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호칭에 대해서 질문드려요~

질문 조회수 : 622
작성일 : 2016-01-19 14:44:29
시누이 딸이 결혼해서 9살 7살 딸둘이에요..
저는 결혼을 늦게해서 올해 44살에 9살 딸 6살 아들이 있구요..
어쩌다보니 같은 아파트살게되었고 어린이집도 학교도 같은곳에 다니고 있어요..
시누이 딸이 저보고 외숙모라 부르고 시누이 외손녀는 저를 할머니라 부릅니다..
문제는 시누이외손녀가 어릴땐 저희딸이름을 불렀는데 학교들어가기전에 호칭을 제대로 알려줘야할거같아 이모라고 부르라고했어요..
사실 아줌마 아저씨뻘인데 애들이 그렇게 안부를거같아 이모 삼촌이라고 했어요.
가족들 모인곳에서 얘기했더니 제말이 맞다고 서열이 다른데 이름 부르는건 아닌거 같다고요..
그럼 6살 제 아들은 시누이외손녀들한테 그냥 이름 불러도되는거죠? 나이많다고 누나는 아니잖아요..
다른집들은 시누이외손녀랑 만날일이 없다는데 어떡하다보니 가까이 살게되어서요..제가 결혼을 늦게한탓도 있구요..
잘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려요~
IP : 118.222.xxx.183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6.1.19 2:52 PM (211.237.xxx.105)

    동갑이거나 나이많은 조카는 조카님이라고 부릅니다.

  • 2. ㅡㅡ
    '16.1.19 2:54 PM (183.103.xxx.233)

    님네 아이들이 질녀네 아이들에게
    누나라고 부르는게 못마땅하시다면
    옛날호칭으로 조카님 이라고 불러야되지
    않을까요ᆞ 아무리 촌수가 낮아도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그냥 이름만 부르지는
    못했잖아요ᆞ

  • 3. 어렵네요.
    '16.1.19 3:29 PM (61.102.xxx.156) - 삭제된댓글

    저도 평소 궁금하던 상황이라서 검색을 해보니...
    시누이의 손녀들과 님의 아이들은 친족이 아니네요.
    (시누이 입장에서) 처가 족보는 개족보라고 해서 4촌이 넘어가면 그냥 남입니다.
    그래서 세대간의 차이에 따라서 시누이의 손자들이 님의 아이들에게 아저씨라고 불러주는 것이 합당해보입니다.
    아저씨는 옛날부터 부모와 항렬이 갚으면서 관계가 먼 남자들을 불러오던 호칭이니 말이죠.
    딸이 아니라서 다행입니다.
    딸이라면 아주머니라고 불러줘야 하는 거네요. -_-;;;
    그리고 님의 아이들은 연령대가 비슷한 시누이의 손녀들에게 조카님이라고 불러주는게 좋겠구요.

  • 4. 어렵네요.
    '16.1.19 3:30 PM (61.102.xxx.156) - 삭제된댓글

    저도 평소 궁금하던 상황이라서 검색을 해보니...
    시누이의 손녀들과 님의 아이들은 친족이 아니네요.
    (시누이 입장에서) 처가 족보는 개족보라고 해서 4촌이 넘어가면 그냥 남입니다.
    그래서 세대간의 차이에 따라서 시누이의 손자들이 님의 아이들에게 아저씨라고 불러주는 것이 합당해보입니다.
    아저씨는 옛날부터 부모와 항렬이 같으면서 관계가 먼 남자들을 불러오던 호칭이니 말이죠.
    딸이 아니라서 다행입니다.
    딸이라면 아주머니라고 불러줘야 하는 거네요. -_-;;;
    그리고 님의 아이들은 연령대가 비슷한 시누이의 손녀들에게 조카님이라고 불러주는게 좋겠구요.

  • 5. 어렵네요
    '16.1.19 3:36 PM (61.102.xxx.156) - 삭제된댓글

    저도 평소 궁금하던 상황이라서 검색을 해보니...
    시누이의 손녀들과 님의 아이들은 친족이 아니네요.
    (시누이 입장에서) 처가 족보는 개족보라고 해서 4촌이 넘어가면 그냥 남입니다.
    그래서 옛날부터 부모와 항렬이 같으면서 관계가 먼 친척 비스무리 관계들을 부르던 호칭인 아저씨와 아주머니가 있습니다.
    아들은 아저씨, 딸은 아주머니로 부르라고 하세요. -_-;;;
    그리고 님의 아이들은 연령대가 비슷한 시누이의 손녀들에게 조카님이라고 불러주는게 좋겠구요.

  • 6. 어렵네요
    '16.1.19 3:37 PM (61.102.xxx.156)

    저도 평소 궁금하던 상황이라서 검색을 해보니...
    시누이의 손녀들과 님의 아이들은 친족이 아니네요.
    (시누이 입장에서) 처가 족보는 개족보라고 해서 4촌이 넘어가면 그냥 남입니다.
    그래서 옛날부터 부모와 항렬이 같으면서 관계가 먼 친척 비스무리 관계들을 부르던 호칭인 아저씨와 아주머니가 있습니다.
    시누이의 손녀들에게 님의 아들은 아저씨, 딸은 아주머니로 부르라고 하세요. -_-;;;
    그리고 님의 아이들은 연령대가 비슷한 시누이의 손녀들에게 조카님이라고 불러주는게 좋겠구요.

  • 7. 애매....
    '16.1.19 3:40 PM (211.210.xxx.30) - 삭제된댓글

    애매하네요. 저도 외가쪽으로 먼 이모뻘 되는 먼 친척 있는데요. 한살 차이라 그냥 이름 부르고 가끔씩 놀릴때 아주머니라고 했어요.
    같은 동네면 학교도 비슷하게 같이 들어갈텐데 그냥 이름 부르는게 좋지 않을까요? 나중에 바꾸려면 힘들텐데요.

