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양화(유화)에 대해 아시는 분께 여쭤볼것이 있어요

유화 조회수 : 1,701
작성일 : 2013-12-11 08:49:08

제가 지난주부터 문화센터에서 유화를 배우게 되었는데요.

파레트에 짜놓은 유화물감은 집에서 보관할때 밀봉해서 냉동실에 넣어두라고 하시네요.

정말 꼭 그렇게 보관해야하나요?

일주일에 한번 가니깐 나머지 6일간 그렇게 보관하라는건데 정말 처음 듣는 얘기라서요.

나무파레트를 샀는데 그걸 신문지를 싸서 지퍼백에 넣어서 냉동실에 넣으라는데 너무 번거로운것 같아서요.

집에서도 틈틈히 그려보려고 했는데 그걸 매번 넣었다빼야하는건지...

그리고 다들 나무파레트 안좋다고 납작한 밀폐용기 같은것을 이용하던데 정말 나무 파레트 안좋은가요?

좀 여쭤봅니다^^

IP : 221.155.xxx.60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통
    '13.12.11 8:55 AM (39.114.xxx.24)

    전공자들도 나무 파렛트 사용합니다.
    주위에 원글님처럼 냉동실에 보관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유화물감이 빨리 굳는데 아끼려고 그러는것 같아요.

  • 2. 신문지에
    '13.12.11 8:55 AM (118.46.xxx.192) - 삭제된댓글

    싸지 않고 그냥 넣어놔도 괜찮아요.
    중간에 그림그릴려면 꺼내놓고 다른거 준비하다가 하면 물감 다시 말랑해지구요.
    대신 물감을 적은 양을 짜서 쓰세요.
    많이 짜놓으면 아무래도 쓰다보면 굳는 경우가 생겨 나중에 긁어내거나 청소하기 번거롭고
    청소를 안하면 또 지저분해지고 그렇거든요.

    밀폐용기가 더 편하긴해요.굳는 속도가 느려 좀더 오래쓴다고 해야하나
    저는 밀폐용기에 담았다가 유리판에 덜어 색깔 조합해 쓰는데
    그래도 나중에 닦아내기 어렵거나 지저분해지는건 마찬가지인듯.....
    적게 짜놓고 필요할때마다 물감을 조금씩 덜어쓰는게 제일 나은거 같아요.

  • 3. ..
    '13.12.11 8:56 AM (218.48.xxx.210)

    나무 팔렛트( 둥근 형태, 손가락 끼우는 형태)는 물감을 짜서 쓰고 남으면 이동하거나 운반하기 어려워요. 그건 보통 작업실에서 쓰죠. 냉동실에 넣으란 말은 표면이 굳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 그래요. 물감 굳으면 오일로도 안풀리니까요. 수채화 물감은 물로 녹여 쓸 수 있지만 유화는 많이 굳으면 버려요. 나이프로 긁어서요. 그래도 다행인것 유화 물감 굳는 속도가 늦다는거죠. 굳이 냉동실 넣을 필요까진 없어요..

  • 4. 바다
    '13.12.11 3:44 PM (175.199.xxx.46)

    물감중 유독성표시가 있는게 있어요
    그것때문이라고 들었어요
    징크인지 티타늄인지 화이트 한가지만 생각나는데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2089 잠* 의료기..무슨 의료기 하는거 효과있나요? 이시국에 ㅠ.. 2013/12/16 976
332088 이대와홍대중 34 학교선택 2013/12/16 3,319
332087 박정희의 딸......저대로 가만히 두어야 하나요? 18 ㅜㅜ 2013/12/16 2,246
332086 외신도 미국 가스통 할베 주목 3 light7.. 2013/12/16 1,130
332085 자동차 배터리 방전됐네요 7 어쩔 2013/12/16 1,752
332084 때려부수는 남편 26 ........ 2013/12/16 4,675
332083 길에 나가보니... 1 판박이 2013/12/16 879
332082 의료민영화된거죠! 실비보험비 넘 약한거겠죠. 14 궁금 2013/12/16 3,496
332081 예비고1인데 영어학원 어떤 커리로 하는곳 보내야할까요? 11 예비고1 2013/12/16 1,948
332080 우리나라 외교부가 독도를 다케시마 표기 허용 했다구요??? 6 익명이요 2013/12/16 1,261
332079 2살 6살 아이들 데리고 괌 pic어떨까요? 3 아빠 어디가.. 2013/12/16 1,674
332078 자녀를 대학에 보내시거나 합격시키신 분께 묻습니다. 8 중등맘 2013/12/16 2,156
332077 손 차가우신분 어떻게하시나요? 4 ^^ 2013/12/16 1,378
332076 한국은 더이상 애를 그만낳아야, 인구는 2천만명이하로 줄여야 2 korea 2013/12/16 1,892
332075 완전 급한데 영작좀 부탁드려요 6 ... 2013/12/16 704
332074 주유시 체크카드가 2번 결제가 되었는데요 5 어이없음 2013/12/16 1,732
332073 사실혼 관계시 배우자 사망 40 -- 2013/12/16 17,273
332072 의료, 철도 민영화 개념에 대해 주변에 세 줄 요약으로 알려줄건.. 4 ..... 2013/12/16 1,059
332071 방은진 감독..집으로가는길.. 9 집으로가는길.. 2013/12/16 2,698
332070 12월 16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3/12/16 816
332069 스키장 1 궁금 2013/12/16 754
332068 오유 펌. 철도 민영화가 와닿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글.. 2 민영화 2013/12/16 1,664
332067 조언주세요. 있는 그대로 사랑하기 vs. 훈육 5 .. 2013/12/16 1,662
332066 육아 선배님들 도와주세요..18개월 아기가 자해를 해요 10 어쩌나.. 2013/12/16 7,618
332065 제가 잘 몰라서 그런데 지금 장성택 뉴스로 도배하는 이유가 10 오프라 2013/12/16 2,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