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 연세있는남자분들 집에 초대시 음식 뭐가좋을까요?

궁금 조회수 : 1,046
작성일 : 2014-03-06 20:24:59
형부가 거래처 사장님들 4분정도 초대해서 마지막날 집밥을 먹이고싶다고 하나봐요.
언니가 전화와서 한참을메뉴로 같이 고민했는데 해물잡채 불고기 각색전 북어국 대충 무엇을 대접해야 좋을지 감을잡을수가 없어 제가 82에 물어본다했어요.
혹 일본본들 한국음식중 어떤 음식을 좋아하나요?
꼭 도움좀 주세요~
IP : 111.118.xxx.246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
    '14.3.6 8:27 PM (175.209.xxx.70)

    불고기 삼계탕 잡채 김밥

  • 2. ...
    '14.3.6 8:30 PM (203.255.xxx.41)

    일본갔을때 일본음식 크게 입맛이 안맞거나 그렇지 않던데요
    중국만 해도 못먹겠다 싶은 음식 있었는데..
    일본사람들도 한국음식에 대해 비슷하지 않을까요?
    한국 가정에 초대받았으면 한국음식 먹고 싶어할 테니까 너무 냄새가 강하지 않은 한식요리+고기위주로 준비하면 괜찮을 것 같아요. 고기는 왠만하면 잘먹으니깐..

  • 3. 원글
    '14.3.6 8:35 PM (111.118.xxx.246)

    국대신 삼계탕을 하면될까요?

  • 4. 00
    '14.3.6 8:35 PM (183.101.xxx.184)

    찜닭도 외국인들한테 두루 입맛에 맞는거 같더라구요.. 한번 고려해보세요..
    맵지 않게요..

  • 5. 원글
    '14.3.6 8:36 PM (111.118.xxx.246)

    찜닭은 생각도 못했는데 감사합니다.

  • 6. ㅇㅇ
    '14.3.6 8:37 PM (218.38.xxx.235)

    불고기, 삼계탕, 노량진 형제상회 회 --육해공 완비 ㅎㅎ

  • 7. 원글
    '14.3.6 8:39 PM (111.118.xxx.246)

    불고기를 갈비찜보다 더 좋아하나요?

  • 8. 잘 먹는 사람은
    '14.3.6 8:42 PM (124.5.xxx.59)

    김치도 좋아합니다. 이미 충분해 보여요. 코스로 즐겨 방문하실지도 모릅니다. ㅎㅎ

  • 9. 원글
    '14.3.6 8:45 PM (111.118.xxx.246)

    김장김치가 좀 새콤해졌지만 괜찮겠죠?
    김치도 추가해야겠어요^^

  • 10. 원글
    '14.3.6 8:52 PM (111.118.xxx.246)

    전복넣은삼계탕 불고기 해물잡채 회 김치 김
    이정도로도 괜찮을까요?

  • 11. ㅇㅇ
    '14.3.6 8:55 PM (218.38.xxx.235)

    신선한 채소 한접시 추가요.
    갈비찜은 먹기가 불편해서...
    덜어먹기 위한 앞접시 넉넉하게 준비하시면 좋을 듯해요.

  • 12. 원글
    '14.3.6 8:56 PM (111.118.xxx.246)

    아!!!!샐러드 감사드려요.
    앞접시넉넉히....

  • 13. ㅇㅇ
    '14.3.6 8:58 PM (218.38.xxx.235)

    삼계탕도 드시기 좋게 살 바르고 육수 기름 걷어 수삼 작은서 한뿌리 넣어 우동기에 대접하면 예쁘겠네요.

  • 14. ,,,
    '14.3.6 9:07 PM (175.118.xxx.156)

    일본분들 오셨을때보니 롯데지하서 전이랑 삼색나물사서 드시던데요,,삼계탕 간장게장 좋아들하시고...

  • 15. 원글
    '14.3.6 9:11 PM (111.118.xxx.246)

    생각지도 않은아이디어...
    손님상에 낼때 닭모양그대로가아닌 살발라 수삼얹고 대접...전 이쁜전골도자기그릇에 통째로 담아 비니장갑끼고 언니가 살발라드려야되나 생각했는데..

  • 16. ....
    '14.3.6 9:16 PM (2.49.xxx.73)

    일본 사람들 김치나 한국 젓갈 조아해요~
    반찬으로 몇가지 준비하시고 김도 빠지면 서운하죠^^

    불고기 갈비 지지미는 일본 식당서도 흔히 팔 정도로 인기 있구요.

