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로운게 맞는걸까요?

이건 조회수 : 2,582
작성일 : 2014-05-06 14:33:00

아줌마라는 타이틀로 살면

외롭지 않아야 하는거 아니냐고 언니가 우스개 소리로 전화하네요..ㅠㅠ

언니와 저는 살가운 사이도 아니고

일년 가야 전화 한통 하기도 뜸한 사이에요

다 따로 국밥인 식구들이라..

 

근데 언니를 통해서 제 자신을 보게되니 힘들어요

곁은 내주기 힘들어하는 성격..

사주라도 보러 가야하는건지,

타고난 성향을 인위적으로 노력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더라구요

사람들도 자연스럽지 않은건 금방 눈치 채잖아요

 

아줌마들끼리 교류도 없고,

회사 생활 교류도 회사안에서만 딱이고

친인척 교류도 전혀없고

동창들 교류도 한 두명과만..

 

이런 분 또 계신가요?

사람들을 싫어하는것도 아니면서

한 두번 이상 만나게 되면 너무 지치고 빨리 힘들어진다고 해야하나..

기가 약한건지..

사람 만나면서 활력도 얻지만

왠만해선 힘든게 더 많지 않나 지레 겁먹는..

이렇게 사는게 옳은건지 맞는건지도 모르겠는..ㅠㅠ

IP : 220.86.xxx.151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5.6 2:37 PM (68.148.xxx.60) - 삭제된댓글

    저랑 똑같네요...
    분명 사람들을 싫어하는건 아닌데 교류는 힘들어요.
    여럿이 있어도 외로움 같은 그런 감정이 불쑥 밀려오는 경우가 있고요.
    저같은 경우는 미혼때는 그런 성향이 전혀 아니였거든요.
    아주 활발하고 사교적이었죠.
    지금 생각해보니..
    아이 키우며 단절된 생활의 영향이 큰 것 같아요.
    뒤늦게 사람들 틈으로 들어가려고 하니 버겁고 힘드네요.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이런 상황을 이해해주는 사람도 있는데 그냥 저 스스로 못견뎌서
    자꾸 피하게 되고 가끔 외롭다는 생각을 하고. 뭐 그렇네요.

  • 2. ㅇㄹ
    '14.5.6 2:38 PM (211.237.xxx.35)

    가족도 있고(배우자와 자녀 부모와 형제정도) 직장 동료도 있고, 소통하는 한두명의 친구도 있으면
    적당한 수준 아닌가요?
    때로는 발넓게 모임 만들고 종교활동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각자 자기한테 맞는게 있더라고요.
    저도 너무 번잡스러우면 힘들어집니다.
    가끔 생각합니다 내가 외로운걸까 심심한걸까...

  • 3. 원글
    '14.5.6 2:46 PM (220.86.xxx.151)

    가족도 사실 아이들과는 거의 일방적인 책임의식이 있는 상태고
    배우자는 너무너무 바쁘고 각자의 생활 시간이 다르다고 할 수 있고..
    직장동료.. 그냥 회사에서 업무외에는 할 말도, 볼 일도 없어요 전부..
    소통하는 친구 한 두명은 각자의 시간이 또한 너무 바쁘니 믿고 이야기 할 수는 있지만
    한 달에 한 번 이야기 나누기도 힘드네요

    생각해보니 한 달에 한 번 이 친구 한 두명과 한 두시간 만나는게
    소통의 전부더라구요...
    그 외에는 막연한 불안감, 섞이지 않고 있다는 고립감,
    아이에 대한 책임과 미안함.. ( 아이들도 가족간 왕래가 많은 아이들이 또 자기들끼리
    잘 뭉치고 자연스럽던데..)
    여러모로 그냥 섬같다는 생각이...

  • 4. 실존
    '14.5.6 2:47 PM (116.120.xxx.58)

    외로움, 죽음 이런 건 사람인 이상 피할 수 없는 거예요.
    인식을 하는가 못하는가, 심한가 심하지 않은가의 문제죠.

