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국 이민

차이나 조회수 : 6,058
작성일 : 2015-10-04 23:31:53
중국 이민을 생각중인데 혹시 지인이나 본인이

중국으로 이민 가신분 있으시면 아무 조언이라도 듣고 싶습니다.

한국에서 시간을 좀 갖고 준비 하려고 하는데 중국에서 외국인이 살

때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IP : 125.178.xxx.15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4 11:43 PM (27.10.xxx.7)

    어느 지역 어떤 일로 왜 가시고 싶으신건지...
    한국인이 많냐 사업이냐 취직이냐 교육문제냐 등등 알아야 답변이 가능할 듯요

  • 2. 차이나
    '15.10.4 11:46 PM (125.178.xxx.159)

    지역은 광저우 쪽으로 일단 생각중이고
    중국인 상대로 장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 3. 광저우
    '15.10.5 12:02 AM (114.205.xxx.184)

    굉장히 더운 곳으로 가시는군요. 더운건 각오하셔야 해요. 광저우 밑이 둥관이고 둥관 밑이 션쩐(심천)이고 그 밑이 홍콩인데 그 벨트에서는 션쩐이 제일 살기는 좋은 것 같아요. 둥관은 중국제일의 음란지옥이었는데, 새로 부임한 광동성장과 시진핑이 대대적인 단속을 벌인 이후에는 거의 없어졌죠. 광저우는 중국 짝퉁시장의 메카에요. 뭘 파실지는 모르겠으나, 중국어 공부 계속 하셔야 하고 현지문화 익히지 않으면 안되고요. 중국가서 몇년 지내고도 중국어를 못하는 한국인들이 많아요. 한국사람들과만 지내다보니. 한심하죠. 중국이 위험하다는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떠돌지만 딱히 한국보다 위험한거 없어요. 그런데 처음에 몇년 살아보고 가시지 보아하니 중국에 대해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덜컥 이민부터 생각하시나요? 중국은 살기는 상하이가 제일 좋죠. 아무튼 쓰촨, 윈난, 광시, 신장위구르, 티벳 이런데 가시면 어마어마한 자연을 경험하시게 될거에요. 미국, 호주, 북유럽 같은데 갈 필요가 없는.

  • 4. 차이나
    '15.10.5 12:15 AM (125.178.xxx.159)

    답변 감사합니다. 중국어는 계속 공부중이고 외국 3개국에서 십여년 살았던 경험이 있어서 현지어가 얼마가 중요한지는 잘 알고 있습니다.

  • 5. --
    '15.10.5 12:29 AM (180.157.xxx.193)

    우선 중국에 이민제도가 있나 모르겠네요.
    중국에서 10년, 20년 넘게 체류하시는 분들도 대부분 장기체류지 이민은 아니거든요.
    장기체류하려면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일정 조건이 필요해요.
    중국에서 직장이 있거나 일정 규모 이상 사업을 해야 비자가 나오는데 생각보다 까다로웠어요.
    요즘 한류 바람을 타고 한국 프랜차이즈 카페나 식당, 상점이 정말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중국인 주머니에서 나오는 돈 벌기는 참 어려운 것 같더군요.
    참, 광저우는 광둥어를 쓰는 곳이에요.
    표준어를 써도 통하긴 하지만 광둥어를 알아듣지 못하면 소통이 답답할 때가 있더군요.

  • 6. ..
    '15.10.5 12:46 AM (175.223.xxx.80)

    중국인들 상대로 무슨 장사를 하실 계획이신가요?

    중국에서 수년동안 거주하며 일한 경험이 있으신지요?

    경험 없으시다면 중국에서 한국인들 상대로 장사를 하는 것이면 몰라도 중국인들 상대로 하는 것 왠만하면 말립니다.
    일단 여전히 외국인들 독자회사 설립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중국 공무원들 접대도 해야하고 법규 지켜가며 돈버는 거 만만치 않아요.
    현지인 도움 필요한데 대부분 사기꾼이고요.

    꼭 중국에 가셔야하면 광주나 심천 쪽 대학에 어학연수 일년간 하시면서 현지 분위기나 문화 경제 어떤지 배우시고요.
    그 곳 한국업체 현지 취업해서 최소 삼년간만 일해보세요.
    어떻게 해야할 지 보이실거예요.

    중국에선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다고 해요.
    거기서 살아보시면 그 말이 어떤 의미인지 감이 오실 거예요.
    제가 중국에서 일할 때 십년 동안 일했던 직원 하나가 나가서 사업체를 차렸어요.
    나중에 그 직원이 일하던 업종이라 자신있었는데 피가 마르고 잠도 못잔다고 하소연하더군요.

    중국인들 채소 하나를 사도 꼼꼼히 손으로 만져보고 사요.
    한국인들은 중국 사람들 물건 팔고 사는 수완 못따라가요.
    이마트가 왜 중국에서 실패했는지 잘 연구해보세요.
    조선족들 가능한 쓰지말고 십년 이상 거래한 중국 업체라도 절대 믿지 마시고요.

  • 7. ..
    '15.10.5 12:50 AM (175.223.xxx.80)

    중국 경험없이 무작정 뛰어든다면 그냥 돈 버리는 거예요.

    한국에서 궁리하지 마시고
    일단 중국가서 시장상황 살피고 경험부터 쌓으세요.

