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잘 상하는 음식 가르쳐주세요.

잘잘 조회수 : 1,594
작성일 : 2015-10-25 18:38:07
제가 무지 게을러서 ㅠ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어요.
밥을 한 후 남편이 설겆이.. 저는 잊어버림.. 이런 패턴이에요.
그런데 낭편이 딱 설겆이만 하는 분이라 뒷처리를 까먹어 음식이 상해서 버릴때가 많아요.
국 같은건 하루 둬도 별일 없곤 한데 몇몇 잘 상하는 음식이 있는거 같아 .알고 신경 좀 쓰려구요.
제가 잘 실수하는 음식은 호박죽이링 몇치육수..
아까도 솔치로 끓인 멸치육수 칼국수 해먹고 남은거 이상해져서 버렸어요.
이렇게 잘 상하는 음식 알고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58.230.xxx.9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25 6:41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숙주나물.

  • 2. 김흥임
    '15.10.25 6:41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뭐든 숟가락댔다가 상온에두면 잘 상합니다

  • 3. 최고
    '15.10.25 6:41 PM (115.143.xxx.202)

    잡채가 최고 잘상해요..
    육개장 같은것도..
    이것저것 섞어서 만든 반찬 종류라서 그런가봐요
    나물종류
    생선 멸치 육수 이런것도 잘상하고..
    손이 닿은것들도...

    반면 짠 음식...김치, 스파게티 소스, 짜장밥...이런건 잘 안상하더라구요

  • 4. .
    '15.10.25 6:55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침묻은 음식;;;
    두부

  • 5. 우렁된장국
    '15.10.25 6:55 PM (5.254.xxx.178) - 삭제된댓글

    음식중에 가장 신속하게 상하는 건.. 제 경험담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생굴입니다.

  • 6.
    '15.10.25 7:53 PM (119.194.xxx.208)

    윗분들 말씀이 맞구요, 국 종류는 뚜껑 닫아서 한번 화르륵 끓으면 바로 끄고 그대로 두세요. 그럼 밤새도록 잘 안상해요. 숙주 나물도 잘 쉬더군요. 뭐든 바로 냉장고류 싹 넣으시길...

  • 7. 흰 팥가루도
    '15.10.25 10:59 PM (175.223.xxx.25)

    잘 쉬고, 식혜도 잘 쉬고, 다시마 들어간 국 찌개 종류도 잘 쉬더군요. 해물도 잘 상하고요. 국 찌개 종류도 , 덜어 먹고 자주 끓여줘야 그나마 덜 쉬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9182 학교에서 공구하는 교복은 별로 인가요? 6 현성맘 2016/01/17 1,224
519181 옆집 강아지 문제로 전세 비워 달라는 주인여자. 14 양평에서 2016/01/17 4,490
519180 게이보다 낯선... 무성애자 26 성적소수 2016/01/17 11,389
519179 사짜 아들 가진 엄마들이 장가보낼때 10 ... 2016/01/17 5,654
519178 뙨장풀어서 시금치국 끓일건데요 10 내일 아침 2016/01/17 1,943
519177 사람들은 남 일엔 관심이 없는 게 맞나봐요. 9 예의라도 2016/01/17 2,721
519176 이 제사 꼭 참석해야될까요? 5 정말 2016/01/17 1,428
519175 시어머니는 머위대 까라하고 서방은 더덕까래고 8 그림속 2016/01/17 2,165
519174 간호사 조무사 병원에서 일하면 다치거나 병걸리는 경우 많나요? 3 VDSV 2016/01/17 1,837
519173 세월호642일) 아홉분외 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 품으로 돌아오시.. 10 bluebe.. 2016/01/17 475
519172 화장이 내눈에 예쁘면 다른 사람들 눈에도 예쁠까요? 2 .... 2016/01/17 2,171
519171 빵,밀가루 인스턴트 외식 커피 아에 안먹엇더니 7 ㅠㅠㅠ 2016/01/17 5,618
519170 중소기업 청소기 괜찮아요 3 청소기 2016/01/17 1,518
519169 김성령 팬은 아닌데 7 ;;;;;;.. 2016/01/17 2,311
519168 일룸 올리 책상. 카니발로 옮길 수 있을까요? 일룸 2016/01/17 882
519167 시어머니 카톡 최고봉은 이글이었네여 27 2016/01/17 23,772
519166 응팔이 제게 준 교훈(사랑은 타이밍이 아냐) 5 홀리 2016/01/17 3,808
519165 남편이 커플링 하자고.. 3 25주년 2016/01/17 2,576
519164 근심과 불안 어떻게 다스리나요 5 ㅡㅡ 2016/01/17 2,352
519163 [수학질문] 무한대 곱하기 0은 뭔가요? 11 수학 2016/01/17 30,107
519162 콘도권 얼마하나요? 2 콘도권 2016/01/17 1,507
519161 정말 재밋는 영화 보고 싶어요 8 사랑 2016/01/17 2,360
519160 생전 처음 귀뚫으려고 하는데 어디서 뚫으면 되나요? 2 어디서 2016/01/17 1,342
519159 고속도로 운전하다가 이런 증상 겪어보신 적 있으세요? 8 운전 2016/01/17 3,401
519158 40대 싱글 초반 갈 만한 싸이트 추천해 주세요 5 사교 2016/01/17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