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대 vs 미대, 당연히 전자가 비전있나요??

ㅎㅎ 조회수 : 1,826
작성일 : 2013-11-19 19:00:55
고민상담하려 올려봅니다..

대학교 2학년생이고, 컴퓨터과학 쪽 전공할것같습니다
고등학교까지는 한국에서 공부하고 대학은 꽤 괜찮은 미국 공대로 왔어요. 아이비리그 중하나

공부에는.. 솔직히 재능있는 편이에요
자랑하는것은 절대 아니고, 중1 첫시험때 전교1등을 하는바람에
저도 제주위사람들도 제 길은 무조건 공부쪽인줄 알고 그외의 경험을 별로 해본적이 없어요. 
중딩때 공부열심히 해서 과고 갔구요

초등학교때까지는 미술학원도 다녔었는데 
중학교 올라와서 공부를 생각보다 잘하니까 부모님께서도 미술은 그만두게 하셨구요

여튼 미국으로 대학을 와서 이것저것 경험을 하다 보니, 예술(디자인이나 미술) 쪽에 다시 흥미가 생기고 재능도 있는것 같아요
이과쪽 머리이고 이쪽으로 하면 평타이상은 칠것같은데..자꾸 예술쪽으로 확 틀어버리고 싶은 욕구가 생겨서
어느쪽에도 집중을 못하겠어요. 숙제나 과제같은건 선 지키면서 해가고 있는데
진짜 하고싶은게 뭔지 갈피를 못잡는 상황에서 시간이 자꾸 흐르는게 초조하네요

사주에도 "학문과 예술에 소질이 있음" 이렇게 나오는데.. 정말 무책임한 사주풀이인듯합니다

패션쇼 영상같은거 보고 있으면 막 가슴이 터질듯이 두근두근거리고 나도 저정도는 할수 있을것같다는 생각이 들어요(물론 허상이겠지만..) 그림그리고 이럴때는 정말 시간이 후딱 가있어요
맞아요 솔직히 하고싶은건 이쪽이고 누가 지금시작해도 늦지 않았어! 넌 예술을 해! 이러면 좋을것같은데

지금까지 공부한것도 아깝구요. 컴퓨터쪽 계속 공부하면 탄탄대로 일텐데 이걸 포기하는건 바보같은 일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엄마랑 굉장히 친한 편인데, 엄마 말씀은 당장은 알쏭달쏭하고 틀린것같아도 결국 시간지나면 맞더라구요

엄마께선 저는 힘도 없고 게으르고 머리 하나만 좋으니까 그냥 공부하는게 제일 좋을거라시네요 ㅋㅋ
저도 그말에 공감도 어느정도 가고, 지금 공부가 힘들고 잘하는 애들이 너무 많으니까 현실 도피하려는 심리가 아닐까,
아마 그게 맞을것같다 싶기도해요

근데 또 저랑 같이 공대 공부하는 애들 살펴보면 저같은 스타일은 별로 없는것같아요
여기 제 공대 친구들은 뭐랄까 굉장히 성격부터 평화롭다고 해야되나.. 믿음직스런 이미지에 매사 성실합니다
딱보기에도 똑똑해 보인달까요

전 집중력도 부족하구요, 좀 덤벙대기도하고, 끈기랑 인내심도 굉장히 부족해요.
보기에 좀 멍청해 보이기도 하고요. 성실이랑은 좀 거리가 먼데. 공상/허상 많은 편이고..
성적도 상위권이긴 하지만 최상위권은 아닙니다. 저도 IQ 150넘지만 공부안해도 성적 잘나오는, 소위 말하는 천재들은
저보다 훨씬 더 똑똑한 아이들이에요. 
프로그램 짜는것도 잘하는 아이들이 차곡차곡 프로그램을 짜는것같으면
저는 아맞다 며칠전에 본것중에 비슷한게 있었는데 이러면서 그거 찾아서 약간 변형시켜서 잔머리스럽게 때우는..ㅠㅠ
학년 올라가면 이러면 힘들어질것 알기때문에 정공법으로 공부하려고 요새 노력중이긴 합니다 

