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름 아니고 평소 전기료

ㅇㅇ 조회수 : 2,786
작성일 : 2015-07-29 23:39:23

5만원~6만원 나와요.

평소 쓰는 가전은 냉장고, 빌트인냉장고, 전기밥솥, 티비, 노트북 2대, 세탁기, 선풍기(사시3철 사용)예요.

청소기는 한달에 두세번 써요. 김냉 없어요.

너무 많이 나오는 거죠?

 

 

IP : 39.124.xxx.80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5.7.29 11:44 PM (211.237.xxx.35)

    냉장고하고 밥솥이 많이 나오는듯요.
    저희 집은 냉장고 하나에 밥솥만 없는데 봄가을엔 2만원 겨울엔 2만5천원 정도 나와요.
    여름엔 에어컨때문에 5만원

  • 2. ..
    '15.7.29 11:44 PM (114.206.xxx.173)

    전기밥솥 보온기능 쓰지 마시고
    가전 안쓸때는 플러그를 빼거나 중간에 차단 스위치가 있는 콘센트를 쓰세요.
    혹시 집에 케이블 티비나 인터넷 티비등으로 컨버터가 있다면 안쓸때는 전원을 내리세요.
    전기밥솥 보온기능과 컨버터가 전기 잡아먹는 귀신입니다.

  • 3. 많이
    '15.7.29 11:46 PM (175.121.xxx.139)

    나오네요.
    헤어드라이어 추가
    우리집은 비슷하게 쓰고 3만원대.

  • 4. 아2
    '15.7.29 11:48 PM (1.250.xxx.249) - 삭제된댓글

    코드 빼세요~~
    빌트인도 빼세요~~
    밥솥도요~~

    저 50평
    910리터 냉장고, 50인치 PDP, 김냉, 17KG세탁기, 컴터, 선풍기 3대, 원적외선렌지...
    2만원 왔다갔다 합니다...

  • 5. ,,,,,,,,,,,,,
    '15.7.29 11:51 PM (115.140.xxx.189)

    열나는 거랑 팬 돌아가는 거랑 전기료 많이 나와요, 뽑는 거 귀찮고 힘드심 멀티탭 사용하면 전기 요금이 확실히 차이가 나요 그리고 전기제품들이 몇 등급인지도 중요한것같아요,,

  • 6. 아이고두야
    '15.7.29 11:52 PM (182.230.xxx.104)

    밥솥 종일 안켜놓고 컴터 안켜고.놋북이랑 아이패드만 쓰고.충전기 덜 꼽고 하면 최소 이만원 이상 줄어들던데요..제가 실험해봤거든요..놋북이랑 컴터 차이 어마어마하더라구요.일만원의 차이.그리고 울집은 티비를 잘 안켜요.우리집은 걍 적막강산..우리애 라디오 소리.근데 우리애가 클래식 채널만 딱 틀어놔서 음악나오면 듣고 그게 다임.내가 놋북으로 이렇게 글쓸때 타자소리 이런거 가끔 나고.일단 밥솥이랑 컴터만 안해도 이만원 확 줄어듬.그럼 오만원 넘게 나오던게 삼만원대로 떨어짐. 그이하는 안되더라구요.기본 전기란게 있으니..3만원대 후반까진 어쨌든 조절가능 그 이하 불가능..

  • 7. 원글
    '15.7.29 11:56 PM (39.124.xxx.80)

    식기세척기 30분 급속코스로 일주일에 한두번 돌려요.
    인터넷 컨버터가 두 대예요. 한 대 빼버려야겠어요.
    양문형냉장고는 680리터짜리 7년 됐어요. 그전에 쓰던 냉장고에서 이것으로 바꾸니 전기료가 팍 줄었었어요.
    아직 멀쩡해서 바꿀 수가 없네요.
    예전에 전기밥솥 전기료 아까워서 가스에 밥 해먹었었는데 그렇게 해야겠어요.
    안쓰던 헤어드라이기를 요즘 쓰고 있어요. 전기 많이 든다고 알고는 있지만 급히 말리느라 찬바람도 아니고 더운바람으로 최근에 많이 썼어요.
    전기료가 지난달 5만4천원에서 이번달 6만4천원 나왔어요. 지난달 사용료겠죠.
    다들 이 정도 쓰는 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취사, 난방, 더운 물 사용하는 도시가스는 겨울에 최고 15만원, 지난달에는 2만원 나왔어요.

