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박씨는 보육대란의 책임자다

병신년 조회수 : 1,194
작성일 : 2016-01-26 01:37:24
바쁜분들은 위에것만 보셔도 무방합니다
줄여서 줄여서 정리하면~

1.박씨는 누리과정 예산을 전액 국가지원하겠다며 tv토론회에서 공약했다(그리고 대통령이 되었다)

2.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 또는 지방교육청으로 쓰라고 내려주는 돈..즉,교부금은 내국세의 20.7%로 해마다 원래 주는돈이다.전혀 새로운 예산이 아니란 얘기다.

3.그런데도 정부에서는 관련예산을 주었다며 편성하라고 교육감들을 압박한다.

4.예를 들면, 해마다 만원씩 주고 초중고 예산을 알아서 써라..하다가 올해도 역시 똑같은 만원인데 구천원은 초중고 예산쓰고 천원은 어린이집 누리과정에 써라...
이런거~

5.심지어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소속인데
교육청(유치원은 교육청 소속)에서 지원하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거예요
신문]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과 관련, 시·도교육감들을 향해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대통령은 “교육감들이 정말 무책임하고, 받을 돈은 다 받고 필요한 건 쓰지 않는다”며 “법을 개정해서라도 누리과정 예산은 꼭 편성하도록 하겠다”고 못 박았다. “원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교육청들에 예비비 우선 배정 방안을 검토하라”는 편가르기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교육감협의회 측은 “누리과정 예산문제의 근본적 해결 촉구 목소리를 ‘정치공세’로 치부하는 대통령의 발언이야말로 정치공세”라며 “발언 내용 상당 부분이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고 거세게 반발했다.




1. “정부 탓하는 교육청들 무책임” 교육감 의무로 시행령 개정, 재원 조달도 말 바꿔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누리과정 예산을 놓고 무조건 정부 탓을 하는 시·도교육감들이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정작 무책임한 것은 대책 없이 공약하고,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정부와 대통령”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박 대통령은 당선자 시절 누리과정 어린이집 몫이 교육청으로 이관될 것을 감안해 ‘3~5세 누리과정 지원비용 증액’을 재확인했고 재원조달 원칙으로 ‘지방재정 부담 충분히 감안한 재원조달’을 제시했다. 2014년 교육부는 대통령 뜻대로 2015년 예산안에 누리과정 어린이집 몫으로 2조2000억원을 편성했다. 그러나 교육부 증액안은 전액 삭감됐고, 그때부터이후 정부는 ‘교육교부금을 이전했으니 중앙정부는 책임을 다했다’고 주장을 바꿨고 지난해 10월에는시행령을 개정해 어린이집 누리과정을 교육청 의무지출로 못 박았다.

교육감들은 시행령을 고쳐도 상위법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에 맞지 않는다고 반발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장실 의원이 최근 어린이집 누리과정 재정 지원을 교부금으로 가능케 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을 발의한 것도 상위법과 시행령이 맞지 않는다는 방증이다. 교육부의 논리대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교육기관이라면 국가 교육과정을 교습하는 학원들도 교부금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논리가 만들어진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심으로 법을 해석해서는 안된다”며 “지원하는 기관 중심으로 봐야 하고 어린이집은 복지부 소관”이라고 말했다.

이재정 경기교육감은 21일 교육감협의회 총회에서 “이런 국책 국가사업을 지방에 이관하려면 법적 근거가 있어야 하고 지방행정법에 따라 지자체에 행·재정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2. “받을 돈 다 받고 쓰지 않고 있다” 소요예산 계속 늘었지만, 교부금은 되레 감소

박근혜 대통령은 “이미 지난해 10월 교육교부금 41조원을 시·도교육청에 전액 지원했다”며 “일부 교육청들이 받을 돈은 다 받고 써야 할 돈은 쓰지 않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준식 교육부 장관과 최경환 전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4조원을 이미 내려보냈다”며 비슷한 발언을 한 바 있다. 마치 누리과정 사업에 따른 별도의 예산을 더 줬는데도 시·도교육청이 편성하지 않고 있다는 말처럼 들린다.

