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복직을 앞두고 고민 중입니다

곧 복직 조회수 : 1,418
작성일 : 2014-02-24 16:06:00

안녕하세요...며칠..아니 몇달동안 생각하고 고민해봐도 결정이 나지 않는 저의 고민하나를 털어놓을게요.

좋은 의견 한 말씀씩 나눠주세요..

저의 직업은 정부부처에 근무하는 국가직 공무원입니다.  지금은 육아휴직 중이고 두달 뒤에 복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제가 소속되어 있는 부처는 12년도 말에 세종시로 이전하였기에 제가 복직을하게되면 아마도 세종시에 있는 부서 중의 하나로 발령이 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남편직장이 서울에 있고 아이가 둘이나 되는 상황에 세종시로의 출퇴근이나 주말부부는 아무리 생각해도 어려울듯 싶어..

서울에 잔류하는 부처 중(2~3개정도 있습니다)에 근무하는 공무원과 교류를 시도 중인데요...

지금 컨택하고 있는 곳이 두 곳인데

첫번째 기관은...소위 말하는 허울좋고...승진도 지금 제 소속기관보다는 좀 빠른편입니다.  그런데 좀 힘든곳이라고 소문난 곳이예요.  아침 여덟시 출근에 야근을 밥먹듯이하는 그런 좀 빡센(??) 곳이라고 들어서 ...두 아이 키우며 맞벌이하려니 좀 걱정이 앞섭니다..

두번째 기관은..규모가 작고 승진도 아주 느린 곳입니다.  장점은 업무의 부담이 적어 웰빙 생활이 가능하다는 점이지요.

규모가 적다보니..앞으로 20년 이상을 근무하게 될 곳인데 아무래도 매일 반복적인 업무에 쉽게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을까하는...그런 걱정...무엇보다 공무원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승진인데 ...그 부분이 참 마음에 걸리네요요..

하지만 이젠 결정을 내려야하고 추진을 해야될 때라서...하루에도 몇번씩 머리에 쥐가 나도록 생각해보니만 어떤 결정도 나질 않네요.

어떻게 할까요?...

IP : 58.120.xxx.17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솔직히
    '14.2.24 4:10 PM (203.11.xxx.82)

    행시출신이고 좀 훌륭한 편이면 1번,
    아니면 222222요.

  • 2. ㅇㅇ
    '14.2.24 4:19 PM (116.39.xxx.32)

    저도 윗분과 같은 생각입니다.

  • 3. ....
    '14.2.24 4:36 PM (211.46.xxx.253)

    유사직장(?) 종사자로서...
    본인의 마음 속에 세속적인 승진과 탄탄대로에 대한 야망이 있나요? 진지하게 본인에게 물어보세요. 그 야망이 크다면 1을 택하시고요.
    근데 승진에 대한 열망이 그리 크지 않다면(절박하지 않다면) 당연히 2번이죠... 솔직히 이렇게 고민하시는 거 자체가 그 열망이 크지 않으신 것 같네요...

    인생 솔직히 별 거 없어요.. 요즘 고시 출신들도 예전이랑 달라서 야근 많고 직장생활에 자신의 삶을 매몰시켜야 하는 부서 기피합니다... 술자리 많고 몸이 부서져도 좋으니 요직 탐내는 사람들이야 항상 있지만은 제가 느끼는 요즘 분위기는 예전과 다르네요, 확실히...

    야근 많은 곳으로 가시면 삶의 질이 확 떨어질 거예요... 그건 분명합니다. 뭐하러 그러시나요.. 다른 선택지가 없는 것도 아니고... 다른 선택이 가능한데...

    인생 길지 않아요.. 가정 희생하면서 직장을 위해 몸 바치고, 야근과 술자리 주도하다 퇴직한 고위직 선배들.. 퇴직하고 끈 떨어진 신세 되어 직장에 종종 놀러오면 그렇게 초라해보일 수가 없습니다.. 퇴직하면 다 끝이에요.. 재직할 때나 직급 높다고 굽신거리지, 퇴직하면 아무 것도 아닙니다.. 본인들도 쓸쓸하게 후회하는 경우 많더군요..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며.. 이미 머리는 희어져 버렸는 것을.