    일본은 반찬 같이 집어먹고 하는 문화가 아니라서...
    1인분으로 나눠담기가 젤 좋지만 여의치 않으시면
    앞접시 꼭 준비하셔요~

  • 17. ㅇㅇ
    '14.3.6 10:20 PM (116.39.xxx.32)

    앞접시 꼭 준비하시고
    공동으로 먹는 탕이나 찌개같은거 먹을때는 각자 그릇에 떠담을수있는 작은 국자 있는게 좋아요.
    가족끼리도 먹던숟가락으로 같이 먹는 탕이나 찌개 뜨는건 뜨악하는 문화라서요.

  • 18.
    '14.3.7 7:27 AM (110.4.xxx.154)

    일본사람들 새콤한 김치 좋아하지 않아요 실제로 일본에서 파는 김치는 달고,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김치도 맛이 들지 않은 김치에요.
    잡채나 전 같은 경우에는 큰 접시에 담아 놓고 그릇마다 집게를 놔 두세요 (우리는 자신의 젓가락으로 덜어 먹지만 일본인들은 싫어해요)
    음식을 할 때 약간 달게 하면 좋아할거 같아요
    댓글에 있듯이 삼계탕도 뼈 발라야 되요.
    마트에도 통으로 된 닭은 거의 없다는..있어도 냉동으로 한 쪽구석에 있어요.
    잡채 지지미 불갈비 갈피

  • 19. 원글
    '14.3.7 9:24 AM (111.118.xxx.246)

    댓글주신모든분들 정말감사합니다
    늘 행복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9808 망치 고데기 저한테는 신세계네요. 4 고데기 2014/03/13 4,548
359807 손병호씨 집 좋네요~ 유봉쓰 2014/03/13 2,140
359806 여지것 본 아파트중 정말 멋진 4 2014/03/13 2,489
359805 남자비타민추천해주세요(아이허브에서요) 1 비타민 2014/03/13 1,033
359804 맘마미아의 니엘.. 엄마에게 소영아~라고 부르던데... 15 .. 2014/03/13 3,394
359803 수건 부드럽고 좋은 거 추천좀 해주세요. ㅇㅇㅇㅇ 2014/03/13 599
359802 강아지 밖에서 응아하면 치우겠는데 쉬는 어쩌지요? 25 강쥐 2014/03/13 2,002
359801 아들 기르시는 어머님들.. 42 ... 2014/03/13 12,042
359800 (방사능)<핵무기와 핵발전소, 종교생활과 무관한가?>.. 녹색 2014/03/13 312
359799 교복바지랑 니트조끼 첨부터 홈드라이새재로 집애서 빨아도 .. 4 .. 2014/03/13 1,185
359798 중3 ... 현실을 깨닫게 해주고 싶어요 2 소이 2014/03/13 1,813
359797 국민건강의료보험에서 하는 건강 검진 하려는데요(길음역 부근) 1 건강검진 2014/03/13 796
359796 김치 대체할 만한 반찬.. 뭐가 있을까요? 12 밥상 2014/03/13 2,637
359795 잘라진 삼겹살로 수육하면 맛없나요? 컴앞 대기 3 xdgasg.. 2014/03/13 1,265
359794 염색할 때 머리 감고 가야 하나요? 8 처음 2014/03/13 41,276
359793 행복한 고민 4 고민중 2014/03/13 940
359792 울집 강아지,이젠 냉장고를 향해서,, 14 강아지 2014/03/13 1,927
359791 중학교 올라가서 필요한 컴퓨터문서작업..어떤게 필요할까요? 6 중학생 2014/03/13 596
359790 유산균 공복에 먹는건줄 알았는데- tv 어떤 의사가 아니라네요 11 누구 말이 .. 2014/03/13 17,904
359789 전집 50권을 받았는데.. 이 정도 사례는 어떨까요? 8 00 2014/03/13 1,381
359788 아이가 한쪽 발만 아프다고 걷지를 못해요. 도와주세요~ 3 웃자맘 2014/03/13 799
359787 중2 수학 성공적인 코스가 있을까요? 2 ㅇㅇ 2014/03/13 1,387
359786 냄새 안 나는 사람도 있나요 14 과연 2014/03/13 6,864
359785 영어3회ᆞ수학3회하니 벅차서 ᆢ 7 초5 2014/03/13 1,393
359784 절친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요.. 3 부조금 2014/03/13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