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 언론의 뉴욕타임스 외면

샬랄라 조회수 : 974
작성일 : 2015-11-24 19:15:07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718720.html
IP : 125.176.xxx.23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12
    '15.11.24 8:25 PM (182.215.xxx.10) - 삭제된댓글

    가 19일 마침내 박근혜 정권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사설을 실었다. 뉴욕 타임스는 ‘한국 정부, 그 반대자들을 겨냥하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 정권과는 밤과 낮처럼 다른 한국의 민주적 자유를 후퇴시키려 골몰하고 있는 것 같아 아주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사설은 수만명의 한국인들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와 재벌기업의 노동자 해고를 더 쉽게 하는 노동법 개정에 항의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면서, 박근혜 정부는 또한 사회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표출되는 비판과 반대를 통제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톡의 이석우 공동대표가 검찰에 기소돼 사임한 것을 두고 정부의 감시 시도에 저항하고 정부에 비판적인 사용자들의 의견 제한을 거부한 것이 기소의 진짜 이유라는 비판적 시각을 소개하기도 했다. 신문은 올해 한국 경제가 좋지 않지만 “해외에서 한국의 평판에 대한 가장 큰 위험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으로, 주로 역사를 다시 쓰고 비판자들을 억압하는 박 대통령의 탄압조처들”이라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에서도 여론을 주도하는 대표적 고급지다. 그 사설이 지니는 무게는 다른 신문과 비교할 수 없다. 또한 국정화를 옹호하는 해외 언론은 하나도 없다.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VOA)도 비판적인 분석을 보도했다. 구글은 뉴욕 타임스 사설을 우리말로 번역해놓기까지 했다. 그런데 와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은 뉴욕 타임스의 사설을 소개하지 않았다. 국가의 기간 통신사라는 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연합뉴스, 한국방송(KBS), 와이티엔(YTN)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참여한 직원들을 징계하겠다는 방침을 선포했다. 명백한 언론자유 탄압이다. 한국 언론의 부끄러운 현주소다. 박근혜 정권의 민주주의 수준을 반영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런 정권을 민주의 정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언론을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민주주의 옷으로 위장한 파시스트 체제라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4년 전 영국의 미디어 황제 루퍼트 머독이 신문 부수 확장을 위해 센세이션 신문을 만들 욕심에서 인터넷을 마구 해킹하다 들통이 난 일이 있었다. 머독은 해킹 혐의가 드러나자 극구 부인했다. 심지어 경찰까지 매수해 해킹 사실을 은폐했다. 그러자 영국의 주요 신문들이 영국 신문의 명예를 위해 해킹 혐의가 있는 머독의 (NOW)의 취재 과정을 추적해서 해킹을 입증하는 데 힘을 모았다. 미국 언론인들도 머독 언론의 불법 취재를 밝히는 데 협조했다. 결국 머독 언론의 해킹 사실은 드러났고, 머독은 문제의 신문을 폐간하고 영국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했다.
    언론은 권력과의 싸움에서 단신으로는 승리를 기대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머독 언론에 공동 대항한 영국 언론처럼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사명을 위해 언론인들의 연대가 불가피할 때가 있다. 그런데 한국의 친권력 언론들은 오히려 정권을 옹호하는 데 힘을 모아 앞장서면서, 민주 진보 언론과의 연대는 한사코 피하고 있다. 20세기 미국 언론의 대원로인 월터 리프먼은 100년 전, 진실되고 필요한 뉴스가 꾸준히 공급되지 않으면 민주주의는 실패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바로 오늘 한국의 언론을 두고 한 예언 같다.

    장행훈 언론광장 공동대표

  • 2. 기사 퍼왔어요
    '15.11.24 8:25 PM (182.215.xxx.10)

