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4개월이나 쌀 먹어도 되나요?

조회수 : 1,648
작성일 : 2016-01-18 03:40:36
용량 큰게 싸서
살까말까하는데
10kg 사면 4달 먹을거 같아서요
살까요?
남편이 밥을 집에서 거의 안먹어요
주말에 한두끼정도 먹고 외식이고
아침에 빵먹고
쌀 그래서 거의
저혼자 먹어요
IP : 116.125.xxx.18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18 4:08 A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쌀은 유통기한이 정확히 1주일이에요.
    그 이후에는 산패가 일어나죠.
    냉장 보관하면 2배 정도 길어져요.
    현미라면 1개월 정도구요.
    산패된 음식은 피를 탁하게 만들어요. 염증이 잘 일어나게 하구요.
    그래서 항산화음식을 먹어서 중화하죠.
    애초에 산패되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게 중요해요.
    이론적으로 그렇다는데, 사실 지키기 어렵죠.
    저희는 쌀을 받아서 먹는데, 10월경에 수확한 쌀 40킬로를 받아서
    지금 절반 정도 먹었고, 나머지는 20킬로는 창고에 있어요. 너무 커서 냉장고에도 안 들어가구요.
    먹으면서도 스트레스이네요. 이것으로 다 떡을 해 먹을 수도 없고.
    작년에는 쌀을 이웃집 다 나눠주고, 떡도 해서 나눠 줬어요.
    올해는 이사와서 아는 집이 없어서 먹고 있네요.
    버릴 수도 없고.
    사서 먹는다면 조금씩 사서 먹겠어요.
    비타민 먹는 이유가 다른 효능도 있겠지만, 항산화 효능이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알아요.
    신선한 쌀을 먹는다면 비타민 약값을 줄일 수 있죠. 신선한 야채를 덜 먹어도 되구요.
    비싸도 신선한 음식 먹는 것이 오히려 비싼 약값 감안하면 더 싸게 먹힐 거에요.

  • 2. ..
    '16.1.18 4:10 A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쌀은 유통기한이 정확히 1주일이에요.
    그 이후에는 산패가 일어나죠.
    냉장 보관하면 2배 정도 길어져요.
    현미라면 1개월 정도구요.
    산패된 음식은 피를 탁하게 만들어요. 염증이 잘 일어나게 하구요.
    그래서 항산화음식을 먹어서 중화하죠.
    애초에 산패되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게 중요해요.
    이론적으로 그렇다는데, 사실 지키기 어렵죠.
    저희는 쌀을 받아서 먹는데, 10월경에 수확한 쌀 40킬로를 받아서
    지금 절반 정도 먹었고, 나머지는 20킬로는 창고에 있어요. 너무 커서 냉장고에도 안 들어가구요.
    먹으면서도 스트레스이네요. 이것으로 다 떡을 해 먹을 수도 없고.
    작년에는 쌀을 이웃집 다 나눠주고, 떡도 해서 나눠 줬어요.
    올해는 이사와서 아는 집이 없어서 먹고 있네요.
    버릴 수도 없고.
    사서 먹는다면 조금씩 사서 먹겠어요.
    비타민 먹는 이유가 다른 효능도 있겠지만, 항산화 효능이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알아요.
    요즘은 비타민도 부작용이 많다고 하죠. 암을 유발하는 요인으로까지 지목되고 있어요.
    신선한 쌀을 먹는다면 비타민 약값을 줄일 수 있죠. 신선한 야채를 덜 먹어도 되구요.
    비싸도 신선한 음식 먹는 것이 오히려 비싼 약값 감안하면 더 싸게 먹힐 거에요.

  • 3. 예전에
    '16.1.18 4:51 AM (78.243.xxx.209)

    가마니로 사다 놓고 먹었던 건 그럼 정말 잘못된 일이었겠네요.

  • 4. ...
    '16.1.18 6:20 AM (183.107.xxx.162) - 삭제된댓글

    서늘한 곳에 잘 보관하고 1년 동안 두고 먹는 일 무탈하게 우리 조상 대대로 해왔던 일이네요~~

  • 5. ㅁㅁ
    '16.1.18 6:39 A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농산물이란게 한해농사지어 일년두고 먹게 만들어진것인데
    뭔 산패타령
    벌레만 안나게 소분해 냉장에 넣으세요
    일년두고 먹는겁니다

    환경된다면 도정해바로먹는게 밥맛최고이긴하지만
    농사짓는이나 가능한 일이구요

  • 6. 2년도
    '16.1.18 6:43 AM (125.181.xxx.152) - 삭제된댓글

    쟁여놓고들 먹든데요.
    요즘 워낙 소포장 나와서 그렇지 원래 80 Kg 씩이었어요.

