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아이에게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

생각할 시간 조회수 : 1,611
작성일 : 2013-07-04 17:34:02
워낙 저도 어릴때 학원 안 다니고 혼자 집에서 뒹굴뒹굴 책보고 나가 놀고 하며 컸던 터라 당연히 저희 아이도 그렇게 키우고자 하는데 주위에서 저희같은 집이 거의 없어 이런 생활을 이어가는데 굳은 의지가 필요해요.

큰애가 초 3인데 지금까지는 피아노학원 외에는 다닌 적 없고 그나마 이사하고 적응시간을 주느라 지금은 피아노학원도 잠시 쉬고 있어요. 물론 선행 같은건 집에서도 안 하죠. 아이가 묻는 것에 대답해주고 이렇게 저렇게 실물에 빗대 적용해보도록 도와주는 정도?
 
저도 많이 부족하고 짜증도 많은 엄마인데
적어도 공부로 아이를 미리 질리게 만들지는 말자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받아오는 시험 점수에 의연한 모습 보여줘왔어요.
제일 못 봤던게 2학년때 수학 75점이었나? 65점이었나? 아무튼 아이는 옆 짝꿍이, 자기는 집에 가면 100점 받으면 용돈을 받고 틀리면 틀린 수대로 손바닥을 맞는다고 그러는 말을 듣고 우리 엄마도 그러려나 조금 불안했나봐요. 한번도 점수로 뭐라 한 적이 없는데 굉장히 미안해하며 시험지를 꺼내놓더군요.

그런데 저나 남편이 괜찮다고, 다음에는 아는 거 틀리지 않도록 조심하자고 , 
엄마 아빠도 어릴적에 시험 못본 적 종종 있다고 가볍게 넘어갔어요.
90~100점 받으면 또 지나치게 좋아하거나 하지 않고 잘했다 정도만 말해주고 
시험 잘봐서 사주는 거라고 일부러 티내지는 않고  학교 앞에서 솜사탕이나 아이스크림을 하나 사주는 정도였고요.


그 덕분엔가 아이는 제가 굳이 묻거나 확인하지 않아도 이번주에 무슨 시험본다 
내일은 무슨 시험본다 오늘 무슨 시험 봤는데 어땠었다 얘기를 감추지 않고 편하게 잘 해요.

얼마전에 공개수업 갔었는데 확실히 1학년때 가보고 충격받았던 (아이들이 너무 산만...시장바닥 같았음. 선생님이 저걸 어찌 참고 보나 궁금할 정도) 모습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을 했더군요.

저희 아이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들도 대부분 집중 잘 하고 수업에 참여하는 모습이 대견했어요.
그리고 느낀게 학교에서 저렇게 집중해가면서 4~5시간 이상 보내고 오는데
학원이나 과외를 서너가지씩 다니면서 거의 종일 저 수준의 집중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아이들의 나이에 비해 지나친 요구가 될 수 있겠다 싶었어요.
집에 오면 충분히 쉬고 하고싶은 걸 하게 해줘야 겠다...생각했죠.

오늘도 아이와 함께 걷는데 아이가 먼저 오늘 수학시험 봤다고 얘길 꺼냈어요.
어떤 내용으로 시험봤냐고 물었더니 곱하니 나누기 분수 시험을 봤대요.
풀만했냐 물어보니까, 생각보다 쉬웠고 풀만했대요.
"전에는 분수가 어렵게 느껴지고 곱하기로 분수를 풀수 있다는게 조금 이해가 안됐었는데
며칠 전에 집에 와서 곰곰이 생각해보니까 이해가 됐어요. 숫자가 복잡해서 계산하는데 시간은 걸리지만 원리를 확실히 알게 되니까 어렵지는 않았어요. 만점 받았으면 좋겠다~~"
하고 재잘재잘 얘기하더군요.

집에 와서는 종일 뒹굴거리며 책 보거나(책상에 앉아서 따로 공부 거의 안 함... 숙제도 일주일에 한번 일기와 독서록 외에는 거의 없음)
놀이터 나가서 동생이랑 실컷 놀다 씻고 자는 게 일과라 공부에 대한 생각은 요만큼도 안 하는 줄 알았는데 의외였어요.
정말 아이의 바람대로 만점을 받았을지, 몇 개 틀렸을지 알 수 없지만
아이가 시험에 대해 불필요하게 두려워하지 않고 엄마아빠에게 감추지 않고 말할 수 있다는 거
나름 혼자 배운 것을 새기며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는 게 기뻤습니다.

아이에게 뒹굴거릴 시간,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는 것이 정말 필요한 일이구나 느꼈어요.
아직 저학년이라  느긋할  수 있는지도 모르지만 앞으로도 쭉 이렇게 해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IP : 180.224.xxx.20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7.4 5:37 PM (218.50.xxx.145)

    좋은엄마시네요. 저도 님 생각에 동의하는데 쉽지 않네요

  • 2. ...
    '13.7.4 5:53 PM (175.194.xxx.226)

    저희 아이들도 학원하나 안보내고 집에오면
    뒹굴뒹굴 거리면서 책읽고 작문연습하고 그러는데
    사춘기도 무난하게 잘보내고 있어요
    아이도 쉴시간이 필요합니다
    자기시간을 자유롭게 쓰니 창의력도 좋아지고
    공부도 알아서 열심히 하고 그러네요

  • 3. 저도 노력중
    '13.7.4 5:57 PM (119.64.xxx.150)

    어제 만난 고3 엄마가 하는 말이 아이들이 수단이 되는 공부는 하는데 막상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이 없다네요.

    어릴 때 충분히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몰입할 시간을 주는 것이 좋다구요. 그러려면 빈둥거릴 시간이 필요한

    데 엄마들의 조급함 때문에 빈둥거리는 아이를 가만 두지 않잖아요.