    실존주의 철학, 철학 상담에서 이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이런 맘이 들 때 좀 더 많이 생각하고 책이든 인터넷 강좌나 오프라인 강좌에서 공부도 좀 하시면
    삶에대한 시야가 좀 더 깊어지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거예요.

  • 5. 원글
    '14.5.6 2:54 PM (220.86.xxx.151)

    실존님, 말씀 감사합니다
    참 젊은시절부터 이게 강했던 거 같아요
    사실 해결책이 없다는 거, 사람들의 좋은 점에 집중해서
    그냥 맘을 오픈하고 그때그때 친교하고 기대하지 않는거,
    내가 좀 더 좋은 사람이 되는거.. 이러면 사람 관계들은 많아지고 풀린다는데
    하나도 제대로 하는게 없네요..ㅠ
    어찌보면 병적인 면에 가깝게 조심하고 배려하고 생각하다가 지레 지치기 일쑤..
    가끔 내자신부터가 손해보지 않으려는 강팍한 성격을 사람들 사이에서는 반드시 보기 때문에
    그게 또 어찌보면 쓸쓸해지게 되고..
    참 허심탄회가 안되는 관계들만 남았더라구요..제 탓이지만...

  • 6. 저도 비슷한 성격
    '14.5.6 3:36 PM (122.36.xxx.73)

    비슷한 고민들을 갖고 있어요.최근에는 그냥 순간순간의 기쁨을 느끼려고 노력중이에요.한순간이 아니라 매순간..그때그때 최선을 다한다는게 참 어려운일이네요.그것도 공허한 순간이있고 지치고 피곤하지만 지금 나에겐 한가지길이 아니라 여러가지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들어요너무 주변사람들에게 큰기대 갖지마시고 교류를 끊지말고 계속해보세요...

  • 7. 행복
    '14.5.6 4:06 PM (211.186.xxx.138)

    제가 쓴 글인줄 알았어요..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사람들을 찬찬히 관찰해 보니 자연스러움이 있더라구요.. 경직되지않고 자연스럽게.. 근데 저같은 경우도 원글님 처럼 병적으로 배려하고 조심하는면이 있는것 같아요. 그러니 무슨 말을 해도 자연스럽지 않고 내 자체 필터링을 거쳐나오니 신경쓰이고 나를 확~ 놓지 못하니 불편하고... 조금은 강박적인 성향이 있지않나 싶어요.. 저는 어렸을때 성장과정에서 정답을 찾았어요. 교육자 부모님. 엄격한 분위기. 행동 하나하나에 늘 옳다 그르다 판단을 하시며 참견하셨죠.. 그런 성장과정이 저를 자연스럽지 못한 사람으로 만든것 같아요. 마음의 감옥이 생긴듯 ... 힘들지만 자연스러워 지려고 노력해요. 내가 편해야 내 주위 사람들도 편안할 테니... 힘내요 우리!

  • 8. 행복
    '14.5.6 4:10 PM (211.186.xxx.138)

    참! 혹시 자녀가 있다면 님이 자녀에게도 그걸 강요하는건 아닌지 한번 생각해 보셔요... 저도문득문득 아차! 하는 생각이 드는것이 이제 열살도 안된 아이에게 완벽을 강요하고 바름을 강요하고 있더라구요... 님 말씀처럼 저도 남들과 어울려 두루두루 못 지내다 보니 우리 아이도 어릴때부터 혼자 지낸편이라 학교에서 아이들이랑 갈등이나 문제 해결상황이 왔을때 그걸 너무나 혼란스러워하고 제대로 대응을 못하더라구요... 제가 너무 못어울리게 해서 그런가... 싶어 미안한 마음이에요..