  • 8. 아이고두야
    '15.7.30 12:01 AM (182.230.xxx.104)

    참 그리고 저는 세탁기를 진짜 많이 돌려요.아마 세탁기 덜 돌려도 좀 줄어들듯.근데 전 옷에 냄새나는꼴은 내가 못봐서..봄 여름은 좀 지나치게 돌림.이건 내 성격상 어쩔수 없으니 그래서 3만원후반인것 같아요.그거 아니면 3만원까지는 할수 있을것 같음.
    울동생보니깐 티비 요즘 나온 비싼거..천만원짜리 티비..그거 하루종일 애가 보니깐 울여동생 울쌍이더라구요.전기세땜에..울집은 걍 42인치 hd 티비라서..그것도 종일 틀어놓으면 전기세 꽤 나오던데..안틀어서 그나마 선방하는듯.

  • 9. 원글
    '15.7.30 12:06 AM (39.124.xxx.80)

    컴퓨터 데스크탑 없어요. 노트북 두 대예요.
    티비는 남편이 새벽2시까지 골프채널 봐요. 애도 밤 2시까지 방 불 켜놓고 노트북 하구요.
    평수는 40평대 후반. 전기요는 안써요.
    티비는 55인치. 하루 5시간 정도 틀어놓는 거 같아요.
    세탁기는 진짜 많이 돌려요. 헹굼 탈수를 엄청나게 많이 해서 남들 두 배는 사용하는 듯.
    하여간 전기밥솥, 티비 사용량을 많이 줄이고, 안쓸 때는 코드 빼놔야겠어요.
    여름에는 에어컨을 가끔 쓰니까 비교불가이고 가을에 확실히 줄면 좋겠네요.

  • 10. 원글
    '15.7.30 12:09 AM (39.124.xxx.80)

    조언 주신 댓글님들 감사합니다.
    40평대 후반인데 전기료 6만원대 합해서 관리비 20만원이예요.
    이 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전기료 3만원 줄이고 싶어요.^^

  • 11. 절약
    '15.7.30 12:10 AM (110.11.xxx.157)

    우리집은 전기밥솥 안쓰고 압력솥으로 가스렌지에 그때그때 밥지어 먹어요
    다리미 거의 안쓰고요
    드라이기는 아이들이 아침에 잠간 쓰고 딸이 매직기 좀 씁니다
    흙침대 반쪽만 잠잘때 5시간정도 45도 정도로 불넣고요
    냉장고 1 김냉 2개 사용 합니다
    컴퓨터 티비 한대 있는데 3시간정도 사용합니다.
    그리고 전기렌지도 있는데 거의 안쓰는편이고 믹서기 좀 씁니다
    전기료 절약 한다고 두달전에 집안 등들을 전부 led로 바꿨는데
    전기요금 65000원정도 나왔어요
    나름 절약 한다고 하는데도 많이 나오네요

  • 12. ㅇㅇ
    '15.7.30 12:11 AM (175.193.xxx.172)

    저는 이번달 198.000 원 나왔어요
    500킬로와트 넘어가니 누진세 적용때문에 많이 나왔네요
    에어컨은 안 켰고 식기세척기도 안썼고 tv는 없지만 요리해서 애들주느라 주방전기용품을 과다사용했어요 ㅎㅎ
    냉동고.스탠드김치냉장고.900리터 냉장고. 전기렌지.두부제조기.튀김기.와플기.오븐.훈제기 .믹서기 .커피제조기.냉온정수기 .요거트제조기.무선주전자 ~~쓰고보니 진짜 과하네요

  • 13. 밥솥 보온 안하고 멀티탭 사용
    '15.7.30 12:27 AM (1.231.xxx.66)

    2~3만원 나옵니다

  • 14. 저희집은
    '15.7.30 12:29 AM (218.236.xxx.205)

    항상 3만원대 나와요. 가전제품 많은편인듯 한데??
    680리터 냉장고, 200리터 김냉 / 42인치, 32인치 TV, 홈시어터 / 통돌이세탁기 / 에어컨 2대 (실외기 2개)
    데스크탑 컴퓨터 1, 노트북 2(전부 대기상태 외에는 항상 켜 있음) / 태블릿 2대
    비데 2대 / 전기밥솥(항상 켜있음. 재작년 여름에 누구말처럼 보온기능 안썼는데 전기세 똑같았음)

    여름엔 주로 방 에어컨만 써요. 온 식구 한방에 모여서 밤새 약하게 틀어놓고 자요.
    여름 한달은 6-7만원쯤 나오고, 그 다음달은 5만원 정도....주말엔 남편 때문에 24시간 틀어요.

