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반 압력솥으로 현미밥하는 방법 알고싶어요...

현미밥 조회수 : 2,067
작성일 : 2015-11-01 11:11:55
안넝하세요... 사십중반의 요리초보입니다.
남편이 오래동안 고혈압약 복용중인데
현미가 좋다고즐 하셔서 오늘 현미랑 도시락을 사러 나가려해요.
회사식당에서 먹을때 밥만 제가 싸준 현미밥을 먹이려고요.

저희집엔 전기압력솥이없고 (고장나서 올초에 없앴거든요)
가스불에 사용하는 압력솥이 있습니다.
현미는 어떤 현미를 사야할까요?
발아현미를 사도 오래 불려서 사용해야하는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시구요.~
IP : 211.48.xxx.2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15.11.1 11:19 AM (203.128.xxx.189)

    가스 압력밥솥에 밥 해 먹는데요.
    현미.백미 7:3으로 해서요.
    백프로 현미밥도 해 먹고요.
    전 밤에 씻어서 불려놨다가 하는데
    먹기 불편하지 않아요.
    그리고 햅현미 요즘 나오쟎아요.
    묵은 현미보다 더 부드럽게 잘되네요.
    물양은 일반밥 보다 조금 더 넣고 합니다.
    찰현미 보다 일반현미가 나은거 아닌가요?

  • 2. ....
    '15.11.1 11:25 AM (39.121.xxx.97)

    저는 그냥 일반 현미 사서 오래 불립니다.
    항상 저녁에 씻어 담가놓고 아침에 밥 해요.
    일단 센불에 올려 끓이다가 추 돌아가면
    중약불로 줄여 3분정도 더 끓임.
    그대로 두고 김 다 빠진 후에 뚜껑 열면 밥 잘 되어있어요.

    안불렸을 때 불 켰다 껐다 여러번 하는 방법도
    본 것 같은데,
    그냥 신경 조금 써서 미리 오래 불리는게 확실해요~

  • 3. ...
    '15.11.1 11:26 AM (220.73.xxx.63) - 삭제된댓글

    방법은 일반쌀 밥하는 거랑 다르지 않아요.

    다만 아침에 밥하시려면
    전날 저녁에 쌀 담궈 놓으시는게 깔끄럽지 않고 부드럽구요.

    물은 백미일때보다 조금 더 넣으세요.
    (일인분 쌀 계량할 때의 컵으로 반컵 정도 물을 더 넣습니다.
    백미를 섞을 때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백미는 5분 정도 가열한다면
    현미는 1분 더 가열하세요.

    건강을 위해서라면 찰현미보다 일반현미가 낫구요.

  • 4. ...
    '15.11.1 11:27 AM (220.73.xxx.63) - 삭제된댓글

    방법은 일반쌀 밥하는 거랑 다르지 않아요.

    다만 아침에 밥하시려면
    전날 저녁에 쌀 담궈 놓으시는게 깔끄럽지 않고 부드럽구요.

    물은 백미일때보다 조금 더 넣으세요.
    5인분이든 6인분이든 종이컵으로 반컵 정도의 물을 더 넣습니다.
    백미를 섞을 때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백미는 5분 정도 가열한다면
    현미는 1분 더 가열하세요.

    건강을 위해서라면 찰현미보다 일반현미가 낫구요.

  • 5. ...
    '15.11.1 11:28 AM (220.73.xxx.63)

    방법은 일반쌀 밥하는 거랑 다르지 않아요.

    다만 아침에 밥하시려면
    전날 저녁에 쌀 담궈 놓으시는게 깔끄럽지 않고 부드럽구요.

    물은 백미일때보다 조금 더 넣으세요.
    5인분이든 6인분이든 종이컵으로 반컵 정도의 물을 더 넣습니다.
    백미를 섞을 때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백미는 5분 정도 가열한다면
    현미는 1분 더 가열하세요.

    건강을 위해서라면 찰현미보다 일반현미가 낫구요.
    발아현미는 불릴 필요없이 그냥 사용하셔도 될거에요.

  • 6. ㄷㄷㄷ
    '15.11.1 11:28 AM (121.143.xxx.117)

    전기압력솥 쓰다가 치우고 가스압력솥 쓰고 있는데요.
    현미2 현미찹쌀1 정도 섞어서 안불리고 해요.
    저는 현미의 씹는 맛을 좋아하긴 하는데
    맛있게 잘돼요.
    전기압력솥과 차이는 없어요.
    쌀밥 드시던 분은 씻어서 냉장 보관했다가 다음날 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 7. 저는
    '15.11.1 11:41 AM (1.243.xxx.122)

    불리지 않고 그냥해요.
    현미만 100% 할 경우 물의 양을 넉넉히 잡고 (약 1.5배) 쌀이나 귀리등 반정도 섞을때는 1.2배 정도.
    추가 울리면 2분뒤 약불로 약 6~7분, 그리고 김 빠질때까지 뜸들이기 해요.