  • 9. 원글
    '14.5.6 7:23 PM (220.86.xxx.151)

    여러 말씀 참 마음에 와닿네요..
    윗님들 말씀하신 부분들 전부 제게 현존하는 문제들이구요..
    참 사람이란 존재가 혼자일땐 편하지만 무리가 없고 섬이니 그 우울과 쓸쓸함이
    없을래야 없을수가 없더라구요
    내 성격이나 나 생겨먹은 자체가 자연스레 어울리며 자연스레 놔버리지 못하는
    힘든 인간이다.. 인정하는게 또 잘 안되어
    혼자서 모든걸...
    행복님, 저도님 말씀처럼 저도 그래요. 그냥 가족들에게 미안하지요..
    하지만 이젠 어쩌겠나.. 그냥 힘내야지 싶은데도 문득문득 스며드는 이 낯설은
    쓸쓸함은 어쩌는 수가 없네요..
    힘내요 우리..ㅠ ㅠ

  • 10. 에리히프롬
    '14.5.6 10:02 PM (175.125.xxx.88)

    자유로부터의 도피~~

    그 책 보시면, 인간은 결국 외로움. 고독에서 벗어나게 위해서 자유로 부터 벗어나고 또다른 구속으로 들어간다고 하죠 ...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 맞나봐요.

    한번 읽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9255 정몽준 당선돼도 걱정…2조원대 주식 어떻게 하나? 1 세우실 2014/05/14 1,539
379254 일산대화역행진)혹 못보신들 위해 한번 더 올립니다. 4 고양시민 2014/05/14 876
379253 < 진도 팽목항 리포트 >ㅡ 전 레슬러 김남훈 13 11 2014/05/14 1,375
379252 박지성을 왜까는지 모르겠어요 3 논리 2014/05/14 1,348
379251 (근혜하야)제사에 대해 질문드려요 8 잼맘 2014/05/14 1,122
379250 종교인이라고 더 윤리적일까 7 샬랄라 2014/05/14 952
379249 정청래 - 안철수 70 보복철수 2014/05/14 3,377
379248 (제안)82쿡 봉사팀 만들기 43 개굴이 2014/05/14 3,197
379247 마지막 생존자도 민간 어선이 구조…78명 구해냈다 2 세우실 2014/05/14 1,471
379246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5/14am] 유모차·우병우…공안몰이 lowsim.. 2014/05/14 1,017
379245 [그네아웃] 초등어머니들 여쭤봐요 유치원졸업생 어린이집졸업생 차.. 12 그네아웃 2014/05/14 1,717
379244 해외교수 세월호 관련 성명 1 추억 2014/05/14 963
379243 혹시 한강유람선은 세모랑 연관이 없나요? 5 한강유람선 2014/05/14 1,152
379242 안산 추모제 현장에서 모두가 눈물 바다가 된 공연.. 미안하다... 22 ... 2014/05/14 3,844
379241 남편 술먹고 온 다음날 아침 해장국 끓여주시나요? 12 2014/05/14 2,247
379240 김영춘, 부산시장 후보 단일화 합의 3시간만에.. 12 철회입니다 2014/05/14 2,444
379239 세월호 인양, 영국업체가 어부지리 차지 14 광팔아 2014/05/14 1,835
379238 박근혜내려와라) 여름도시락 질문입니다. 7 도시락 2014/05/14 1,159
379237 82 신문 3호 5/13 55 82신문 2014/05/14 3,527
379236 권은희, '김용판 청장이 댓글수사 방해' 거듭 증언 2 마음 2014/05/14 967
379235 알바 구분하기 위한 좋은 제안 하나~ 36 2014/05/14 4,090
379234 뉴스타파(5.13) - 여론 역풍 맞고, 또 방패막이 1.보도국.. 3 lowsim.. 2014/05/14 1,330
379233 하얀뾰루지 자국 안없어지죠? .... 2014/05/14 1,044
379232 (펌) 한국남자가 일본여자 좋아하는 이유라네요 5 남여 2014/05/14 4,970
379231 2014년 5월 14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4/05/14 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