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자가 교수가 된다는건

조회수 : 2,895
작성일 : 2016-01-18 11:47:24

언젠가 여럿이 모였을때

거기 모임에 아주 똘똘하고 공부잘하는

서성한 대학에 다니는 여대생이

자기 꿈이 교수라고..

그러면서 자기 대학 홈피에 교수들 쫙 있는 사진 보는데

옆에서 나이많은 언니하나가

한숨쉬며 작은 소리로..


거기 여자가 있나보세요.....


정말로 딱한분 여자분이 계시고

대부분 압도적으로 남성 교수들...


비율이 100명중 6명 비율..

전공이 상경계라서 그런건지...


누군가가 여자가 주류사회에서 남성과 겨루어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는경우


운이 억세게 좋던게

아니면 같은 경쟁자 남자보다 월등해야 한다고

못따라오게...


아마 거기 홈피에 계신 여교수분들

임용당시 경쟁자 남성분들보다

더 뛰어나지 않았을까 추측을..

아님 천운이 걸렸거나...





IP : 58.123.xxx.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현직이지만
    '16.1.18 12:08 PM (1.244.xxx.40) - 삭제된댓글

    저는 꿈이 교수인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어요. 그저 정말 단순하게 공부를 더 하고 싶었고, 또 겁이 많아서 사회에 진출할 준비가 덜 되어 있다고 생각해서 대학원에 진학했을 뿐이죠. 돈 많은 집 딸도 아니고, 오히려 그 반대였었는데, 항상 공부하는 딸자식을 최고라며 밀어주시던 아버지 덕분이었죠. 현실은 생활비와 학비를 동시에 벌어야했기에, 대학원에서는 수업만 열심히 들었고, 지도교수님 프로젝트는 전혀 도울 수가 없었어요. 한 마디로 열외가 되어버렸죠. 선후배도 못 챙기고, 모임도 못 나가고, 그래도 상관없었어요. 어차피 공부만 하러 진학한 거라서, 그거로 만족하고 주로 현장에서 프로젝트에 뛰어들어 경력을 쌓았어요. 박사논문을 썼지만, 학계풍토에 너무 벗어나는 주제라며 10년 뒤에나 다시 내보라고 해서, 마음 접고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종종 특강도 하면서 신나게 살았죠. 그러다 6년쯤 지나자 지도교수님이 논문주제가 그 무렵 트렌드와 잘 맞는다고 하셔서 묵혀놓은 논문도 6년만에 통과되었고요. 저보다 아버지가 참 좋아하셨어요. 그러다 30대 중반, 많은 일과 사람들을 만나며 사는 삶에 조금 지쳤을 때, 특강에서 만난 학생들과의 추억이 좋아서 대학에 임용지원을 했어요. 학위를 가졌으되, 현장경험이 풍부한 분을 찾더군요. 언듯 학위도 있고 경력도 있는 분이 많을 듯하지만, 정말 의외로 제 분야에서는 둘 중 하나만 가진 분들이 대부분이세요. 공부만 했거나, 작업만 했거나. 3차에 걸친 인터뷰, 영어수업, 공개수업 등 저야 워낙 현장에서 여러 사람들을 만나며 회의하고 조율하는 게 일이었던 지라, 인터뷰나 공개수업 내내 긴장보다는 즐거웠어요. 제 긴 글에서 어떤 분은 '천운'을 읽으실테고, 어떤 분은 '경쟁력'을 읽으실테지만, 저는 그냥 '닥치는 대로' 했어요. 어떤 원고나 강의나 프로젝트나 단 한 번도 거절한 적이 없었거든요. 어쩌다 보니 돈되는 일만 하며 살아서 조금은 서글펐지만, 가난한 집 딸로 태어나 한 우물만 파면서 막연히 물나올 때를 기다릴 수는 없었으니까요.

  • 2. ...
    '16.1.18 12:12 PM (183.98.xxx.95)

    윗님 축하드립니다
    꿈이 교수이면서 자신의 길에 일로매진하다가 임용되시는 분도 있고
    자기가 좋아서 하다보니 교수가 된 분도 있고 그런거죠
    길은 여러갈래라고 생각해요
    자신의 한계, 현실을 단정짓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 3. 여자교수
    '16.1.18 12:25 PM (202.30.xxx.180) - 삭제된댓글

    같은 능력을 지녔다고 가정했을 때 여자가 남자보다 교수되기 어려운 건 사실이죠.
    되어도 더 낮은 급의 학교로 가는 일도 있고. 그래도 요즘 조금씩 나아지고 있어요.
    제가 있는 학교에서는 15%가 여교수에요. 상경계열인 저희 학과도 비슷한 비율이고요.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졸업학 학부 동창회에 가보면 저희 학번 여자 졸업생 10명 가운데 4명이 교수에요.
    오히려 남자졸업생 중 교수가 된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아요.
    그 얘기는, 그래도 학계가 일반 회사보다는 성별에 따른 차별이 "그나마" 덜하다는 뜻 아닐까요.
    어쨌든 논문이 왕창 많은 사람을 여자라는 이유로 차별하기는 쉽지 않거든요.
    회사는 (제가 회사도 꽤 다녀봐서 알아요) 평가가 정성적인 경우가 많아서
    표면적으로는 다른 이유를 대는데 실제적으로는 여자라서 당하는 차별이 많잖아요. .
    꿈을 갖고 노력하면 안 될 이유 없습니다.
    그런 자리에서 자기 꿈 이야기하는 여학생 기 꺾진 말았으면 좋겠네요.

