히 부모가 키워야 한단 말 나오는 게 아닙니다 2년까지 엄마가 돌볼 수 있다는 건 큰 축복이에요 그 시기에 엄마 사랑 듬뿍 받은 아이들이 머리도 좋아지고 성격도 좋아지고 이 부분은 나중에 아무리 채워준다고 회복되지 않는 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7254 [조성진 스페셜] 2015 쇼팽콩쿠르 ........ 2016/02/12 930
527253 얼굴의 팔자주름 어쩌지요? 5 고민 2016/02/12 3,779
527252 아침에 일어나면 유독 손가락이 많이 붓는데.. 왜 이럴까요? 4 부종 2016/02/12 2,569
527251 2016년 2월 12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4 세우실 2016/02/12 615
527250 이 나라를 떠나고 싶어요 36 ... 2016/02/12 5,204
527249 급) 제주도에서 유아옷 구입할 곳 부탁드려요 6 똘똘이 2016/02/12 1,005
527248 졸업식에 반장인데 담임샘 꽃다발 사가야겠죠? 6 2016/02/12 1,920
527247 한국인 고아 출신이 프랑스에서 장관이 되었네요 16 데미지 2016/02/12 4,909
527246 양모이불& 알팔카이불중 뭘 살까요 뉴질랜드 2016/02/12 473
527245 가장 몰상식한 행동이라 생각되는 거 하나씩 말씀해주세요 4 인간 2016/02/12 1,586
527244 맞은편 여자 치마 안이 다 보이는데 5 ~~ 2016/02/12 5,097
527243 외국인들을 많이 만나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데 9 한화 2016/02/12 2,504
527242 초1아들이 반친구때렸다고 상대방아빠가 가만안두겠답니다 13 초1 2016/02/12 5,060
527241 사드무기 팔아먹으려는 미국 1 미국의목적 2016/02/12 845
527240 초등입학 전에 이사 언제쯤 하세요? 2 호호아줌마 2016/02/12 645
527239 유툽에 타로 수비학 1강 2강 연희동 한선.. 2016/02/12 932
527238 다니엘 헤니 얼굴만 봤을때요 12 ee 2016/02/12 4,883
527237 국회의원 예비후보자에 대한 시민/유권자 댓글 목록 입니다. 탱자 2016/02/12 416
527236 다운튼애비, 질문있어요 3 pupu 2016/02/12 1,155
527235 갓난아기 덧버선 뜨기 제맘대로 2016/02/12 803
527234 서울에서 공기좋고 학군 괜찮은 동네가 어디일까요? 27 eunice.. 2016/02/12 8,325
527233 재외선거인/국외 부재자 등록이 13일까지입니다. 2 재외동포들... 2016/02/12 374
527232 초간단 어린이 아침식사 한가지 공유요^^ 8 나의사랑너의.. 2016/02/12 4,772
527231 개성공단 폐쇄와 자본주의 원칙 6 ?? 2016/02/12 1,054
527230 남자들의 근자감 이야기가 나와 퍼왔어요 충격과 공포 주의 27 크흡 2016/02/12 7,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