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터뷰] 김종대 -전쟁 위기, 60~70일 정도 지속될 것-

전문가가 필요해 조회수 : 983
작성일 : 2015-08-21 16:23:24

http://www.sisatong.net/content_4/5952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2&aid=000...


김종배의 시사통에 나온 김종대의 인터뷰 일독 내지는 들어보세요

전문가들 의견이 필요한 시점인듯.



김종배 : 문제는 제가 궁금한 게 북한이 어제, 22일 오후 5시까지가 되겠죠, 48시간이었으니까? '48시간 내에 대북 심리전 방송을 중지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개시하겠다'고 이미 선언을 해버린 상태에서, 그렇다고 우리 군이 대북 심리전 방송을 그만둘 수도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김종대 : 못 그만두죠. 그만둔다고 하더라도 북한의 협박에 의해서 그만둘 수는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김종배 : 바로 그 점 때문이잖아요. 그러니까 '48시간 내'라고 하는 것이 오히려 역으로 48시간 동안은 최소한 48시간 동안은 심리전 방송을 그만 못 둔다는 얘기가 되는 건데. 이렇게 되어버리면 그 이후가 어떻게 될 것인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이런 얘기가 성립되는 거잖아요?

김종대 : 물론, '48시간 이내'라고 하면서 북한이 우리 김관진 안보실장에 보낸 전통문에 나와 있는 얘기 아닙니까, 거기에는 유엔사 장성급 회담이나 아니면 남북 김양건, 김관진 정도의 대화 접촉이나, 이런 걸 통해서 '우리도 자제를 하고 싶으니 대화를 하자' 이렇게 문을 열어둔 거란 말이죠.

김종배 : 바로 그건데요. 이 국면에서 남북 핫라인이 가동될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김종대 : 핫라인이 가동된다는 징후는 아직까지는 전혀 없었습니다. 그런데 북한이 대화에 희망을 거는 이유가 있는 것 같아요. 이건 매우 특별한 이유라고 볼 수가 있는 건데, 저번에 지뢰 사건 났을 때 한미 양국의 대응에 매우 특이한 점이 있었습니다. 보통 때, 예컨대 전쟁 위기까지도 갈 수 있는 연평도 포격 도발이나 이런 것들 생각해보면 유엔이 개입 안 했거든요? 유엔사령부가 전혀 개입 안 했어요. 그때 제가 취재해본 결과, 2010년 11월 23일에 남북 간 포사격 교전이 벌어졌는데, 우리 합참에서 유엔군 사령관이죠, 월터 샤프 대장한테 총 11번 전화했습니다. 그 때마다 되돌아온 답변은 '한국 정부가 알아서 해라. 한국 정부의 자위권 차원에서 할 일이지 우리한테 쏠까요, 말까요 물어보지 마라' 이거였습니다. 전쟁이 날지도 모르는데. 그런데 이번 지뢰 사건은 전쟁이 날 만한 상황도 아니었는데 유엔사령부가 조사도 하죠, 대북 접촉 제안도 하죠. 또 미 국무부가 이를 뒷받침하는 성명을 발표하죠. 모든 우리 측 조치보다 유엔사 조치가 더 빠릅니다. 그러니까 위기 관리를 떠맡은 거예요. 이 차이를 북한이 본 거지요. 유엔사가 모든 위기 관리를 떠맡고 한국 정부의 존재감이 없었던 사건이 지뢰 사건인데, 지뢰 사건이며 포 사격 도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이냐, 미국하고 담판을 져서 정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전환하자는 전략 목표하에서 이제껏 지난 3년간 준비되어온 겁니다, 이게.

김종배 : 그러면 형식적으로는 유엔사, 내용적으로는 미국을 끌어오기 위한 전략적 측면이 있다, 이렇게 보시는 겁니까?

김종대 : 바라던 대로 가는 것이죠. 이렇게 유엔사가 기민하게 위기 관리를 떠맡은 건 저는 한 20년 동안 처음 봤어요. 그러면 미국하고 담판을 지을 수 있는 대화를 마침 유엔사가 제안을 하고 있으니까 판을 크게 벌려서 북미 간 평화 협정 체결을 할 수 있는, 혹시나 대화의 장이 열리지는 않을까, 이런 기대감이고.




IP : 58.140.xxx.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6863 귀농, 귀촌에 관련된 책 있을까요? 11 도시아줌마 .. 2015/08/27 2,586
    476862 반팔 반바지 입어도 되나요? 2 궁금 2015/08/27 1,143
    476861 비오던 화요일, 마포벙개 주최자가 후기 올립니다~ 16 안개비조명은.. 2015/08/27 3,046
    476860 오메기떡 파나요? 5 제주공항 2015/08/27 1,576
    476859 공부를 하면 할수록 3 ㄷㄷ 2015/08/27 1,623
    476858 머리까지 안아줘 2 나도 2015/08/27 1,016
    476857 후쿠시마 원전사고 다큐 '핵의나라 (nuclear nation).. 4 후쿠시마 2015/08/27 962
    476856 중학영어..어머님들 선생님들 봐주세요 6 궁금해서요 2015/08/27 1,889
    476855 저도 묻어서..고등학교 질문이에요.자사고와 강남 일반고 6 저도 2015/08/27 1,995
    476854 동국대 주변에서 뭐하며 시간 보낼까요? 3 서울 2015/08/27 1,965
    476853 중2 수학과외...고민이에요. 9 2015/08/27 1,901
    476852 눈물 보이며 떠난 문형표 ˝메르스에 대해 많이 알지 못했다˝ 6 세우실 2015/08/27 1,251
    476851 저좀 도와주세요~ 모스키노 2015/08/27 818
    476850 활꽃게를 사놓고 다음날 쩌 먹으려면 미리 손질하나요? 꽃게철 2015/08/27 730
    476849 경제적인 홈페이지제작 업체 좀 추천바랍니다. 곧창업 2015/08/27 601
    476848 인생을 아름답게 사는 법. 2 메멘토모리 2015/08/27 1,761
    476847 타대학 실명 거론하면서 비하하지 않았으면.. 3 현직 교사 2015/08/27 796
    476846 카스는 왜 바뀐걸까요? 카카오 2015/08/27 1,116
    476845 영화관에서 뭐 먹는거 어때요? 19 2015/08/27 2,665
    476844 예비중등 학원 스케줄좀 봐주세요 5 초6엄마 2015/08/27 1,212
    476843 워킹맘 마음이 아파요 7 하소연좀 하.. 2015/08/27 1,671
    476842 PT가격 문의드립니다 6 도움 2015/08/27 1,769
    476841 후쿠오카 호텔 숙박후 짐 맡기면.. 5 후쿠오카 2015/08/27 1,236
    476840 봄에 담가놓은 오디주가 겁~~나 써요 ㅠㅠ 3 ... 2015/08/27 866
    476839 계란탕 할때 계란 언제 넣나요? 1 초보 2015/08/27 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