하지만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에 더 준 것은 아니다. 박 대통령이 말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 내국세의 20.27%로 고정돼 있다. 대통령과 정부 당국자들은 누리과정을 도입하면서 추가 예산 없이 기존에 주던 교부금에서 누리과정 소요예산 4조원을 떼어낸 뒤 교육청에 쪼개 준 것을 “관련 예산 4조원을 내려보냈다”고 표현하고 있다.

실상 누리과정에 드는 소요예산은 계속 늘고 있지만 경제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교부금은 오히려 줄었다. 누리과정 소요예산은 2013년 3조4000억원에서 2015년 3조9000억원으로 늘었지만 교부금은 오히려 2013년 41조1000억원에서 2015년 39조4000억원으로 줄었다. 정부는 2016년엔 교부금이 41조2000억원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지만, 이는 누리과정 대상 원아가 3만여명이나 훨씬 적었던 2013년도 수준으로 돌아간 것뿐이다.

더욱이 시·도교육감들은 교부금 증가분만큼 인건비 상승과 지방채 상환 등 세출도 늘어 가용재원은 거의 늘지 않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시·도교육감협의회 측은 “지난해 지방채 1조원과 목적예비비 5000억여원 등 2조원에 가까운 추가 지원을 받고서도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조차 겨우 마련할 수 있었다”며 “여기에 2조원이 넘는 어린이집 누리과정까지 떠안으라는 것은 초·중등 교육 사업의 절반을 포기하라는 얘기”라고 말했다.

3. “법 고쳐서라도 교부금 직접 투입” 교육감에 재량권 부여, 교부금법 입법 취지 위배

박근혜 대통령은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이 의무적으로 편성하도록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자체를 뜯어고치는 방안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이는 교육감에게 집행 재량을 부여한다는 교부금법의 근본 취지에 배치되는 데다 교부금법의 사용 목적 자체가 뒤흔들릴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96%를 차지하는 보통교부금은 용처를 지정하지 않고 교육감에게 내려주는 돈이다. 1990년 이후 시·도 간의 교육비 격차를 해소하고 지방교육자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총액 교부 형태로 바뀌었다. 이런 상황에서 누리과정이라는 특정 목적이 지정되는 예산이 교부금에 끼어들어간다는 것은 교부금의 근본 취지를 흔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참여연대 조세복지팀장 김남희 변호사는 “유보통합도 이뤄지지 않아 엄연히 타 부처 소관인 어린이집의 예산을 교육재정교부금으로 의무 지출하게 하는 법 개정은 법체계 혼란은 물론 법 해석을 둘러싸고 또 다른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불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원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시·도교육청들에는 3000억원의 예비비를 우선 배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고 했다. 이를 두고 보육대란의 급한 불을 끄려는 의도보다는 재정적 여건이나 정치적 입장이 다른 교육감들을 이간질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IP : 1.245.xxx.8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들 아는 것이지만
    '16.1.26 2:27 AM (211.194.xxx.176)

    우리 현대인(?)들은 불가피하게 자기 판단의 근거가 되는 정보와 지식을 책과 언론매체 등을 통해서 얻게 되는데,
    이 박그네의 억지와 파행정치를 풀어서 알려줘야 할 언론의 대부분이 직무를 외면하고 있으니
    박그네는 마음놓고 막가파식 정치를 할 수가 있는 것이죠.

    정말 요즘에는, 언론의 진짜 힘은 말하지 않는(보도하지 않는) 데서 나온다는 것을 절감합니다.

  • 2. penciloo2
    '16.1.26 2:59 AM (67.168.xxx.184) - 삭제된댓글

    정권이 바뀌면 수구언론부터 조져야 나라가 산다.

  • 3. 글쓴이
    '16.1.26 3:31 AM (1.245.xxx.84)

    정말 저 같은 사람은 정치 하라고 해도 못할듯..
    딱 봐도 거짓말인데~
    어찌 저리 정색하고 아무렇지 않게 말하나요?

