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혹시 수학선생님 계시면, 학습태도 좀 봐 주시겠어요?

맹점?오류? 조회수 : 1,473
작성일 : 2013-03-23 23:32:25
이게 잔머리인지 요령인지 판단이 절 안 서서 그럽니다.
바쁘시더라도 한 번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춘기라 웬만하면 공부 하는 거 들여다 보지 않으려 하는데, 오늘 지나가다 보면서 눈에 거슬려서요.

2x-1/y=2, y-1/2z= -1/2 일 때, 6xyz의 값을 구하시오.
이런 문제를 풀고 있는데, 순식간에 답을 구하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무슨 문제를 풀이과정도 안 쓰고 그리 푸느냐 했더니...
굳이 대입해 가며 복잡하게 풀 필요 뭐가 있냐는 겁니다.
저런 건 일종의 규칙같은 거니, 숫자 아무거나 넣어도 답이 나오는 것을요...그러더군요.

틀린 말은 아닌데, 저런 학습방식이 너무 못 마땅하거든요?
그래서 잔소리를 좀 했는데요.

오늘 일은 단편적인 예이고, 한번씩 보면 수학문제를 저런 식로 푸는 경우가 제법 있습니다.
무슨 말씀드리는 건지 이해가 되시려나요? ^^;

롱롱타임어고우 이과였던지라 저도 수학 그리 무지랭이는 아닌데요.
저같으면 아무리 복잡함이 예상돼도 우직하게 대입해 풀었을 것 같거든요.

저런 학습태도가 장기적으로 문제는 없는 건지...
아니면 제 사고가 고루하고 경직된 건지 전문가 분들 조언이 절실합니다.
IP : 58.240.xxx.25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장기적으로보면
    '13.3.23 11:37 PM (175.215.xxx.53)

    문제의 풀이과정을 적는습관이 아주 중요한거 같애요 그래야
    나중에 어디에 어떤부분을 틀렸는지 찾아낼수가 있잖아요
    갈수록 이해력과 사고력이 요구 되니깐요

  • 2. morning
    '13.3.23 11:49 PM (121.132.xxx.169)

    처음 진도 나갈때는 일일히 증명을 하는게 맞긴 한데, 문제 풀이 단계에선 어떻든 상관 없어요. 도리어 암산 능력이 좋다는 뜻이지.

  • 3. 원글이
    '13.3.23 11:56 PM (58.240.xxx.250)

    혼자 하는 아이라 피드백(?) 받을 곳이 학교밖에 없는데,희한하게도 저런 부분마저 잘한단 칭찬을 받나 봅니다.
    그러니 고칠 생각을 안 해요.ㅜㅜ

    제가 그러면 풀이과정 요구하는 문제면 어떻게 할래? 그랬더니, 그럴 땐 쓰면 되죠...하는데, 평소에 훈련이 안 돼 있는데, 잘 되겠나요...

    사춘기...사사건건 부딪히네요.ㅜㅜ

  • 4. 센스
    '13.3.23 11:59 PM (61.73.xxx.109)

    센스가 있는거죠 저도 그런식으로 풀줄도 아는 타입이라 내신보다 수능에 강했었는데...
    센스가 있으니 그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보완하기만 하면 되죠 학원도 너무 반대되는 스타일로 고르지 말고 아이와 맞는 쪽으로 구하세요

  • 5. 센스
    '13.3.24 12:01 AM (61.73.xxx.109)

    저희 남편이 수학강사인데 대부분의 아이들이 센스가 없어서 간단히 나열만 해보고 대입만 해보면 되는 문제도 어렵게만 푸는 아이들이 많다고 하거든요 그래서 남편의 장점인 센스를 가르치는 스타일인데 아드님이 나쁜 방식인게 아니니 장점을 살려주세요

  • 6. whg
    '13.3.24 12:07 AM (121.139.xxx.140)

    머리가 좋고 수학센스가 있는 학생이군요
    대입해도 되는 문제는 대입해서
    식을 다 풀어야 하는 문제는 풀어서
    하면 됩니다
    센스가 좋아서 그런거에요

