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과 수리논술도 무시하나요

리본 조회수 : 2,444
작성일 : 2016-01-22 21:07:15
아이가 아직 중학생이라 아직 모르는것이 많아
질문드려요
혹여 제 질문이 특정분들께 본의아니게 상처를
줄수 있으니 조금은 조심스럽네요
대학 입학시 정시로 합격한 학생을 많이 우수하다고
하는 거요
논술로 합격했다고 하면 정시보다는 실력없고
글만 잘 써서 3등급도 명문대 합격했다는 등
이런 일도 있던데요
이과 수리논술전형으로 합격시에도 실력을
의심받고 좀 무시받는 상황인가요
IP : 222.121.xxx.7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뇨
    '16.1.22 9:12 PM (175.223.xxx.76)

    무시하지는않죠
    누가 무슨전형으로 들어왔는지 모르는데
    다만
    3등급이 1등급하고 공부하려면
    엄청해야 따라낼수있겠죠

  • 2. 웃기는얘기
    '16.1.22 9:15 PM (125.138.xxx.165) - 삭제된댓글

    수리논술은 수학문제 풀이과정이라
    방대한 주제의 문과 논술문제보다 쉽다는 말도 있지만
    무시할수준은 아니죠
    그냥 정시생들이 조금 억울한?생각이 들어서 그런말 하는걸거에요
    근데 정시생들이야 말로 수시다 떨어진애들인데 뭘 잘했다고???
    걔네들한테 논술문제 주면
    얼마나 합격하겠어요??

  • 3. 웃기는얘기
    '16.1.22 9:16 PM (125.138.xxx.165)

    수리논술은 수학문제 풀이과정이라
    방대한 주제의 문과 논술문제보다 쉽다는 말도 있지만
    무시할수준은 아니죠
    대부분 학교에서 수능 최저기준 정해놓고 다 통과한 애들이에요
    그냥 정시생들이 조금 억울한?생각이 들어서 그런말 하는걸거에요
    근데 정시생들이야 말로 수시다 떨어진애들인데 뭘 잘했다고???
    걔네들한테 논술문제 주면
    얼마나 합격하겠어요??

  • 4. 아뇨
    '16.1.22 9:20 PM (223.62.xxx.74) - 삭제된댓글

    이과 논술은 수학과 과학 등 공부를 해야 풀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이과 논술 전형으로 입학한 아이가 계속 성적 장학금 받고 다디던데요.

  • 5. 아뇨
    '16.1.22 9:21 PM (223.62.xxx.74)

    이과 논술은 수학과 과학 등 공부를 해야 풀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이거 논술 전형으로 입학한 아이가 계속 성적 장학금 받고 다니던데요.

  • 6. ㅍㅎㅎ
    '16.1.22 10:01 PM (14.52.xxx.6)

    누가 누굴 무시한다고..진짜 농어촌전형이라도 해도 들어가고 싶어요. 대학은 추합으로 가는 애가 제일 성공한건데...그리고 수리논술 무척 어렵고요, 인문논술 역시 글짓기가 아니랍니다. 대부분 수능 최저 있고요. 특이한 사례는 특이한 사례고 갈만한 애들이 갑니다.

  • 7. 무슨
    '16.1.22 10:02 PM (223.62.xxx.97) - 삭제된댓글

    수시논술은 잘한아이들이에요.
    수학 과학을 특별히 잘한아이들이 붙어요.
    그러니까 공부 잘한 아이들이요.
    혹시 수학과외 시키려면 이과논술전형으로 합격한 학생 한테 시키세요
    대학새

  • 8.
    '16.1.22 10:06 PM (223.62.xxx.171) - 삭제된댓글

    이과수시에서 성적도 안된 아이가 붙멌다는건 논술전형은 예외예요
    오히려 논술전형은 수리 잘하는아이들이
    붙던데요.

  • 9. ....
    '16.1.22 10:08 PM (221.157.xxx.127)

    무시하고 그런게 어딨나요 수시가 비율 더 높은데

  • 10. ...
    '16.1.22 10:15 PM (223.62.xxx.65)

    요즘은 논술도 수능을 많이 봐서
    논술을 수시라도 거의 정시죠.
    문제는 내신위주의 일반고아이들.
    그애들은 알게모르게 좀 그런가봐요.

  • 11. ..
    '16.1.22 10:19 PM (210.179.xxx.76)

    경쟁율이 보통 무시무시한데, 40대 1이라고만해도 30명모집에 1,200명이 모인건데 그 30명안에 들려면 1,170명을 제친건데 당연히 대단한건죠

  • 12. ..
    '16.1.22 10:31 PM (175.121.xxx.70)

    저희 아들 이번에 수리논술로 붙었는데 정시로 간다면 더 상위레벨 갈 수 있는 실력이었어요.
    높은 대학 수리논술로 합격하려면 수학 과학 1등급 실력 되어야 가능하구요
    수능최저등급 당연 맞춰야해요.
    또 수리논술로 대학 가려는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정시 준비하는 아이들이기 때문에
    수능공부 빡세게 하는 동시에 논술도 수학 과학 2과목을 최고난도로 공부해야 해서 피를 말리죠.
    태생적으로 천재과라서 수학 과학을 씹어먹는 수준이거나 아니라면 멀미나게 공부와 훈련을 해야 50대1을 뚫을 수 있어요.