  • 8. **
    '15.10.5 1:10 AM (180.158.xxx.176)

    중국은 이민이 없어요. 위에 댓글 쓰신분 말씀대로 장기체류 비자를 받던 해서 갱신해서 살아야하는곳이지요. 중국에서 회사 다녀보시며 경험해보시고 도전하시는건 어떨런지...
    한국에서 여행 다녀오신분들이 하는 얘기, 언론에 보이는 중국의얘기
    실제와는 다른 부분 많습니다.
    네이버 카페에 가보시면, 중국에서 자영업하시는분들의 카페, 중국 관련 동호회가 많습니다.
    가입해서 읽어보시면 아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듯해요.

  • 9. 차이나
    '15.10.5 1:22 AM (125.178.xxx.159)

    여러 조언들 감사합니다. 공부 더 많이 해야겠네요.

  • 10. 위에
    '15.10.5 9:42 AM (218.233.xxx.2)

    광저우에서 광동어가 쓰인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근거없는 말은 하지 마세요. 광저우도 요즘 광동어 잘 안쓰고 홍콩 빼고는 보통화로도 다 통해요. 중국이야 워낙 방언이 많아서 보통화 하나로 소통이 쉽지 않은 곳이 있지만, 광동어를 배우는건 시간낭비에요

  • 11. --
    '15.10.5 9:56 AM (116.231.xxx.122)

    물론 표준어인 보통화를 모르는 상태에서 광둥어부터 배울 필요는 없죠.
    한국에서 광둥어를 배울 방법도 없구요.
    하지만 중국인 대상으로 사업을 하신다니 알아는 두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만...
    상대가 외국인인 걸 알면 표준어로 얘기하지만
    나는 보통화만 할 줄 아는데 상대방끼리 광둥어로 말하면 답답하더군요.

  • 12. 샤방샤방
    '15.10.5 11:32 AM (49.77.xxx.97)

    현재 중국에 있는데요..
    광저우는 남쪽이라 덥기도 하고 거긴 사기꾼이 많다고 들었어요..
    아무래도 도시가 크니 인간도 많고 사기도 많겠죠..
    암튼 제일 치안도 안좋다고 들었어요..
    제가 있는곳에서 보니 한국인지 조선족인지 음식업으로 장사가 잘되기도 하더라구요.
    공략을 잘하셔야 할듯요,
    그런데 조선족인지 중국말도 잘하시고 중국에 오래 사신분도 사기인지,
    가게를 매매해서 열었는데 몇달후 그 건물을 부시는 상황이라 할수 없이 접은걸 보았어요..
    중국인들은 굉장히 양심이 없더라구요..
    잘알아보시고 하셔야 합니다.
    중국에 나오면 한국사람이 많긴하고 한국음식점이 있긴해요.
    북경,상해,남경,소주,무석,광주,서안등 한국사람도 많을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9740 존그라샴 의뢰인 아역 @@ 5 절세미남 2015/10/11 2,086
489739 애인있어요........... 애인있어요 2015/10/11 1,400
489738 부산덕천동인가 자매가하는 요리교실 럭셜맘 2015/10/11 937
489737 공인인증서 문제가 많네요... 3 파파이스69.. 2015/10/11 3,897
489736 안전하게 내부고발 하는 법 5 카레라이스 2015/10/11 3,171
489735 용인 돌아가신 캣맘 아파트 자리에 꽃을 두고 가시는 분들이 .... 12 ,,,, 2015/10/11 19,903
489734 영화 '걸어도 걸어도' 보고 싶은데요 3 걸어도 2015/10/11 1,134
489733 부정부패 대한민국 2 ㅡㅡ 2015/10/11 823
489732 ㅅㅈㄱ 사진 60 2015/10/11 32,546
489731 이혼이냐 쇼윈도부부냐 49 고독 2015/10/11 10,842
489730 그것이알고싶다 조희팔 추적편에 최시원웨이보 팔로워수 1600만요.. 5 북북 2015/10/11 3,881
489729 추운데 발목보이는 통바지 코디? 3 2015/10/11 3,720
489728 마리텔 초아? 앤 뭔가요? 4 귀싱 2015/10/11 3,361
489727 그녀는 예뻤다에 나오는 박유환 8 ... 2015/10/11 4,405
489726 컬러링북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5 궁금 2015/10/11 1,563
489725 82쿡에서 자체적으로 판단해서 글을 지워버리기도 하나요? 이상하.. 48 ?? 2015/10/11 1,528
489724 부동산 경매사무실 어때요? 1 .. 2015/10/11 2,158
489723 죄송해요 남편 욕 좀 할게요. 5 ㅇㅇ 2015/10/11 2,194
489722 보온머그 1 곧겨울 2015/10/11 906
489721 8년째 식수로 루이보스티 티백을 넣어끓여먹는데요.. 약복용시 영.. 2 dd 2015/10/11 4,243
489720 차 긁었는데 보험 처리 해야 하나요? 6 몽몽 2015/10/11 1,479
489719 극우단체 국가정상화추진위 자료가 교육부자료로 둔갑 1 교육부 2015/10/11 644
489718 아파트 큰 평수 살아보지 못해서... 49 큰평수 2015/10/11 15,875
489717 문재인-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정부의영구집권야욕 3 집배원 2015/10/11 940
489716 남양주 슬로라이프축제 좋네요 1 슬로 2015/10/11 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