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상호) 한겨레와 조선이 '에어포켓 없었고 다이빙벨은 실패였다'며 한목소리로 공격하고 있습니다

... 조회수 : 1,120
작성일 : 2014-11-20 13:44:17

https://twitter.com/leesanghoC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 @leesanghoC  ·  11월 18일
한겨레와 조선이 '에어포켓 없었고 다이빙벨은 실패였다'며 한목소리로 공격하고 있습니다
.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60404.html
.
.
사고 발생 한달이 돼가던 5월13일, <한겨레>는 두 면에 걸쳐 ‘세월호 여섯 가지 소문과 사실 확인’ 기사를 내보냈다. 
그 소문들은 
1)사고 당일 오전 7시20분 <한국방송> 자막에 ‘구조 요청’이 떴다 
2)‘에어포켓’이 있었다 
3)침몰 원인은 잠수함 충돌이거나 어뢰이거나 좌초다 
4)탈출하다 손가락 골절된 시신들 다수 발견됐다 5)외부 불순세력이 개입해 정치공세를 벌인다 
6)정부가 일부러 ‘다이빙벨’ 투입을 막았다는 것 등이다. 당시 에스엔에스 등을 온상으로 창궐하던 
대표적 풍문들을 꼼꼼히 검증해 무엇이 사실인지를 독자들에게 보여주려 했다.
기사가 나가자 소수의 악플과 비난이 다수의 공감과 격려를 압도하는 듯 보였다. 
사실과 의견의 경계를 애써 무시하려는 ‘어떤 사람들’은 기사를 쓴 기자들을 주저없이 ‘기레기’로 매도했다. 
그런 반응은 주로 <한겨레>를 ‘자기편’이라고 생각해왔다고 주장하는 이들에게서 나왔다. 
그들 중엔 대놓고 ‘절독’을 들먹이며 ‘위협’하는 부류도 있었다. 
사실이야 어떻든 자신들의 확신만을 기사로 쓰라는 노골적인 압력으로 들렸다. 
그런 악다구니에 놀라 왜 그런 기사를 썼냐고 은근히 따져 물으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는 일부 ‘내부자’들도 없지 않았다.
그때도 이미 세월호 사건은 진영논리에 휘말리고 있었다. 무엇이든 권력투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밀어 넣어야 직성이 풀리는 우리 사회에서 이 사건 역시 무사할 수는 없었다.
‘기레기’라는 낙인에 괴로워하던 후배 기자들이 지난 11일 이 기사로 큰 상을 탔다. 
카이스트 미래전략대학원이 주는 ‘과학저널리즘 대상’을 수상한 것이다. 
56개 출품작을 심사한 전문가 27명은 <한겨레> 기사를 “실제적 진실 확인을 막아온 음모와 거품을 제거”하고, 
“과학적 분석 및 확인을 통해 여론의 방향을 잡”았으며, “정확한 정보를 국민에게 전달”하고, 
“진보-보수 진영의 득실을 따지지 않고 균형감각을 잡은 뛰어난 보도”라고 평했다.
.
.

http://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6719.html?_fr=mt2
.
.
⑥ 정부가 일부러 다이빙벨 투입 막았다? 
조류 세고 수심 깊어 다이빙벨 효과 못얻어
이종인 대표 “가족들에 죄송하다”
세월호 침몰사고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무능한 정부’를 대신하고 나선 
‘상징적 존재’가 바로 다이빙벨이었다.
종(벨) 모양의 철제 구조물인 다이빙벨의 원리는 간단하다. 
다이빙벨에는 수면 위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와 무거운 추가 달려 있다. 
잠수사가 탑승한 상태로 수중에 투입하면 다이빙벨 안에 자연스럽게 ‘에어포켓’이 형성된다. 
공기통을 멘 잠수사가 한번에 길어야 20~30분밖에 수중 수색을 못하는 반면, 
다이빙벨을 이용하면 좀더 긴 시간 수색을 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세월호 사고에서 다이빙벨의 존재가 본격 부각된 것은 
사고 발생 사흘째인 지난달 18일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가 손석희 앵커가 진행하는 <제이티비시>(JTBC) 뉴스에 출연하면서다. 
이 대표는 “다이빙벨은 유속에 상관없이 20시간 정도 연속 작업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주장했다. 
사흘 뒤 이 대표는 다이빙벨을 싣고 현장까지 갔지만, 해경은 안전사고 우려 등을 이유로 투입을 거부했다.
그때부터 “정부가 다이빙벨 투입을 일부러 막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해경은 “전문가 등의 자문을 거친 결과, 한곳에서만 잠수를 시도해야 하는 다이빙벨보다는 
여러 곳에서 동시에 잠수를 시도하는 수색이 적합하다. 
일부가 오랫동안 잠수를 하는 것보다는 수시로 교대하며 작업하는 현재의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이빙벨은 분명히 장점이 있다. 수심이 비교적 얕고 조류가 약한 곳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해경도 인정했다. 
하지만 사고 해역은 조류가 유달리 거센데다 수심도 다이빙벨 작업 조건과는 맞지 않았다. 
게다가 선체 길이가 140m에 이르는 세월호 수색에 다이빙벨을 달랑 1대 투입해서는 감당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해군 역시 “군에 민간 다이빙벨보다 성능이 우수한 장비가 있지만, 사고 해역의 조건에 맞지 않아 사용하지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장점만 지나치게 부각되면서 ‘유일한 해법’인 것처럼 받아들여졌다. 
특히 지난달 24일 실종자 가족들이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과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에게 
더딘 수색·구조 작업에 항의하는 자리에서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가 
“정부가 20시간 연속 구조작업이 가능한 다이빙벨 투입을 막고 있다”고 주장했고, 
이에 호응한 일부 실종자 가족들이 강하게 요청하자 이 장관은 “민간 다이빙벨을 투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제이티비시 뉴스에 출연한 이종인 대표는 거침없이 “조류에 관계없이 20시간 연속 작업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이빙벨은 정작 작업 과정에서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지난달 30일 수중 수색에 들어간 다이빙벨은, 단 1구의 주검도 수습하지 못한 채 2시간여 만에 물 위로 건져올려졌다. 
거센 조류에 떠밀려 흔들린데다 공기를 공급하는 선 등이 꼬였기 때문이다. 
다이빙벨은 결국 빈손으로 철수하고 말았다. 이 대표는 “진심으로 가족들에게 죄송하다”면서도 
“저한테는 이 기회가 사업하는 사람으로서도 그렇고, 뭘 입증하고 입증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잖아요”라고 말했다.
다이빙벨 투입 논란이 지속된 여러 날 동안 수색에 모였어야 할 현장의 노력들이 엉뚱한 곳에 허비됐다. 
실종자 가족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터져 나왔다.
IP : 220.118.xxx.21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1.20 1:45 PM (220.118.xxx.215)

