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쫄면위에 뿌리는 기름이 참기름인가요? 들기름인가요?

... 조회수 : 2,819
작성일 : 2015-11-15 14:51:13
냄새가 너무 고소해서 좋은데.. 
도대체 어떤 기름인지 모르겠어요.. 
오뚜기참기름은 아닌것 같고.. 
어떤기름에다가 또 뭘 가미해서 만드는 기름인지도 궁금해요?
아니면 들기름인지도 궁금하고요.. 
IP : 39.119.xxx.185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1.15 2:53 PM (114.93.xxx.169)

    고소한거 더 원할땐 참기름.
    향긋한 감칠맛을 원할땐 들기름.
    헷갈릴땐 섞어서..

  • 2.
    '15.11.15 2:54 PM (223.62.xxx.80)

    방앗간가서 짠 참기름이 냄새도 꼬~~~~~~소하고 향도 찐~~~하고 맛있어요

  • 3. ...
    '15.11.15 2:57 PM (39.119.xxx.185)

    분식점 쫄면인데.. 냄새가 너무 고소해요.
    저도 ㅇ ㄸㄱ 참기름 사와서 뿌려 먹는데..
    정말 그 맛이 안나요.. 그 분식점이 다른 맛있는 곳에서 참기름을 사오나보네요..

  • 4. gg
    '15.11.15 3:11 PM (220.72.xxx.248)

    분식집에서 뿌리는 건 참기름이 아니라던데요...

  • 5. 분식점
    '15.11.15 3:13 PM (112.154.xxx.217)

    기름은 참기름 들기름 아니고 향미유라고 첨가물 잔뜩넣은거에요.

  • 6. 그거 상당히
    '15.11.15 3:18 PM (211.202.xxx.240) - 삭제된댓글

    안좋은거라고 뉴스에 나온거 같은데요.
    식용으로 스기에 뭣한 재료라구요.
    한마디로 참기름도 아니고 들기름도 아닌 제3의 물질

  • 7. 그거 상당히
    '15.11.15 3:18 PM (211.202.xxx.240)

    안좋은거라고 뉴스에 나온거 같은데요.
    식용으로 쓰기에 뭣한 재료라구요.
    한마디로 참기름도 아니고 들기름도 아닌 제3의 물질

  • 8. 무지개분식
    '15.11.15 3:18 PM (203.226.xxx.48)

    현재 분식집 운영중입니다.방앗간에서 직접가서 사옵니다.중국산참
    깨로짠거.
    장사하는덴 모조리 싸구려 가짜만 쓰는줄 알고있는 이상한사람
    참 많아요.
    방앗간 참기를먹다가 오뚜기참기름 먹어보면 맛없어 못먹어요

  • 9. 윗님
    '15.11.15 3:25 PM (211.202.xxx.240)

    님처럼 양심적으로 하는 사람보다 아닌 사람이 90% 이상입니다.
    이상하긴요 소비자 탓하지 마세요. 양심버리고 파는 일부라기엔 너무 많은 장사꾼들이 문제죠.

  • 10. ,,,
    '15.11.15 3:33 PM (39.119.xxx.185)

    아... 방앗간 기름이 답이네요..
    답글 보고 그 고소한 향이 그렇게 안 좋은거라니..
    어쩐지 사온 참기름은 밍숭맹숭..

  • 11. 방아간에서
    '15.11.15 3:34 PM (50.191.xxx.246)

    짜서 파는 참기름이 과연 100% 참기름일까요?
    시어머니께서 오래전에 시골에 세주던 집 세입자가 방아간도 하고 기름집도 하던 사람이었는데 기름 짜주는 방아간도 아는 곳에 가서 기름 짜는 내내 지켜보고 있어도 섞으려면 섞을 수 있다고 자기는 이번 생엔 교회나 절은 벌받을까봐 못 나가단다고 했대요.
    시어머니께서 먹거리에 유난하신 분인데 유독 참기름만큼은 차라리 대놓고 중국산 100%라는 오뚜기나 카도야참기름 먹는게 낫다고 하셨어요.