이런거 보면 또 제가 공대스탈이 아닌데 저 스스로 난 똑똑하니까 공대생이라고 믿고 싶어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ㅠㅠㅠ 

저처럼 공학 vs 디자인쪽 사이에서 고민해보신적 있나요?
공학이나 디자인쪽 재능의 척도는 어떻게 하면 객관적으로 잘평가할수 있을까요

재능이 이정도 안되면 그만해라~ 이렇게 말해주시는 분이 있어서 아, 난 디자인쪽은 안되겠다
이렇게 한쪽을 얼른 포기를 해버리는게 가장 좋을것같아요

집중력이 굉장히 부족하다고 썼는데, 제 갈길에 컴퓨터쪽 하나 뿐이라는 목표가 딱 생기면 집중력도 더 늘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P : 128.42.xxx.13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13.11.19 7:11 PM (203.231.xxx.40)

    공학 중 UX 혹은 HCI같은 분야는 디자인과 큰 차이가 없어요.

    저는 현재 원글님의 경우라면 내가 관심 있는 것이 디자인 중 겉모습을 예쁘게 바꾸는 styling 영역에 속한건지. 아니면, 사물의 작동 원리나 서비스 등의 근본적인 문제점 등을 관찰하고 개선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에 관심있고 잘하는지 스스로에 대해 알아볼 것 같네요.

    그리고...개인적으로는, 원글님 스펙 고려시엔 일단 공대는 마치라고 하고 싶어요. ㅎㅎ
    공대 학부 마치고 디자인 석사 하셔도 되고, 경우에 따라 더 큰 메리트가 될 수도 있어요.

    이상 한국 H미대 디자인과 나와 현업 10년차쯤 된 아줌마

  • 2. Apple
    '13.11.19 7:37 PM (175.223.xxx.20)

    매일 그냥 보기만 했는데 로그인했어요 ㅎ
    비슷한 상황에서 공대 선택했었어요 지금 사회생활 5년차 되고, 지금 사는데 크게 문제없지만 미술할걸 이런생각 많이해요. 그때 공대가면서 생각한건 미술은 나중에라도 시작할 수 있으니까! 이거였는데, 아니예요.ㅎ 한번 공대쪽으로 사회생활 시작하니 방향 틀기가 어려워요~ 둘다 좋은 길이니까 지금 재밌는걸 선택하는게 나중에 후회없는 선택입니다.

  • 3. 이년전
    '13.11.19 8:14 PM (173.164.xxx.237)

    내 아이를 보는 것 같네요.
    어렸을때부터 꿈이 확고한 아이였는데 막상 대학에 들어가더니 한동안 고개를 외로 꼬고 다니더니 하루는 심각한 표정으로 갑자기 음악을 하고싶대요.
    자긴 이 길이 아닌 것 같대요.
    이십년 가까이 방황 한번 안하고 오로지 한 길로 정진하던 아이가 이제와서 그것도 소위 춥고 배고플지도 모를 음악이라니...
    솔직히 당황은 했는데 아이에게 반대는 안하고 섣불리 결정하지말고 일단 메이저든 마이너든 해볼 것을 권유했어요.
    2년을 더블메이저로 하더니 아무래도 음악이 내 길은 아닌 것 같다며 다시 어렸을 때부터의 꿈인 md phd를 향해 열심히 살고 있어요.
    전에 학교설명회에 온 아이비리그대학입학담당자한테 어느 학부모가 전공바꾸는거에 대한 질문을 했어요.
    그 교수가 질문한 학부모한테 당신은 십대때 뭘 할지 정했었나? 아니 최소한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는 알고 있었나 되묻더군요.
    미국 대학에서는 전공을 두세번 바꾸는거 당연하게 생각한대요.
    십대의 어린 아이가 자기가 뭘 할지, 무슨 전공을 할지 어떻게 단번에 정할 수 있냬요.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마세요.
    다음학기까지 결론내야겠다 맘 먹지 마시고 새로운 공부에 대한 탐구를 한다고 생각하세요.
    그러다보면 길이 보이고 열려요.
    더블메이저하다 마이너로 돌려도 되고, pnp로 돌려도 되고, 심지어 졸업이 1,2년 늦어져도 괜찮아요.
    인생에서 일이년 학교생활 더 하는거 낙오되는거 아니예요.
    허송세월보내며 시간을 흘려보내면서 졸업이 늦어지면 기막힌 거지만 그렇게 이것 저것 시도해보고 심지어 유턴을 해도 그게 다 쓸데없는게 아니고 열심히 살다 늦어진 졸업은 나중에 다 쓸모있는 자산이 되요.
    그게 미국대학교육의 가장 큰 매력인 것 같아요.
    선택할 수 있어 괴롭기도 하겠지만 무언가를 선택해서 만들어 가는 때인 청춘이 너무 부럽네요.