  • 15. 저희집은
    '15.7.30 12:31 AM (218.236.xxx.205)

    그 대신에 잡다구리한 주방가전들이 전혀 없네요. 전자렌지, 핸드블랜더, 네스프레소 있어요.
    오븐도 없어요. 주방에 널어놓고 쓰는거 싫어해서요.

  • 16. ㄱㄴㄷ
    '15.7.30 12:31 AM (183.91.xxx.118)

    32평 중고딩포함 4식구. 냉장고, 티비2대, 노트북,밥솥,
    스텐드2개, 컨버터1대, 선풍기4대, 정수기, 데스크탑1대,
    세탁기 등등 뭐 대충 이렇게 쓰고 저번달 3만원 나왔어요.
    원체 방불을 잘끄고 다녀서 시어머니가 쟤는 불끄는게 일이다.
    하세요.ㅎㅎ
    이번달엔 에어컨을 돌려야하니 컨버터 전원빼기, 냄비밥짓기,
    데스크탑 안쓰기 실천 하려구요. 에어컨은 포기 할수 없으니까욤 ㅎㅎ

  • 17. 원글
    '15.7.30 12:34 AM (39.124.xxx.80)

    저희집은 주방가전이 전자렌지 하나예요.
    전기렌지 안쓰고 믹서기, 커피기, 전기포트도 안써요. 냉온정수기도 없어요.
    진짜 이상하네요. 저희집 너무 많이 나오네요. 식구는 세식구예요

  • 18. 3인가족
    '15.7.30 12:39 AM (59.24.xxx.162)

    지방 소도시 46평에 15년 된 지펠, 10년된 딤채, 5년 된 통돌이 세탁기, 집 조명은 절전형 형광등, 거실에 42인치 티비.
    주로 켜는 조명은 거실,부엌, 아이방
    컴퓨터 두 대를 하루 2~3시간 번갈아 사용.
    쿠쿠 6인용으로 이틀에 한 번 취사만.
    독일 식기세척기 일주일에 3번 빠를 세척코스.
    드라이기 없고, 빨래 건조기 장마때 이틀에 한 번 정도.

    평상시 300키로와트 내외에요.

  • 19. 자연로그
    '15.7.30 12:42 AM (182.230.xxx.104)

    음..가만보니 원글님이 우리집보다 맣이 쓰는건 티비랑 놋북이네요..그리고 울집은 낮에 사람이 없어요.다들 밤에 잠깐와서 생활 자고 출근하는 패턴..3인가족..그래서 그런것일수도..

  • 20. 3인 가족
    '15.7.30 12:42 AM (59.24.xxx.162)

    소형가전은....
    전자레인지, 선풍기 한대, 아이방 스탠드, 라디오, 그리고 핸드폰 세 개 충전.

  • 21. 쫄지마
    '15.7.30 7:58 AM (125.178.xxx.104)

    가전제품 바꾼거 없이 전등를 다 led로 바꾸고 나니 반으로 줄었러요

  • 22. 52평 2만원대..
    '15.7.30 8:24 AM (218.234.xxx.133)

    52평이고 전기료는 2만원대인데요, 일단 식구가 많으면 전기료가 많이 나올 수밖에 없어요.
    저희집은 원래부터 2만원대 아니고 6~7만원대이다가 생활 습관을 바꿨는데

    1. 전기밥솥은 취사만. - 전기밥솥 써요. 예전에는 하루치 밥하고 1~2일 내내 보온이었는데 지금은 취사만 하고 남은 밥은 냉동실에 뒀다가 전자레인지에서 해동해 먹어요. (1, 2일에 한번은 전기압력밥솥 쓰는 거죠)

    2. tv는 코드 빼기 - 사실 tv를 잘 안봐요. 예전에는 하루종일 tv를 켜놓았거든요. 집안에 적막한 게 싫어서요. 그런데 어느 순간 tv를 안켜도 괜찮더라고요. 그래서 tv를 볼 때마다 켜고, 그나마도 노트북으로 미드 보는 시간이 더 많아서(예능이나 이런 것도 다 인터넷 다운로드해서 봐요. )

    3. 안쓰는 전등 꼭 끄기 - 파우더룸이나 화장실 불 켜놓는 거에 별로 신경 안썼는데 신경썼어요.