  • 8. 애매....
    '16.1.19 3:40 PM (211.210.xxx.30)

    애매하네요. 저도 외가쪽으로 먼 이모뻘 되는 먼 친척 있는데요. 한살 차이라 그냥 이름 부르고 가끔씩 놀릴때 아주머니라고 했어요.
    같은 동네면 그냥 이름 부르는게 좋지 않을까요? 나중에 바꾸려면 힘들텐데요.

  • 9. 겨울
    '16.1.19 3:59 PM (221.167.xxx.125)

    아이고 두야

  • 10. 질문
    '16.1.19 4:44 PM (118.222.xxx.183)

    아이들한테 아주머니 아저씨라고 부름 안할거같아서 이모 삼촌이라 하랬어요..왜냐하면 제딸이 질녀한테 언니라 부르고 질녀남편한테는 형부라 부르거든요..저는 어릴때부터 호칭은 정확해야된다는 생각이에요..그래야 나중에 결혼해서도 관계되는 사람들 호칭도 거기에 맞춰 부를수있다고 생각해요..나중에 커서 하라그럼 절대 못해요~

  • 11. 이모나 삼촌은 아니죠
    '16.1.19 4:48 PM (61.102.xxx.156) - 삭제된댓글

    친가로 계산해도 5촌인데 어떻게 이모나 삼촌으로 부르라고 합니까?
    일부러 그렇게 족보를 꼬우려고 하세요?

  • 12. 이모나 삼촌은 아니죠
    '16.1.19 4:48 PM (61.102.xxx.156) - 삭제된댓글

    친가로 계산해도 5촌인데 어떻게 이모나 삼촌으로 부르라고 합니까?
    왜 그렇게 족보를 꼬우려고 하세요?
    호칭이라는 것이 족보에 충실하다보니 생긴 거잖아요.
    족보에 충실하려고 족보를 꼬우는건 이상하지 않나요?

  • 13. 이모나 삼촌은 아니죠
    '16.1.19 4:49 PM (61.102.xxx.156)

    친가로 계산해도 5촌인데 어떻게 이모나 삼촌으로 부르라고 합니까?
    이모나 삼촌은 촌수로 3촌이거든요.
    왜 그렇게 족보를 꼬우려고 하세요?
    호칭이라는 것이 족보에 충실하다보니 생긴 거잖아요.
    족보에 충실하려고 족보를 꼬우는건 이상하지 않나요?

  • 14. 질문
    '16.1.19 5:12 PM (118.222.xxx.183)

    주위에서 요즘은 동네아줌마한테도 이모라부르니까 그렇게불러도될거같다고ㅠ 친한아저씨한테도 삼촌이라하고ㅠ
    저도 모르겠네요..안보고살았음 좋겠어요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1679 지금 제주에 있습니다. 65 제주여행 2016/01/24 24,881
521678 일요일밤 9시가 넘은 지금 먹고 계신 거 공유해보아요 17 저마니런거 2016/01/24 2,389
521677 복도식 수도 동파방지 팁 3 ''' 2016/01/24 2,403
521676 시누이 출산 당일에 병원 안 갔다고 화내는 남편 19 호룬이 2016/01/24 5,002
521675 돈에 대한 느낌이 없어져요 3 통장에 돈 2016/01/24 2,153
521674 치매테스트 33 ㅇㅇ 2016/01/24 7,735
521673 한국인의밥상 보시나요? 1 궁금해서 2016/01/24 1,499
521672 유리 없이 매트 쓰려는데 코르크 재질의 식탁매트 ..쓰기 편한가.. 5 .. 2016/01/24 1,230
521671 광주가 뒤집어 졌네요!!! 이거 사실입니다. 14 ..... 2016/01/24 5,840
521670 초등 교과서 궁금합니다 3 초등 2016/01/24 839
521669 중학생 중국 여자아이에게 어떤 선물을 사주면 좋을까요? 3 고민중 2016/01/24 776
521668 이촌동?? 아현동?? 어디가 좋을까요?? 11 연이맘 2016/01/24 3,535
521667 요즘 하고 있는 사치 7 .... 2016/01/24 4,021
521666 이마트 자연주의?팬티 정말 좋네요 54 정말 2016/01/24 32,513
521665 저는 안철수식 새정치를 적극 지지합니다 7 새정치 2016/01/24 773
521664 [질문]33평 아파트에 이 정도 난방비면 어떤 가요? 9 난방비 2016/01/24 4,782
521663 와~~미치겟어요 nnn 2016/01/24 647
521662 턱에 디스크가 거의 없다고 하는데요(서울) 2 병원추천부탁.. 2016/01/24 1,030
521661 10년전 유럽여행가서 문화충격을 받았던것 33 ㅇㅇ 2016/01/24 20,083
521660 명품 잘 아시는 분 샤넬 지갑 가격이 어떻게 되나요? 3 dmadma.. 2016/01/24 6,403
521659 급.. 호떡발효 빨리 할 수 있는 방법? 2 발효 2016/01/24 884
521658 굴이 엄청나게 들어왔는데 진짜 미치겠어요 28 // 2016/01/24 12,496
521657 조갑경딸 석희~ 12 2016/01/24 30,073
521656 서초구에 원룸 얼마정도 하나요?? 2 bbb 2016/01/24 1,353
521655 캐릭터그리기 소질있는딸 뭘 가르치면좋을까요 2 쿠키좋아 2016/01/24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