  • 4. 태양
    '13.11.19 8:56 PM (124.53.xxx.95)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은 미국 디자인 스쿨 빅3중 하나라지요.(사실 파슨스와 함께 최고 자리를 다투지요)
    여기 미대 총장이 공대 출신이아는걸 아시나요^^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591668
    다음은 존 마에다 총장과의 짤막한 인터뷰예요.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342794
    참고하세요*^^*

  • 5. 와 저도
    '13.11.20 12:16 PM (124.51.xxx.83)

    아이에게보여줘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1963 (부산) 대학병원 산부인과 추천부탁드립니다. 춥네 2013/11/21 2,189
321962 "젊은검사들, 외압 뿌리치고 120만개 폭로 강행&qu.. 16 샬랄라 2013/11/21 2,656
321961 상속자들, 영도 보면 숨이 막혀요 12 영도앓이 2013/11/21 3,866
321960 초 6 되는 남자 조카 선물 뭐가 좋을까요?--미국 들어가는 2 애들 취향 .. 2013/11/21 753
321959 해외여행시 한자를 알면 도움이 될까요? 9 게으름뱅이 2013/11/21 938
321958 교복위에 패딩 어떤 거 입고 다니나요? 2 중고등 2013/11/21 1,106
321957 남편 정장위에 입는 아우터 사이즈 문의합니다 2 추워서 2013/11/21 1,239
321956 패딩 인터넷이랑 가격차로 맘상했어요 7 5236 2013/11/21 2,226
321955 마인 라마코트, 크린토피아 맡겼더니 18 ㅇㅇㅇ 2013/11/21 7,967
321954 털 들어간 하이탑 슈즈, 40대 초반엔 아무래도 참아야할까요? 17 마흔둘 2013/11/21 2,090
321953 혹시 반포에서 조용히 공부할수있는 5 어디에 2013/11/21 1,203
321952 일본 ”안중근은 사형 판결받은 인물” 4 세우실 2013/11/21 496
321951 펌-이정희의 신공에 주화입마에 빠져든 국정원과 검찰 7 참맛 2013/11/21 1,144
321950 고딩딸 운동화 5 .. 2013/11/21 1,017
321949 "급질" 왁스페이퍼 오븐에 넣어도 되나요? 2 컴앞대기 2013/11/21 2,785
321948 추운날 웃으면서 하루를 시작해요.. 추억묻은친구.. 2013/11/21 615
321947 LG Smart TV가 사용자의 이용정보를 몰래 훔쳐보고 있다!.. 4 레딧 2013/11/21 1,118
321946 꽃남 구준표가 이민호였나요? 13 2013/11/21 2,836
321945 여자형제없이 외롭게 자라다가 결혼해 딸만 낳으신 분 12 딸둘 2013/11/21 2,346
321944 하루종일 티비켜놓고 있는 인생 7 대베 2013/11/21 2,627
321943 지금 안써도 어학도 배워두면 쓸 데가 있겠죠? 5 ㅎㅎ 2013/11/21 1,236
321942 아기사랑세탁기 사용법이요... 1 빨래삶기 2013/11/21 2,871
321941 마트에 파는 스틱형 카푸치노 1 임산부 2013/11/21 828
321940 11월 21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3/11/21 975
321939 남편이 어지럽고 구역질이 자꾸 난다고 하는데요. 25 ... 2013/11/21 8,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