    이렇게 했더니 절반으로 줄더라고요. 제가 다 놀랐어요.
    사용하는 가전은 800리터 냉장고, 전자레인지, 수시로 쓰는 전기포트(이것도 한동안은 아침에 물 끓여서 보온통에 넣어두고 사용했는데 좀 게을러졌네요), 노트북, 미싱, 세탁기(1주에 1, 2회), 진공청소기, 애견 미용기, 드라이기, 선풍기 등등...

  • 23.
    '15.7.30 8:56 AM (1.254.xxx.82)

    빌트인 냉장고가 주범인거 같네요
    저희집이 사용가전이 더 많아도 4만원정도 나오거든요

  • 24. ㅜㅜ
    '15.7.30 4:12 PM (1.244.xxx.167)

    밤에 불도 잘 안키고
    에어콘 없고 전기밥솥 취사만 하고 보온안하고
    선풍기 한대 컴 두대 빌트인냉장고 김냉 두대
    저번달에 4식구 58평
    저위에 비슷한 평수 이만원에 좌절합니다
    저흰 왜 맨날 600 kw 나오는걸까요
    20만원정도 되요 ㅜㅜ
    심지어 led로 많이 바꿨는데도
    바꾸기전이랑 차이가 안나요ㅜㅜ

  • 25. ll
    '15.7.30 7:56 PM (124.50.xxx.116)

    평소 전기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4954 곰취나 응개나물 향 3 .. 2015/08/22 789
474953 마음이 불안하거나 삶이 행복하지 않으신 분들은 불교공부함 해보세.. 8 초코 2015/08/22 3,402
474952 음식물 쓰레기 하수처리하고 화장실 하수처리하고 뭐가 달라요?? 3 ???? 2015/08/22 984
474951 서울대분당병원소견서 4 분당 2015/08/22 1,455
474950 그넘의 허니버터칩 ㅋ 27 -_- 2015/08/22 5,245
474949 명화집 추천해주세요. 쐬주반병 2015/08/22 587
474948 건설회사 경리업무 하나 여쭤볼게요 1 ㅇㅇ 2015/08/22 1,751
474947 그때나 지금이나 신혼은 똑같네요 ㅋ 4 .... 2015/08/22 1,678
474946 82 자게만 클릭하면 광고가 뜨네요 광고가 2015/08/22 299
474945 스타벅스 기피트콘 사용할때 4 11 2015/08/22 1,083
474944 미디어학부 1 엄마 2015/08/22 708
474943 마음없이 조건만 맞춰하는 결혼 27 N 2015/08/22 7,584
474942 전우용 역사학자의 트윗 5 역사학자 2015/08/22 1,735
474941 서울사람 전쟁나면 어디로가야하나요? 21 전쟁나면? 2015/08/22 6,285
474940 mission complete가 맞는 표현인가요? 1 mornin.. 2015/08/22 1,478
474939 아침부터 밥 두 그릇 먹은 이야기 5 12주 2015/08/22 2,248
474938 용팔이 재밌네요. ㅎㅎ 5 .. 2015/08/22 1,468
474937 러시아 머리 이식수술 성공 이게 가능해? 호박덩쿨 2015/08/22 762
474936 걸어서 세계속으로 지금.. 13 000 2015/08/22 3,718
474935 다시보는 유시민의 ㄹ혜 사용법 2 보셨나요 2015/08/22 1,422
474934 강남에서 수학문제 어렵게 내는 중학교는? 8 어디일까요 2015/08/22 1,890
474933 고딩맘들께 물어볼께요 5 에효효효 2015/08/22 1,325
474932 호박전할려고 하는데요 5 동그란호박 2015/08/22 1,518
474931 전시작전권 그리고 세명의 대통령 1 전작권 2015/08/22 737
474930 다음주초 큐슈지방 태풍 영향 없을까요? 2 안개꽃 2015/08/22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