  • 4. penciloo2
    '16.1.26 3:59 AM (67.168.xxx.184) - 삭제된댓글

    청년배당 이재명 시장님이 히시는 정책이 얼마나 고까웠으면 성남시를 거의 매일 감사에 들어간다네요
    작년만해도 260건 감사받았고 특별감사만 2번 받았데요
    이건 다른시에선 거의 없는일이래요

  • 5. 무지
    '16.1.26 4:17 AM (108.29.xxx.104)

    이래도 저래도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관심없는 사람들에다 언론 때문에 이 여자가 잘한다는 사람들이 많다는 거에 문제가 있겠지요.

  • 6. ㅡㅡ
    '16.1.26 7:20 AM (114.204.xxx.75)

    그 할머니는
    이런 복잡한 사정 잘 모르고 그냥 떠든다에.한표.
    "아몰랑 그냥 지원하면 되잖앙"
    이러고 떼쓰는 애 같음.
    아,박복한 대한민국 ㅠ

  • 7. 어이없어
    '16.1.26 8:48 AM (14.39.xxx.223)

    자기가 약속해 놓고 남들보고 지키라는 건 뭔 짓??
    협상, 협의 이런 것도 모르고 조르다 안해주니 주저앉아 마냥 떼쓰는 어린애 같네요. 머릿속엔 뭐가 있는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4052 사교육없이 서울대의대 연대의대 정도 들어간 케이스가 지금도 6 있나요? 2016/02/01 3,055
524051 김성식 '국민의 당' 합류, 안철수 "천군만마 얻어&q.. 4 11 2016/02/01 813
524050 관리자님, 또 댓글수 오류가 있습니다. 2 수고많으십니.. 2016/02/01 286
524049 중2올라가는 아들, 쉽게 읽힐 수 있는 문학, 비문학책 추천부탁.. 8 게임만하는 2016/02/01 1,546
524048 제 말 표현이 틀렸나요? 6 말말말 2016/02/01 639
524047 살이왠수 ...^^ 다이어트 2016/02/01 818
524046 악교정수술 하신분 계시나요?(일명 양악수술) 3 ... 2016/02/01 1,713
524045 혼자 어디까지 드셔보셨어요? 6 .... 2016/02/01 1,260
524044 대학중퇴면 그 대학 출신 이라고 말하면 안되나요? 36 ... 2016/02/01 8,340
524043 중년 몸무게 타협하기... 3 좀 편하게... 2016/02/01 1,906
524042 밀대 살까 하는데 어떤가요? 2 고민중 2016/02/01 831
524041 친정 엄마 상황좀 봐주세요 23 2016/02/01 4,956
524040 제가 받은 인종차별... 12 ... 2016/02/01 2,992
524039 썸타다가 남자가 갑자기 변했을 때 3 yaani 2016/02/01 2,400
524038 열정페이’ 2월부터 금지…인턴 야간·주말근무 못 시킨다 열정페이 2016/02/01 438
524037 페이팔로 미국에 송금할수도 있나요? 참나 2016/02/01 340
524036 주산..수학실력과 관계있을까요?? 12 .... 2016/02/01 2,161
524035 울집애들은 어디만 갔다오면 아파요ᆢ 3 초등둘 2016/02/01 840
524034 (추천부탁) 갑자기 떠나는 여행 2 오리무중 2016/02/01 709
524033 카톡으로 커피 선물받은거 다른사람한테 줄수있나요? 3 카톡 2016/02/01 19,130
524032 스키장 주간종일권이랑 스키장비 대여료요 1 알려주세요 2016/02/01 1,229
524031 공부잘하는 학교서 다른학교로 2 경험맘 계세.. 2016/02/01 571
524030 강아지가 집을 옮긴후로 이상하네요.. 19 .. 2016/02/01 3,641
524029 수퍼싱글 침대에 퀸이불 쓰시는분 계세요? 1 질문 2016/02/01 1,300
524028 해외 여행 그냥 제집처럼 다니려면 수입이나 재산이 어느정도..?.. 5 .. 2016/02/01 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