    뉴욕타임즈가 19일 마침내 박근혜 정권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사설을 실었다. 뉴욕 타임스는 ‘한국 정부, 그 반대자들을 겨냥하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 정권과는 밤과 낮처럼 다른 한국의 민주적 자유를 후퇴시키려 골몰하고 있는 것 같아 아주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사설은 수만명의 한국인들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와 재벌기업의 노동자 해고를 더 쉽게 하는 노동법 개정에 항의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면서, 박근혜 정부는 또한 사회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표출되는 비판과 반대를 통제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톡의 이석우 공동대표가 검찰에 기소돼 사임한 것을 두고 정부의 감시 시도에 저항하고 정부에 비판적인 사용자들의 의견 제한을 거부한 것이 기소의 진짜 이유라는 비판적 시각을 소개하기도 했다. 신문은 올해 한국 경제가 좋지 않지만 “해외에서 한국의 평판에 대한 가장 큰 위험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으로, 주로 역사를 다시 쓰고 비판자들을 억압하는 박 대통령의 탄압조처들”이라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에서도 여론을 주도하는 대표적 고급지다. 그 사설이 지니는 무게는 다른 신문과 비교할 수 없다. 또한 국정화를 옹호하는 해외 언론은 하나도 없다.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VOA)도 비판적인 분석을 보도했다. 구글은 뉴욕 타임스 사설을 우리말로 번역해놓기까지 했다. 그런데 와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은 뉴욕 타임스의 사설을 소개하지 않았다. 국가의 기간 통신사라는 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연합뉴스, 한국방송(KBS), 와이티엔(YTN)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참여한 직원들을 징계하겠다는 방침을 선포했다. 명백한 언론자유 탄압이다. 한국 언론의 부끄러운 현주소다. 박근혜 정권의 민주주의 수준을 반영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런 정권을 민주의 정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언론을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민주주의 옷으로 위장한 파시스트 체제라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4년 전 영국의 미디어 황제 루퍼트 머독이 신문 부수 확장을 위해 센세이션 신문을 만들 욕심에서 인터넷을 마구 해킹하다 들통이 난 일이 있었다. 머독은 해킹 혐의가 드러나자 극구 부인했다. 심지어 경찰까지 매수해 해킹 사실을 은폐했다. 그러자 영국의 주요 신문들이 영국 신문의 명예를 위해 해킹 혐의가 있는 머독의 (NOW)의 취재 과정을 추적해서 해킹을 입증하는 데 힘을 모았다. 미국 언론인들도 머독 언론의 불법 취재를 밝히는 데 협조했다. 결국 머독 언론의 해킹 사실은 드러났고, 머독은 문제의 신문을 폐간하고 영국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했다.
    언론은 권력과의 싸움에서 단신으로는 승리를 기대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머독 언론에 공동 대항한 영국 언론처럼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사명을 위해 언론인들의 연대가 불가피할 때가 있다. 그런데 한국의 친권력 언론들은 오히려 정권을 옹호하는 데 힘을 모아 앞장서면서, 민주 진보 언론과의 연대는 한사코 피하고 있다. 20세기 미국 언론의 대원로인 월터 리프먼은 100년 전, 진실되고 필요한 뉴스가 꾸준히 공급되지 않으면 민주주의는 실패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바로 오늘 한국의 언론을 두고 한 예언 같다.

    장행훈 언론광장 공동대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5619 일복터진설입니다 ㅠㅠ 13 일복 2016/02/06 6,641
525618 저도 전교 1등.. 17 .. 2016/02/06 7,409
525617 아들이 치질이라는데.. 3 송도병원 2016/02/06 1,228
525616 황제를 위하여 읽어보신 분, 어떤가요? 2 이문열작가 2016/02/06 936
525615 심영순 요리연구가 "설 음식 힘들면 사다 드세요" 10 아마즈 2016/02/06 8,026
525614 4만원 주고 산 졸업식 꽃다발 어떻게 관리해야 오래 가나요? 7 2016/02/06 2,395
525613 오늘 양재 코스트코 많이 막힐까요? 3 길냥이사료 2016/02/06 1,317
525612 모터그래프 김한용 기자의 sm6 시승기 유튜브 2016/02/06 1,558
525611 전 미용실 가는게 왜이리 싫을까요 28 fff 2016/02/06 6,328
525610 애기 허리 괜찮을까요? 3 초보맘 2016/02/06 819
525609 전복선물세트.. 1 dan 2016/02/06 719
525608 2.6)새누리 753/더민주 301/국민의 105/ 정의당 39.. 2 탱자 2016/02/06 833
525607 잔금 안받았는데 열쇠주라는 부동산 12 ^^* 2016/02/06 3,778
525606 100일 아기와.. 이 경우 시댁서 하루 자야할까요? 아니면 집.. 7 라일락하늘 2016/02/06 1,441
525605 제가 거지 같아 보여서 이런걸 주는 걸까요? 25 거지 2016/02/06 18,564
525604 세상에 박보검 너무 착하고 못하는것도 없네요. 8 00 2016/02/06 3,838
525603 15층 아파트의 4층과 5층 어디를 선택하실건가요? 8 ... 2016/02/06 2,980
525602 실제로 대구 경북이 제일 시댁으론 힘든가요? 43 ... 2016/02/06 7,113
525601 현기환의 안하무인 행태가 드러낸 박근혜 정권의 실상 1 샬랄라 2016/02/06 614
525600 은마상가에 안경점 있나요? 1 희야 2016/02/06 1,163
525599 예비고1..국어,영어 잘하면 문과가 좋겠죠? 13 고민 2016/02/06 2,023
525598 82쿡들은 아이스크림 어릴때 주로 뭐 드셨어요..???ㅋㅋ 28 .. 2016/02/06 2,663
525597 아들이 왼쪽 발목수술했어요 5 환자복 2016/02/06 984
525596 홍콩 현지인 계실까요? 12 ,,, 2016/02/06 2,952
525595 설 명절에 가정폭력 급증,하루 187건→설연휴 268건 6 키질조리질 2016/02/06 1,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