    잘 생각하세요.. 저 같으면 2번 선택합니다...

  • 4. ....
    '14.2.24 4:41 PM (211.46.xxx.253)

    그리고 승진.. 그까이꺼.. ^^
    저도 10여년 전 패기 넘쳤을(?) 때는 승진을 굉장히 중시했지만, 이제는 선후배들 들썩거리는 거 봐도 뭐 심드렁합니다.. ㅋㅋㅋ
    직장 생활 해보니 승진 빠르고 느려봤자, 퇴직할 때 보면 꼴랑 한두 직급 차이예요.. ^^ 근데 그 차이를 위해 30년을 직장의 노예로 살 것인가? 아니면 업무와 내 생활의 균형을 맞추며 살 것인가? 전 후자의 길을 가고 싶네요.

  • 5. 무지개1
    '14.2.24 11:56 PM (14.52.xxx.120)

    이건 전적으로 개인 가치관 문제네요 그리고 저는 완전 2222222222222222222222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9961 연합) 이러구 다니시네요. 박대통령... 7 .... 2014/05/14 4,204
379960 서영석의 라디오 비평(5.14) - 죽음을 정치에 이용말라는 자.. lowsim.. 2014/05/14 757
379959 자~ 파란색 1번 문짝 되시겠습니다~ 4 ... 2014/05/14 1,612
379958 좋은 노원구 - 로쟈의 러시아 문학 강의 안내 1 지나다가 2014/05/14 972
379957 배 침몰하는데…‘높으신분들 오니 생존자 데려와라’ 1 세우실 2014/05/14 1,301
379956 마흔후반 남편 밥만 먹음 졸아요 5 왜이래요. 2014/05/14 2,214
379955 예전 수연향유 참기름 연락 되시는 분 계실까요? 3 질문^^;;.. 2014/05/14 1,326
379954 진선미 의원 -세월호 구조 골든타임에 의전 관련 교신만 19번 10 팩트tv 2014/05/14 1,928
379953 EBS지식채널e 5월13일자.... 6 .... 2014/05/14 1,873
379952 276번째 딸 찾은 엄마 32 아픔 2014/05/14 15,143
379951 [무능혜처벌]언딘바지선취재 압박 전화번호입니다. 3 독립자금 2014/05/14 1,187
379950 삼성이 백혈병 피해자들한테 사과하고 보상하겠다는데 6 .. 2014/05/14 1,927
379949 게시판을 열어 보기가 힘들어요 3 고2 엄마 2014/05/14 844
379948 WSJ) 어떻게 잘못된 절차가 구조 방해했는가 2 ... 2014/05/14 1,127
379947 유모차부대 어머니들 고발했대요.아동학대로 12 ㅁㅊ것들 2014/05/14 2,425
379946 선박사고 대피 요령 2 대피훈련 2014/05/14 1,469
379945 강병규 안행부 장관, 세월호 사고때 뭐했나 보니.. 8 잊지말자 2014/05/14 1,707
379944 [바른언론] 바른언론을 위한 프로젝트 시작했습니다. 24 추억만이 2014/05/14 1,522
379943 [바뀐애 내려와] 어제 100문 토론 진행자 1 똑똑한 라디.. 2014/05/14 1,371
379942 軍 , 청계산 무인기 추정물체 무인기 아냐 25 1111 2014/05/14 2,221
379941 연세대 교수 131명 성명서 발표 19 이제시작 2014/05/14 5,394
379940 (박근혜 싫어) 화랑 유원지에 유골을 안치하면 안되나요 5 이제일어나 2014/05/14 1,439
379939 (박근혜하야) 이제 미세먼지는 1년내내 있다고 봐야하는거죠? 4 ,, 2014/05/14 1,223
379938 해외 교수·학자 1074명, 세월호 비극 책임 정부가 져야 성명.. 10 1111 2014/05/14 1,689
379937 '여객선 해상사고 대응매뉴얼' 정부창고에서 방치 1 참맛 2014/05/14 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