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벌주의, 대학서열화의 필연적 결과인가 / 이범

열정과냉정 조회수 : 1,206
작성일 : 2014-02-20 18:23:08
가을이면 나에게 전화를 걸어오는 학생들이 있다. 
특성화고(실업계고) 또는 마이스터고에 진학하려 하는데, 
엄마가 결사반대하니 엄마를 설득해 달란다. 
몇년 전부터 기업에서 고졸자 채용을 늘리거나 지방대 졸업자 채용을 확대하고 
스펙을 안 보는 ‘열린 채용’을 넓히는 등 의미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삼성의 총장추천제도 실상 이러한 변화와 맥을 같이한다. 
이런 얘기를 학부모들에게 하면 대체로 ‘쇼하고 있네’라는 반응이다.
 하지만 기업의 인사·채용 담당자들을 만나보면 무척 진지하다. 쇼가 아닌 것이다.

흔히 학벌주의의 원인으로 대학 서열화를 지목한다. 
하지만 한국의 학벌주의는 한국 대학시스템의 모델이 된 일본이나 미국보다 훨씬 심하다. 
학벌주의를 곧바로 대학 서열화의 결과로 파악하는 환원주의는 
시급히 보완되고 교정되어야 한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라는 용어를 처음 쓴 나라는? 소련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한때 좌익이었을 때 이를 접했을 것이다. 
관료들이 돈과 권한을 틀어쥐고서 어디에 조선소를, 
어디에 비료공장을 세우라고 지휘하는 것은 자유시장경제와 거리가 멀다. 
관료의 힘이 매우 강한 것은 식민통치의 유산이자, 정부 주도형 경제성장의 결과다. 
그런데 우리는 이 관료를 시험을 통해 선발해왔다. 
서구 각국의 공무원 채용이 일반 기업처럼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이뤄지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

우리에게는 ‘정부 주도 성장’과 ‘시험을 통한 관료 선발’이 익숙하지만, 
실은 두 가지 모두 예외적인 현상이다. 
한국의 극단적인 학벌주의는 ‘중첩된 예외’의 결과다. 
대학이 서열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대학입시 성적이 좋은 사람들은 
이른바 ‘스카이’에 모이게 된다. 
대학입시와 고시는 유사한 유형이므로 이들은 고시 합격률이 높다. 
이렇게 고급 관료가 되면 일반적인 자본주의 국가보다 훨씬 막강한 권력을 가지게 된다.

정부 쪽의 학벌주의는 이로써 설명된다. 
그리고 이것이 민간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왜? 정부가 ‘갑’이고 기업이 ‘을’이었으니까. 
정부 주도 성장하에서 기업은 기왕이면 ‘갑’과 친한 사람을 두고 싶어한다. 
대학 동문이 보증수표다. 룸살롱에서 술 따라 드리며 선배님에게 엎어지기도 해야 한다.

고전적인 ‘1차 학벌주의’는 대학 서열화, 정부 주도 성장, 그리고 시험을 통한 관료 선발 등 
세 가지 요인의 합작품이다. 
그런데 이 가운데 ‘정부 주도 성장’이 끝났다.
 금융업 정도를 제외하면 더는 정부가 ‘갑’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러니 기업이 굳이 ‘관료들과 친한 사람들’을 포진시킬 이유가 줄어들었다. 
지난해 삼성그룹 사장 승진자 여덟명 가운데 스카이는 단 한 명이다. 
모 그룹 임원진 승진자 명단에 스카이 출신이 몇 퍼센트밖에 안 된다는 소식이 돈다. 
최근 채용 트렌드의 변화도 이러한 정치경제적 변화를 배경으로 한다.

고전적인 ‘1차 학벌주의’는 정부 주도 성장의 종료로 인해 완화되고 있다. 
그런데 청년들에게 이런 얘기를 하면 잘 안 먹힌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변화에 의해 ‘2차 학벌주의’가 심화된 탓이다.
 좋은 일자리를 놓고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구직자의 심리 속에서 ‘좋은 대학 간판’이라도 확보하고 싶은 간절함은 더 강해진 것이다.

학벌주의 강화 신호와 약화 신호가 동시에 들린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서로 다른 차원의 문제다.
 1차 학벌주의는 대학이 평준화되어야만 제어되는 것이 아니다.
 어차피 갈수록 간판과 스펙보다는 역량과 전문성이(구체적으로는 경력과 추천서와 면접이) 
중요해질 것이다. 
하지만 2차 학벌주의는 이와 별도로 좋은 일자리를 늘리고 사회안전망의 수준을 높이는 
사회경제적 개혁을 요구한다.

이범 교육평론가


IP : 221.152.xxx.9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1550 예전에 김광한 아저씨... 9 pj 2014/03/18 1,551
    361549 [뉴스타파 3.18] - '합신센터'는 간첩제조공장? 1 lowsim.. 2014/03/18 251
    361548 양치 할때 정수된 물 아님 생수 쓰시나요? 2 did 2014/03/18 1,120
    361547 컴퓨터 화면에 눈이 피로할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9 컴화면 2014/03/18 2,229
    361546 국내산 녹차 방사성물질 검출에 대한 입장발표 기자회견> 4 녹색 2014/03/18 1,143
    361545 홈쇼핑에서 방송하는 전기드릴 사용할 일이 있나요? 6 fdhdhf.. 2014/03/18 951
    361544 윈도우즈 XP 지원 중단한다고 팝업창이 뜨는데... 7 윈도우즈 X.. 2014/03/18 1,581
    361543 카이@ 튀김기 어떤가요? 황사 2014/03/18 355
    361542 요즘 등산복 어디서 싸게 살 수 있나요? 6 .. 2014/03/18 2,049
    361541 민주당과 통합하는 안철수의 본심은 새누리당 이중대같아요 31 집배원 2014/03/18 1,665
    361540 층간소음 너무 괴롭네요 7 아파트 2014/03/18 1,593
    361539 처음으로 부산에 가는데 정보가 너무 없네요... 4 강지은 2014/03/18 600
    361538 아이허브 영양제 사려는데요 2 chxh 2014/03/18 1,552
    361537 스팀타올 각질제거 해보신분.. 33 2014/03/18 2,291
    361536 탕수육 소스가 풀처럼 되는 이유가 뭘까요? 6 탕수육 2014/03/18 1,257
    361535 무의식중에 머리를 흔드세요 3 병원문의요 2014/03/18 1,523
    361534 서울시 진보진영 교육감 후보, 조희연 교수로 결정 3 샬랄라 2014/03/18 565
    361533 기내반입액체,약 을 1리터 지퍼백? 2 기내반입 2014/03/18 6,443
    361532 패션의 완성은 몸매 아닙니까. 53 543679.. 2014/03/18 16,812
    361531 버리는 습관 들이지 않으니 집안이 쓰레기통 되네요. 3 경미네 2014/03/18 2,537
    361530 내땅에 떨어진 운석 소유권 주장할수 없나요?? 10 소유권 2014/03/18 2,705
    361529 많고 많은 신발 박스들 4 ++ 2014/03/18 1,629
    361528 결혼하면 형제,남매,자매 모두 남이라고 봐도되죠? 39 결혼 2014/03/18 18,411
    361527 서울대나 교대 안갈거면.... 2 고1맘 2014/03/18 2,563
    361526 잇몸치료 많이 아픈가요? 3 ㅇㅇ 2014/03/18 4,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