    어머님의 방법을 강요 안하셨음 좋겠어요

    그리고 혹 머리가 너무 좋은 학생은 나중에 공부시간 자체가 적어서 생기는 문제가 있긴해요
    손으로 안풀고 눈으로만 풀때 나중에 부작용도 있긴 한데요
    그때 좀 교정해주시던가
    일단 저 자체는 좋아요

  • 7. 튜터
    '13.3.24 12:10 AM (219.254.xxx.30)

    저런 아이들의 경우엔 크게 두 가지 케이스로 나눠볼 수 있어요.

    1. 두뇌회전이 빠르고 수학적 감각이 좋은 경우
    -> 이런 경우엔 굳이 과정을 다 거쳐 풀라고 하지 않으셔도 돼요.
    대부분의 똑똑한 아이들은 풀이과정을 몰라서 안 쓰는게 아니고
    너무 간단하거나, 그렇게 풀 필요 없기 때문에 생략하는 것 뿐이거든요.
    모든 문제를 저런 식으로 접근하지만 않는다면 전혀 문제가 없는 방식이에요.

    2. 식을 세워서 체계적으로 푸는 방법을 익숙해하지 않는 경우
    -> 이 경우에는 아무리 단순한 방정식이라도 식을 세우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이야 굳이 식을 세우지 않아도 한두번의 대입만으로 문제가 풀리지만
    학년이 올라가고 점차 어려운 문제에 맞딱뜨렸을 때는 식이 아니면 풀 수 없는 문제가 나와요.
    수학적 감각에 의해 대입하는 것에만 치중하다 보면 이런 문제는 놓칠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가 두 경우 중 어떤 케이스인지 파악하시는 것이 필요한데요
    부모님이 보시기만 해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학교 수학선생님과 상담을 해보시거나, 학원이나 과외 테스트를 통해 점검 받으시는게 방법일 수 있어요.

  • 8. 원글이
    '13.3.24 12:25 AM (58.240.xxx.250)

    아드님 아니고 따님이고요...ㅎㅎ;
    제가 보기엔 수학머리가 별로 없어 보이는데, 항상 성적은 잘 받아오는 편이예요.
    선생님들께서 해주시는 평도 괜찮은 편이고요.

    긍정적 댓글도 제법 보이네요.
    그렇다면 제가 너무 아이를 부정적으로만 보고 있는 건 아닌가 싶어 조금 미안해지기도 합니다.

    그래도 공부는 성실함이 최고가 아닌가 싶은데...

    답변주신 님들, 고맙습니다.^^

  • 9. 저희 아이들도 그래요
    '13.3.24 12:35 AM (183.102.xxx.20)

    그래서 저도 얼마 전에 비슷한 질문을 올렸어요.
    저는 문과이고 수학을 그다지 잘한 편이 아니라서
    꼼꼼히 차근차근 문제를 풀었었기 때문에
    아이들이 지금 잘하고 있는 건지 아닌지 모르겠어서 질문했었어요.

    그때 답변들이 그런 식으로 문제 푸는 습관들이면
    학년 높아질수록 힘들다고 해서
    제가 옆에서 꼼꼼히 지켜보고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저와 애들의 수학적 감각이 다릅니다.
    지금 제 나이 탓도 있겠지만
    저는 모범답안식의 착실한 풀이라면
    애들은 단계 단계 암산이 습관적으로 빨라요.
    이해력도 다르죠.
    그래서 저는 아이가 빨리 풀어버린 문제는 제가 물어봐요.
    어떤 식으로 푼 거냐고..
    그런데 그렇게 푼 문제들은 또 거의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요.
    풀이과정을 다 적어보라고 하면 제대로 적어요.
    그런데 아이들은 암산으로 되는 걸 왜 다 일일이 적어야하냐고 살짝 투덜거려요.
    그래서 요즘은 꼭 필요한 게 아니라면
    어지간한 건 테클 걸지 않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 10. 울 따님도
    '13.3.24 2:38 AM (46.165.xxx.53)