    저도 초 3 아이를 둔 엄마라서 원글님 말씀에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그래도 다음 주 기말고사라고 문제집은 풀려야 맘이 안심되는 건 어쩔 수 없네요~~

  • 4.
    '13.7.4 6:02 PM (183.39.xxx.56) - 삭제된댓글

    그래서 울 초6아들 이제 6-2수학 간신히 선행하는데 혼자서 하고요, 중23까지 선행한 애들보다 수학 잘합니다. 점수 월등히 높아요. 여백의 미.. 중요하고요, 혼자 충분히 하게끔 시간주고 “기다려주는 것” 필요합니다.

  • 5. 아이
    '13.7.4 6:04 PM (58.236.xxx.74)

    기질에 따라 아이가 너무 게으른 스타일은 또 안 먹힐 수가 있는데요.
    그래도 아이에게 여유를 주는 건 엄마의 자신감인 거 같아요,
    그래서 아이 닥달하기보다 제가 좀 공부 하려고 해요. 내가 심지 분명하면 막연한 불안감에 조종되서
    아이에게 과도하게 집중하지 않을 거 같아서요.

  • 6. 저도...
    '13.7.4 11:13 PM (115.143.xxx.32) - 삭제된댓글

    저는 아직 아이가 1학년이지만 저랑 같은 성향과 생각이시네요. ^ ^
    저희 아인 일주일에 두번 선생님이 오셔서 피아노 치는게 다구요...하루 종~~~일 놀아요.
    아이 학교는 수학만 단원 평가라는 것을 보는데 여태껏 4번 봤어요.
    그런데...지난 주에 갑자기 단원평가를 잘 본 것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더라구요.
    누구는 다 맞으면 롯데월드 간다더라, 누구는 뭘 사준다더라...그러니 우리도 롯데월드 가자고...
    그리고 그전엔..누구는 만점 못 맞으면 혼난다던데 나도 그럼 혼나는 거냐고 묻기도 했구요.
    아이와 얘기를 해봤는데...공부를 왜 한다고 생각하냐 물었더니 엄마 아빠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서라고 대답하더라구요. 주변 친구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듯...
    전 평소 아이에게 엄하게 하는 계모표 엄마이지만 유일하게 학습과 관련해서만 관대하거든요.
    학습과 관련해서는 절대고 혼내지도 화내지도, 그리고 과하게 칭찬하지도 않아요.
    그런데...이런 말을 해서 많이 놀랐고...어떻게 알아듣게 설명해야 하나 싶네요.
    자기만 학원을 다니지 않아 외토리라며...학원에 보내달라는 말도 하구요.
    친구들 다 학원가고 나면 혼자 놀다가 심심해지니 일기도 써보고, 구구단도 외워보고, 수학식을 만들어서 풀어보기도 하고 하면서 스스로 학습을 놀이삼아 지내더라구요.
    아이들에겐 정말로 뒹굴거릴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4631 고층 전망 좋은 동향 아파트 매매하려고 하는데요. 4 조언 2013/09/05 3,998
294630 생까던 동네엄마가 슬슬 말 거네요.. 어쩌지요? 25 ... 2013/09/05 11,243
294629 얼굴살만 찌는 방법은 없을까요. 1 처짐 2013/09/05 3,058
294628 영어 말하기 3 영어 2013/09/05 1,270
294627 MB 사돈’ 조석래 효성 회장 ‘탈세혐의’ 출금 1 MB정권 본.. 2013/09/05 1,067
294626 대명항 맛집 추천^^ 5 꾀꼬리 2013/09/05 4,141
294625 아이가 사용하는 교학사 책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아야 겠어요 4 샬랄라 2013/09/05 1,034
294624 자두로 장아찌를 담았더니,, 4 장아찌 2013/09/05 3,898
294623 아이들 식당 동반시 출입금지 팻말 3 감전사고 땜.. 2013/09/05 2,053
294622 이런 경우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배상해주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4 라일락꽃향기.. 2013/09/05 2,068
294621 남의집이 너무깨끗하면 부담스럽나요? 14 ㅎㅎ 2013/09/05 4,283
294620 언어학 전공하신 분 계심 책 추천 부탁드려요~^^ 6 .... 2013/09/05 2,723
294619 편도가 크지 않아도 수술 가능할까요ㅜ 5 에구 2013/09/05 1,022
294618 쾌락의 절정에 이르면 죽고 싶다는데..느껴보셨어요?????? 5 r 2013/09/05 4,358
294617 제상황에서 비자금을풀어야할까요?(아이교육문제) 28 현명한조언 2013/09/05 3,906
294616 남편은 절 그저 @@파트너로만 생각하나 봅니다!! 11 부인 2013/09/05 4,708
294615 고구마 빼때기 오븐에서 만들 수 있나요? 2 궁금 2013/09/05 1,310
294614 목동 현대에서 근처 지인집에 놀러갈때 살만한거..추천좀 1 .... 2013/09/05 1,306
294613 참치액은 조미료가 아닌가요? 8 조미료 2013/09/05 14,573
294612 확실히 안먹으니 살이 빠지네요 2 다이엇 2013/09/05 2,438
294611 세련되고 편한 플랫슈즈 추천 꼭 부탁드려요~ 2 .. 2013/09/05 2,740
294610 노태우 추징금 완납.. 전두환 측 발등에 불 外 5 세우실 2013/09/05 1,764
294609 상가 계약을 하려니 겁이 많이 납니다. 4 주의할 점이.. 2013/09/05 3,472
294608 포로폴리스 어디제품이 좋은가요? 1 페가수스 2013/09/05 1,906
294607 어제 라스 봤어요. 재밌네요. ㅋ 2 라스 2013/09/05 1,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