  • 13. 에고
    '16.1.22 10:32 PM (14.52.xxx.6)

    수시 안에서도 전형이 많아요. 논술도 있고 학종, 학우(교과우선)..전형별로 경영학과 이런 곳 아니면 10명 안팎으로 뽑습니다. 그러니까 정시 포함 40명 정원에 최소3~5가지 전형별로 아이를 뽑아요. 그 전형별로 또 경쟁률이 최하 10대 몇...물론 한 곳 되는 아이가 다른 곳도 같이 되지만, 한 곳도 안 되니 수시도 정말 어렵습니다. 이런 데서 막연히 물을 게 아니라 대학 한 곳 정해서 입시요강 보시면 어렴풋하게나마 감이 오실 듯.

  • 14. 이과는
    '16.1.22 11:22 PM (14.52.xxx.171)

    그래도 실력대로 붙어요
    문과는 정말 논술 쪽은 뜬금없이 붙는 애들이 많죠
    다른 전형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어쨌든

  • 15. yek231
    '16.1.23 12:12 AM (61.74.xxx.148) - 삭제된댓글

    이과는 님의 말씀이 맞아요.
    이과는 그나마 실력이 80%라면 문과는 60%정도.
    정시가 훨씬 높은 점수로 갑니다.

  • 16.
    '16.1.23 12:23 PM (223.62.xxx.15) - 삭제된댓글

    우리 아이는 정시로 갔으면 한단계 높은대 갈수 있었는데 재수생이라 볼안해서
    그냥 논술시험 보라고 해서 갔는데
    다 붙멌어요.
    수학을 잘하기도 했지만
    수능을 잘봤어요.
    수능성적을 보는거 같음.
    결론은 정시로 붙을 아이 뽑는다에요.

  • 17. 그나마 이과수리논술은
    '16.1.23 1:13 PM (175.124.xxx.80)

    답이 있는거에요.정확히 문제를 풀수있어야 하는거죠.그리구 최저도 맞춰야 하고..

    다만 문과논술은 사실 최저 간신히 맞춰서 운으로 들어갈수도 있어요.그래서 수시에서 들어온 학생이랑 정시학생이랑 수능점수차가 20~40점까지 차이 난다는 말 들었어요.

    그런데 막상 학교 입학해보면 그 점수대로 성적장학금 받는건 아니라고..대학공부는 또 다른가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642 남편이 밥먹을때 꺼어꺽 거리면서 먹길래.. 4 ... 2016/01/30 2,040
523641 길모어걸스 다시 제작한다네요 12 루루~ 2016/01/30 2,872
523640 종로구청장님고마워요ㅡ"소녀상철거,이전 없다" 7 11 2016/01/30 1,356
523639 망해보니 사람되는 기분이예요 76 .... 2016/01/30 20,669
523638 전기기능사,기사자격증 7 아들 2016/01/30 2,272
523637 손예진도 동남아 필있지않나요? 19 ㄴㄴ 2016/01/30 5,562
523636 대학생 언니가 중학생 동생 졸업식 가는 게 쪽팔린 일인가요? 17 졸업식 2016/01/30 3,465
523635 고등선생님.. 반배정이미 결정난거죠? 1 궁금 2016/01/30 1,265
523634 이재명시장 무상복지 맞짱토론해요. 5 저녁숲 2016/01/30 1,031
523633 시부모님 자주 오셔서 주무시고 가면 어때요? 27 ... 2016/01/30 7,769
523632 한 달에 한 번 그날 몸살기운 2 .. 2016/01/30 777
523631 강아지 혼자 집에 3일간 둬도 되나요? 52 .. 2016/01/30 25,863
523630 버거킹 제일 맛있는 메뉴가 뭔가요? 16 버거 2016/01/30 4,662
523629 방금 학원 선생님 글 지우셨나요? 8 방금 2016/01/30 1,699
523628 단골옷가게가 같은 동네아짐. 11 .. 2016/01/30 3,732
523627 패터슨 이넘은 뭐하고 살았대요? 4 2016/01/30 2,597
523626 남자형제들과 친정 행사비용 n분의 1 하시나요? 29 .. 2016/01/30 4,350
523625 선물 좀 골라주세요 2 선물고민 2016/01/30 610
523624 잠실 20평대 vs 판교 30평대 12 나나 2016/01/30 5,043
523623 '아인'이라는 이름이 유행인가요? 8 opus 2016/01/30 2,486
523622 골밀도 수치가 -3.2이에요ㅠㅠ 6 2016/01/30 3,614
523621 33평 아파트 도배비 방산시장에서 하면 얼마정도 하나요? 5 도배 2016/01/30 4,920
523620 단지내 초등학교 와 단지내 공부잘하는 중학교 어떤곳이 더 좋을까.. 2 사랑이야 2016/01/30 757
523619 제사예법 문의드립니다. 1 정답은 2016/01/30 585
523618 영화 군도에서 강동원..참 아름답네요 ㅋㅋㅋㅋㅋㅋ 13 000 2016/01/30 2,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