  • 8. @@
    '15.11.1 11:50 AM (220.72.xxx.238)

    동네 할머니께서 알려주신 방법인데요.
    보리밥하듯이 현미를 불리지말고 한번 삶아주신다음 바로 밥을 하면 시간도 얼마 안걸리고
    여러시간 불린것처럼 식감 부드럽고 좋아요

  • 9. ............
    '15.11.1 2:07 PM (14.39.xxx.64) - 삭제된댓글

    맛있는 현미밥 & 현미 죽, 만드는 간단한 방법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7&cn=0&num=1525801&page=2&searchType...

  • 10. 감사합니다.
    '15.11.1 3:51 PM (211.48.xxx.24)

    알려주셔서 넘넘 감사드립니다.

  • 11. 뒤늦게
    '15.11.1 11:10 PM (125.180.xxx.22)

    저희는 불리지 않고 일반물보다 약간 더넣고 딸랑거리면 가장 약하게 줄인후 25분정도 후에 끄고 먹으면 거부감 없이 구수하고 맛있더라구요.
    찰현미는 장복하면 별로라고해서 그냥 현미 100프로나 귀리 율무 약간 넣어도 씹는 식감 좋아요.
    될수 있으면 한살림에서 유기농으로 사서 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6302 중도금 대출 2.5→3.5 ... 2015/11/01 967
496301 떼굴떼굴 때굴때굴 데굴데굴 대굴대굴 1 도토리야 2015/11/01 3,300
496300 2015학년도 강남3구 특목고 진학 현황 5 .. 2015/11/01 3,242
496299 브리즈번 공항에서 호텔 가는 셔틀 버스 있을까요? 3 호주 2015/11/01 1,194
496298 文 "김무성, 자유민주주의 신봉세력 아님을 스스로 고백.. 3 샬랄라 2015/11/01 737
496297 식구들 치닥거리에 기가 빠지는 것 같아요. 5 한바탕 2015/11/01 2,195
496296 오세남아 울면서말해요 17 고민 2015/11/01 3,069
496295 집에서 많이 활용하시는 오븐렌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결정장애인 2015/11/01 1,149
496294 빈대가 생활화 되어 있는 지인 14 k 2015/11/01 5,512
496293 송도는 동춘동에 비해 물가 많이 비싸겠죠? 2 인천 2015/11/01 1,956
496292 링컨학교독서캠프...질문이요 캠프 2015/11/01 1,016
496291 일반 압력솥으로 현미밥하는 방법 알고싶어요... 49 현미밥 2015/11/01 2,067
496290 쌀 많이 안 먹는 가족....10키로짜리 사서 4-5달 정도 먹.. 11 2015/11/01 2,462
496289 옛따..응답? 1988년 117 쑥과 마눌 2015/11/01 15,201
496288 극세사이불 정전기 안일어나는 것 알고 싶어요 49 극세사 2015/11/01 2,637
496287 30대 이상 분들 또래가 안 하는 행동 하는 거 적어봐요 20 ㅇㅇ 2015/11/01 4,650
496286 분당/성남에 펄러비즈 살 수 있는 데 있을까요? 펄러비즈 2015/11/01 784
496285 조성진콩쿨우승 총결산.클래식을 잘모르는 분들께... 1 이채훈의 클.. 2015/11/01 1,652
496284 초1인데요 수학 잘 하는 아이로 키울려면 뭘해야할까요? 6 좀알려주세요.. 2015/11/01 2,215
496283 부천사시는분? 4 올리비아 2015/11/01 1,264
496282 중3 영어점수만 못나와요 어쩌죠ㅠ 7 고등영어 2015/11/01 1,795
496281 남향도 다 같은 남향이 아니네요.. 6 차이가 2015/11/01 3,301
496280 2015년 국가 삶의 질 순위가 발표되었네요.. 70 공식국제기구.. 2015/11/01 4,718
496279 (급).영주권 포기하는 방법 아시는분..도와주세요.. 7 영주권.. 2015/11/01 2,774
496278 지지율 반등했다는데요 9 2015/11/01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