    https://twitter.com/leesanghoC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60404.html

    http://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6719.html?_fr=mt2

  • 2. 흰둥이
    '14.11.20 2:09 PM (175.223.xxx.78)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261...
    애초에 해경이 에어포켓에 매달린 게 대국민 희망고문이었다는 이런 인터뷰도 있네요
    팩트 수집을 통해 진실에 다가가려는 시도 중 오류나 의견 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방적인 매도 같아 좀,,,

  • 3. sunwood
    '14.11.20 3:24 PM (119.66.xxx.30)

    영화 다이빙 벨에 나오잖아요
    그토록 바지선 접안을 이유로 가로막았지만 정작 5분만에 성공했다는거.
    배 위를 틀리게 알려주고 공기주입선이 임의로 잘려지고 등의 방해가 있었던거
    결국 잠수해서 연속 2시간 잠수로 잔뜩 설치된 로프 잘라 진입로 확보하는 작업하고 올라오니까
    해경 배가 미필적 교통사고를 일으킬 접근을 일으킨데가
    끝내 해군장성이 나서서 '배 빼시죠'
    이미 언어적으로도 살해위협을 받고있던 와중에 더이상 잠수사들을 위험에 빠지게 할수없어 철수하고
    철수하기도 전에 언론에서 실패라고 도배되던 상황
    다 나오는데 이런 팩트는 빼고 뭐가 중립적인 기사이지
    상식을 벗어난 행태를 빼고 보편적 상황으로 상식적인 상황을 만드는게 균형잡힌거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8741 간 내 0.6센티미터 고음영 결절이 있다는데 .. 2014/11/24 6,238
438740 왼쪽 배너에 할인판매한다는 '스켑스훌트' 후라이팬이오, 정말 그.. 스켑스훌트 2014/11/24 629
438739 제 인생의 취지는 어디서 잘못된 걸까요 4 휴우~ 2014/11/24 1,006
438738 이재명 시장의 ‘트위터 업무 지시’…소통 행정? 전시 행정? 2 샬랄라 2014/11/24 629
438737 치유 할 수 있을까.. 파파이스 2014/11/24 420
438736 주유소 영수증에 휘발유인지 경유인지 나오나요? 6 흠흠 2014/11/24 5,570
438735 3d 프린터 1 3d 2014/11/24 522
438734 얼굴살 하나도 없고 광대도 없는 얼굴 4 2014/11/24 2,974
438733 아파트 상가 주차장에서 옷이 찢겼어요. 2 이런 경우에.. 2014/11/24 1,250
438732 '시'자라면 쌍심지부터 켜고보는 5 역지자시 2014/11/24 752
438731 무채없이 양념만 바르는 김장 어디식이예오? 35 속풀이해요 2014/11/24 6,550
438730 사진이 모조리 액박이예요 2 뭐가 문제일.. 2014/11/24 419
438729 열병합 난방 vs 도시가스 3 1기신도시 2014/11/24 4,320
438728 부산에 유방암 전문의좀...부탁드려요 2 띠룩이 2014/11/24 1,615
438727 절임 배추를 주문해 놨는데요. 3 물빼고 2014/11/24 1,089
438726 국민 ”사회 신뢰도 10점 만점에 4.5점” 세우실 2014/11/24 284
438725 tv직구해보신분 ~~ 7 땡스기빙 2014/11/24 1,077
438724 멕시코 광산 자원개발....식대만 500억원.....!! 16 닥시러 2014/11/24 2,078
438723 깍두기 처음 담아요^^ 5 초보 2014/11/24 1,618
438722 김장김치가 넘 많은데 넣을때가 없네요ㅠㅠ 3 김치풍년 2014/11/24 2,085
438721 상대는 어떤 마음일까요? 6 평안동 2014/11/24 1,027
438720 녹용 달여먹이는 거 괜찮을까요? 1 녹용효과 2014/11/24 902
438719 소아당뇨인 사람의 2세는 유전되나요??? 2 ABCDEF.. 2014/11/24 1,381
438718 서울교대부속초등 추첨 참여해보신분~ 6 학부모 2014/11/24 1,288
438717 경찰간부들도 접대많이받나요 10 기자얘기가 .. 2014/11/24 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