  • 7. .
    '16.1.18 8:12 AM (124.53.xxx.106)

    조상님들이 쌀농사지어서 1년먹는건 당연했죠.

    근데 조상님들은 벼상태로 보관했다가
    먹을때마다 절구에 찧어(도정) 먹었네요.
    한꺼번에 한가마씩 도정한게 아니구요.

    쌀은 소량씩 사먹는게 좋아요.

  • 8. 쌀유통기한
    '16.1.18 8:13 AM (59.6.xxx.5) - 삭제된댓글

    1주일? 누가 그래요?
    43평생 첨 들어보네요.

  • 9. 생수용 패트병에 넣어두세요.
    '16.1.18 8:27 AM (61.106.xxx.225)

    저도 두 식구 뿐인데다 국수를 좋아해서 쌀 한 포 사면 몇 달씩 먹습니다.
    생수용 패트병에 넣어두고 먹으면 색도 안 변하고 벌레도 안 생기며 밥맛도 그대로네요.

  • 10. 쌀 유통기한이란거
    '16.1.18 9:32 AM (124.53.xxx.106)

    1주일 이란말은..
    도정한쌀의 최상의질 상태유지 기간이란거겠죠.

    저는 도정후 20부터 서서히 산패된다고
    들었어요.
    벼껍질 벗겨지는순간부터 공기접촉이되니
    산화되는건 당연하지 않겠어요..:?

    낮은온도에서 보관하면 더 길게보관할수있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2132 보만 bsw 전기주전자 괜찮나요 전기포트 2016/01/26 832
522131 파미에 스테이션 식당 어디가 좋을까요? 8 엘레핀 2016/01/26 1,811
522130 독학재수학원이 뭔가요? 2 ... 2016/01/26 1,406
522129 대학생이 된 자녀들 8 82cook.. 2016/01/26 2,497
522128 서울 지금 눈오는데.. 6 sss 2016/01/26 1,746
522127 예비 초등 4학년입니다 4 저도 수학고.. 2016/01/26 1,277
522126 시부모님 저희집에 놀러오세요.하시나요? 22 ... 2016/01/26 4,417
522125 닥터 포스터 보신 분 계신가요? (스포주의) 1 kbs해외드.. 2016/01/26 17,310
522124 잉크 리필가능한 저렴한 프린트기 3 기가 2016/01/26 732
522123 BTV광고에 나오는 이어폰 꽂는 리모컨은 시중에도 있을까요? 2 갖고싶다 2016/01/26 8,343
522122 초등1학년때 컴퓨터 필요할까요? 11 초보학부모 2016/01/26 1,286
522121 여자와 연락하는게 어때서? 할겁니다 2 2016/01/26 1,145
522120 제주도 요트 타보셨나요? 2 제주 2016/01/26 791
522119 수학 학원,,,,,, 어느 선택이 나은지 좀 알려주세요,,,, 11 고민 2016/01/26 1,827
522118 홈쇼핑 안동참마 좋은가요 1 2016/01/26 982
522117 뒷북중인데 라미란네는 왜 돈이 많나요? 6 . . 2016/01/26 2,652
522116 "위안부는 돈 잘 번 매춘부, 미군에도 서비스".. 최고의 모독.. 2016/01/26 683
522115 전원주택 단지 분양은 왜 잘 16 없죠? 2016/01/26 4,776
522114 거실에 그림하나 걸어두고 싶은데.. 어디서 사야 바가지를 안쓸까.. 5 액자 2016/01/26 1,881
522113 싫은사람 불러내는 이유는 뭔가요? 4 .. 2016/01/26 1,301
522112 어제 대학벼뭔에서 무서워요ㅜㅜ.. 2016/01/26 629
522111 엄마가 왜 화가 났을까요 37 gi 2016/01/26 6,372
522110 장기수선충담금 7 ..... 2016/01/26 1,567
522109 김병지ㅡ남의 손톱자국은 평생가지 않나요? ㅜㅜ 34 ㅇㅇㅇ 2016/01/26 7,289
522108 남편.. 자기가 뭘 잘 못했는지 모르네요. 21 남편 2016/01/26 3,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