  • 4. 여자교수
    '16.1.18 12:27 PM (202.30.xxx.180)

    같은 능력을 지녔다고 가정했을 때 여자가 남자보다 교수되기 어려운 건 사실이죠.
    되어도 더 낮은 급의 학교로 가는 일도 있고. 그래도 요즘 조금씩 나아지고 있어요.
    제가 있는 학교에서는 15%가 여교수에요. 상경계열인 저희 학과도 비슷한 비율이고요.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졸업학 학부 동창회에 가보면 저희 학번 여자 졸업생 10명 가운데 4명이 교수에요.
    오히려 남자졸업생 중 교수가 된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아요.
    그 얘기는, 그래도 학계가 일반 회사보다는 성별에 따른 차별이 "그나마" 덜하다는 뜻 아닐까요.
    (그나마입니다. 그나마.. 제가 회사를 오래 다니다 공부를 시작해서 비교를 해보니까 그래요)
    꿈을 갖고 노력하면 안 될 이유 없습니다.
    그런 자리에서 자기 꿈 이야기하는 여학생 기 꺾진 말았으면 좋겠네

  • 5. 여자교수
    '16.1.18 12:34 PM (202.30.xxx.180)

    앗, 맨 마지막에 "요"자가 잘렸어요. 본의 아니게 반말 한 것처럼 되었네요.

  • 6. 비닐봉다리
    '16.1.18 12:57 PM (222.110.xxx.221)

    해외 교수 될수도있구요. 집에빽이있을수도

  • 7. 잘못알고 계시네요
    '16.1.18 1:52 PM (168.105.xxx.88) - 삭제된댓글

    여자교수는 뽑고싶어도 못뽑고 있는 겁니다. 서울대학교 80년대 중반만해도 상과대학 한 학번에 여자 2명뿐이었어요. 여학생들이 행정고시 재경직렬로 사무관이 되기시작한것도 90년대 중반부터지요. 2000년대 초반이후부터 경제학 전공하는 남녀성비가 반반이 됩니다. 이 학생들이 비로소 유학마치고 박사학위 받고 해외에서 연구시작했어요. 서울의 유수 경제학과에도 시간이 지나면 곧 성별을 떠나 좋은 학자로서 롤 모델이 되어줄 여자분들이 한국대학에 많이 생길거에요.

    제발 꿈이 있고 열정이 있는 딸들에게 잘 알지도 못하면서 초치는 소리 하지 맙시다. 요즘은 똑똑한 여학생들이 삼성, SK에서 주는 해외유학 장학금 받고 해외유수대학에서 박사과정 밟고 있어요. 지금 미국의 리서치 스쿨에서 활발하게 활약중인 젊은 여자학자들도 여럿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164 조혜련씨 아들이요 돈 무서운걸 모르네요 35 ... 2016/01/29 41,757
523163 여행지 선택.. 이탈리아 vs. 스페인 12 유럽여행 2016/01/29 3,338
523162 여동생이 있다면,,이런 남자와 결혼해라! 3 여자복 2016/01/29 1,798
523161 단두대주의자 전원책 ㅋㅋ 5 ㅋㅋ 2016/01/29 1,504
523160 남동생있다면..어떤 여자가 좋은여자라고 조언을 해주실지 말씀 부.. 14 ..... 2016/01/28 3,186
523159 정치 관심많은 사람들 공통 성격 이렇더군요 10 정치에 2016/01/28 2,432
523158 드라마 킬미힐미랑 응팔 둘중에 어떤게 더 재밌나요? 27 심심이 2016/01/28 2,651
523157 군대내 동성애 행위 막아야 합니다!! 63 사랑 2016/01/28 17,715
523156 애들 수는 줄었다는데 왜 대학 들어가긴 아직 힘든가요 ? 8 ghdk 2016/01/28 2,495
523155 아파트 세가 안나가서 그러는데요.. 8 ... 2016/01/28 2,252
523154 남편이 잘못된 행동들 시어머님한테 얘기하나요? 38 ㅇㅇ 2016/01/28 4,275
523153 관둔 지 3년 된 동료 결혼 초대 5 2016/01/28 2,678
523152 사는게 뭔지.... 3 휴... 2016/01/28 1,669
523151 헐 세월호 선체를 부수고 있다네요. 7 미친 2016/01/28 2,581
523150 1대1 카톡에는 초대거부할 수 없나요? 카톡초보 2016/01/28 673
523149 초4 키142인데 가슴이봉긋해요 10 2016/01/28 4,328
523148 이만한 일.. 남편에게 한마디 할까요 말까요.. 3 ㅇㅇ 2016/01/28 1,332
523147 살면서 어떤 어려움과 역경을 극복해보셨나요.. 13 ... 2016/01/28 3,920
523146 60대후반 여자 혼자 살기에 어디가 좋을까요? 평수나 지역도 추.. 4 고민 2016/01/28 3,324
523145 중도금 집단대출 받으면 빠빠시2 2016/01/28 493
523144 못났다..못났어..(돈을 못 써요ㅜㅜ) 9 coco 2016/01/28 3,725
523143 우리나라에도 섹스토이샵이 있네요 2 신기 2016/01/28 4,092
523142 MBC의 추락, 정말 이 정도까지인줄 몰랐네요 3 11 2016/01/28 3,203
523141 오상진은 역시 전국에서 좋아하는 분들이 엄청 많네요 ㅜㅜㅜ 4 판타지 2016/01/28 2,554
523140 유리천장 쉽지가 않네요..... 2 ........ 2016/01/28 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