    그러는데요. 나같으면 너댓줄 풀문제를 주로 안줄 미만으로 풀거든요. 공식도 안외우고 해서 저도 처음엔 게을러서 그렇다고 혼을 내기도 했는데, 검사해보니 수학적 재능이 남다른 경우더라구요. 저도 학교다닐때 수학은 인서울 상위권 갈정도는 했는데, 저는 수학을 암기해서 비슷한 유형문제끼리 분류해서 배운데로 풀었고, 울아이는 스스로 이해하면서 해답을 독자적으로 풀어가는것 같아요. 확실히 수학을 즐기는거 같구요. 등잔밑이 어둡다고 엄마들이 의외로 애들 재능을 몰라볼수도 있어요.

  • 11. ..
    '13.3.24 11:45 AM (121.145.xxx.192)

    모의고사나 수능 수학 시험칠때 시험지가 깨끗할수록 고수라고들하지요,
    그래도 공부가 완전히 무르익기 전까진 노트에 필기하듯 과정을 적어가며
    논리적으로 풀어야할듯

  • 12. 원글이
    '13.3.24 3:21 PM (58.240.xxx.250)

    고수도 아니면서 저러니 걱정이 되는 거지요.ㅜㅜ

    아무튼 지나치지 않고 계속 댓글 주신 님들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5886 남학생 뜨는머리 집에서 다운펌 할 수 있을까요?? 4 엄마 2013/03/31 2,962
235885 삼육어학원 질문이요~ 3 only 2013/03/31 1,824
235884 초등 아이 공부방과 학원중에 어떤곳을 보내야할지요 2013/03/31 735
235883 주위에 원래 약골인데 임신하고 몸이 더 좋았던 경우 있으세요? 10 ++ 2013/03/31 1,543
235882 인연이라는거, 나와잘맞는/안맞는 사람이 존재하나요? 1 슬퍼요.. 2013/03/31 3,057
235881 집에 있는 사과로 잼만들려는데 도와주세요~ 2 아지아지 2013/03/31 692
235880 주변에서 남자가 아까운 경우 보신 적 있나요? 22 ... 2013/03/31 8,395
235879 시계값때문에 7 약간 유치하.. 2013/03/31 1,422
235878 (급질) 애견인들께 여쭈어요 5 걱정 2013/03/31 794
235877 농사짓는분들 소작비 계산 좀 알려주세요. 6 소작비 2013/03/31 2,193
235876 결혼하면 안정적이 될까요? 21 ... 2013/03/31 4,235
235875 시대정신의 뒤를 잇는 충격적인 다큐 쓰라이브(번영) 4 돈만 쫒는 .. 2013/03/31 1,404
235874 이런말 하면 욕할지 몰라도 13 인생살이 2013/03/31 2,831
235873 아기엄마 스타일리쉬 원피스 브랜드 어떤게 있을까요 6 아기야 2013/03/31 1,670
235872 젖이 나와요.. 9 .. 2013/03/31 4,618
235871 유통기한 2주 남은 우엉절임이 부풀었는데 2 우엉절임 2013/03/31 801
235870 출산한지 일년반 지낫는데 허리가 무너지는 느낌 들어요 1 부자살림 2013/03/31 1,780
235869 집수리 (올수리?) 1 .. 2013/03/31 1,298
235868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언니선물 2013/03/31 1,307
235867 신혼집에 무조건 도배 장판 해야 할까요? 10 2013/03/31 2,098
235866 이불 세탁하기15킬로 어떤가요 4 지현맘 2013/03/31 1,118
235865 루이비통 가방 손잡이 태닝 안하고 들면 안되나요? 16 녹차마루 2013/03/31 28,864
235864 향수를 처음 사보려는데요.... 7 ... 2013/03/31 1,539
235863 부칸, '우리는 한다면 한다' 6 한다면 한다.. 2013/03/31 1,077
235862 애견인들이 욕먹는 이유 11 2013/03/31 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