  • 12. .....
    '15.11.15 3:45 PM (115.10.xxx.10) - 삭제된댓글

    양심적으로 하는 분도 있겠죠.
    근데 안 그런 사람도 있어요.
    조그만 한식당 사장을 개인적으로 알아요.
    사람 좋아요.
    어쩌다가 과일 나눠먹으려고 주방에 따라 들어갔는데 김치 모으는 통이 따로 있는걸 봤어요.
    반찬 재활용 안한다고 써있었거든요.
    이 김치는 왜 따로 두나 물어보니 찌개용이래요.
    끓여 나가는거니까 재활용 아니라고..
    우리 먹던 상에서 나온반찬을 다 도로 담길래 제가 바라보니까 우리끼리 먹던건데 어떠 냐고 이건 깨끗 해서 괜찮다고..
    그에비함 동네분식집서 설거지 하는 사람 말로는 거기는 사장이 완전 고지식해서 음식 재활용은 물론이고 점심 장사 끝나고 스뎅 완전 끓는물에 소독.저녁장사 끝나고 집에 가기전에 또 소독 엥간히 사람 볶아댄다고도 했구요.

  • 13. 전에
    '15.11.15 4:06 PM (222.238.xxx.125)

    마트에서 챀기름 고르고 있는데 종업원분이 ** 참기름을 사시라고 슬쩍 말하더라구요.
    뭔 소린가 했더니
    그 회사것은 통참깨를 쓰고 다른 회사는 참깨가루를 쓴다고요.
    그래서 자세히 설명서를 보니 그런 문구가 있네요.
    가루와 통참깨.
    그래서 향도 훨씬 좋다면서 ...
    조금 이름이 덜 알려진 회사더라구요.
    그래서 그걸 씁니다.
    유명한 회사거라고 무조건 집어들지 마시고 그걸 보세요.
    통참깨 100%

  • 14. ,,,
    '15.11.15 5:34 PM (39.119.xxx.185)

    감사합니다.. 통참깨.. 잘기억할게요..
    그런데.. 그 고소한 기름이 이름도 생소한 기름이었다니..
    휴.. 왜 먹는 음식 가지고 그럴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3120 50 넘어서도 여행이 여전히 49 즐겁나요? 2015/11/24 2,907
503119 김영삼 욕하는 진보,보수들은 모두 여기를 보십시요! 호박덩쿨 2015/11/24 901
503118 폐경되신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4 고민이 2015/11/24 4,773
503117 내년초 전세만기라 5 나가기싫다ㅠ.. 2015/11/24 1,653
503116 댁의 남편들.. 어떻게 반응하시나요? 22 물끄러미 2015/11/24 5,875
503115 김치 국물 많이 생기면 짠건가요? 싱거운건가요? 8 ... 2015/11/24 1,511
503114 고등학교 내신 - 국영수과에 가산점? 가중치가 있나요? 3 교육 2015/11/24 1,773
503113 어린시절 밖에서 재밌게 했던 놀이 추억해봐요 20 놀이 2015/11/24 1,503
503112 옷에 대한 얘기가 나와서 .. 2015/11/24 946
503111 자동차 보험을 중간에 바꿀 경우 설계사한테 피해 가나요? 5 운전자 2015/11/24 1,054
503110 wmf 압력밥솥 49 둥글레 2015/11/24 3,634
503109 비과세저축보험 가입시 질문이요~ 2 궁금이 2015/11/24 1,456
503108 암수술후 항암치료는안하면 어찌될까요? 7 ㅇㅇ 2015/11/24 3,513
503107 쉬운 영어책 추천 좀 해주세요 (초2) 9 영어고민 2015/11/24 1,759
503106 김장을 하긴 했는데.. 5 ㅇㅇ 2015/11/24 2,034
503105 마트 외엔 외출 잘 안하시는 주부님들 많은가요? 22 외출 2015/11/24 5,812
503104 2015년 11월 24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5/11/24 693
503103 어제 마트갔다가 충격받은 일 49 .... 2015/11/24 28,700
503102 잠이 많아 인생이 안풀리는것 같아요 9 2015/11/24 3,567
503101 분가가 이렇게 힘들어서.... 15 1124 2015/11/24 4,208
503100 7세 남아 자다가 깨서 돌아다니는 현상 도움 요청합니다 14 호야맘 2015/11/24 4,624
503099 강용석 나도 YS다... 12 에휴 2015/11/24 3,219
503098 방광염 응급처지 법 있을까요? 7 지긋지긋 2015/11/24 3,206
503097 "메르스 종식하려 80번 환자 죽인 나라" 환.. 대단 2015/11/24 3,129
503096 박정희 경제정책의 실상 2 역사 2015/11/24 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