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혹시 수학선생님 계시면, 학습태도 좀 봐 주시겠어요?

맹점?오류? 조회수 : 1,473
작성일 : 2013-03-23 23:32:25
이게 잔머리인지 요령인지 판단이 절 안 서서 그럽니다.
바쁘시더라도 한 번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춘기라 웬만하면 공부 하는 거 들여다 보지 않으려 하는데, 오늘 지나가다 보면서 눈에 거슬려서요.

2x-1/y=2, y-1/2z= -1/2 일 때, 6xyz의 값을 구하시오.
이런 문제를 풀고 있는데, 순식간에 답을 구하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무슨 문제를 풀이과정도 안 쓰고 그리 푸느냐 했더니...
굳이 대입해 가며 복잡하게 풀 필요 뭐가 있냐는 겁니다.
저런 건 일종의 규칙같은 거니, 숫자 아무거나 넣어도 답이 나오는 것을요...그러더군요.

틀린 말은 아닌데, 저런 학습방식이 너무 못 마땅하거든요?
그래서 잔소리를 좀 했는데요.

오늘 일은 단편적인 예이고, 한번씩 보면 수학문제를 저런 식로 푸는 경우가 제법 있습니다.
무슨 말씀드리는 건지 이해가 되시려나요? ^^;

롱롱타임어고우 이과였던지라 저도 수학 그리 무지랭이는 아닌데요.
저같으면 아무리 복잡함이 예상돼도 우직하게 대입해 풀었을 것 같거든요.

저런 학습태도가 장기적으로 문제는 없는 건지...
아니면 제 사고가 고루하고 경직된 건지 전문가 분들 조언이 절실합니다.
IP : 58.240.xxx.25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장기적으로보면
    '13.3.23 11:37 PM (175.215.xxx.53)

    문제의 풀이과정을 적는습관이 아주 중요한거 같애요 그래야
    나중에 어디에 어떤부분을 틀렸는지 찾아낼수가 있잖아요
    갈수록 이해력과 사고력이 요구 되니깐요

  • 2. morning
    '13.3.23 11:49 PM (121.132.xxx.169)

    처음 진도 나갈때는 일일히 증명을 하는게 맞긴 한데, 문제 풀이 단계에선 어떻든 상관 없어요. 도리어 암산 능력이 좋다는 뜻이지.

  • 3. 원글이
    '13.3.23 11:56 PM (58.240.xxx.250)

    혼자 하는 아이라 피드백(?) 받을 곳이 학교밖에 없는데,희한하게도 저런 부분마저 잘한단 칭찬을 받나 봅니다.
    그러니 고칠 생각을 안 해요.ㅜㅜ

    제가 그러면 풀이과정 요구하는 문제면 어떻게 할래? 그랬더니, 그럴 땐 쓰면 되죠...하는데, 평소에 훈련이 안 돼 있는데, 잘 되겠나요...

    사춘기...사사건건 부딪히네요.ㅜㅜ

  • 4. 센스
    '13.3.23 11:59 PM (61.73.xxx.109)

    센스가 있는거죠 저도 그런식으로 풀줄도 아는 타입이라 내신보다 수능에 강했었는데...
    센스가 있으니 그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보완하기만 하면 되죠 학원도 너무 반대되는 스타일로 고르지 말고 아이와 맞는 쪽으로 구하세요

  • 5. 센스
    '13.3.24 12:01 AM (61.73.xxx.109)

    저희 남편이 수학강사인데 대부분의 아이들이 센스가 없어서 간단히 나열만 해보고 대입만 해보면 되는 문제도 어렵게만 푸는 아이들이 많다고 하거든요 그래서 남편의 장점인 센스를 가르치는 스타일인데 아드님이 나쁜 방식인게 아니니 장점을 살려주세요

  • 6. whg
    '13.3.24 12:07 AM (121.139.xxx.140)

    머리가 좋고 수학센스가 있는 학생이군요
    대입해도 되는 문제는 대입해서
    식을 다 풀어야 하는 문제는 풀어서
    하면 됩니다
    센스가 좋아서 그런거에요

    어머님의 방법을 강요 안하셨음 좋겠어요

    그리고 혹 머리가 너무 좋은 학생은 나중에 공부시간 자체가 적어서 생기는 문제가 있긴해요
    손으로 안풀고 눈으로만 풀때 나중에 부작용도 있긴 한데요
    그때 좀 교정해주시던가
    일단 저 자체는 좋아요

  • 7. 튜터
    '13.3.24 12:10 AM (219.254.xxx.30)

    저런 아이들의 경우엔 크게 두 가지 케이스로 나눠볼 수 있어요.

    1. 두뇌회전이 빠르고 수학적 감각이 좋은 경우
    -> 이런 경우엔 굳이 과정을 다 거쳐 풀라고 하지 않으셔도 돼요.
    대부분의 똑똑한 아이들은 풀이과정을 몰라서 안 쓰는게 아니고
    너무 간단하거나, 그렇게 풀 필요 없기 때문에 생략하는 것 뿐이거든요.
    모든 문제를 저런 식으로 접근하지만 않는다면 전혀 문제가 없는 방식이에요.

    2. 식을 세워서 체계적으로 푸는 방법을 익숙해하지 않는 경우
    -> 이 경우에는 아무리 단순한 방정식이라도 식을 세우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이야 굳이 식을 세우지 않아도 한두번의 대입만으로 문제가 풀리지만
    학년이 올라가고 점차 어려운 문제에 맞딱뜨렸을 때는 식이 아니면 풀 수 없는 문제가 나와요.
    수학적 감각에 의해 대입하는 것에만 치중하다 보면 이런 문제는 놓칠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가 두 경우 중 어떤 케이스인지 파악하시는 것이 필요한데요
    부모님이 보시기만 해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학교 수학선생님과 상담을 해보시거나, 학원이나 과외 테스트를 통해 점검 받으시는게 방법일 수 있어요.

  • 8. 원글이
    '13.3.24 12:25 AM (58.240.xxx.250)

    아드님 아니고 따님이고요...ㅎㅎ;
    제가 보기엔 수학머리가 별로 없어 보이는데, 항상 성적은 잘 받아오는 편이예요.
    선생님들께서 해주시는 평도 괜찮은 편이고요.

    긍정적 댓글도 제법 보이네요.
    그렇다면 제가 너무 아이를 부정적으로만 보고 있는 건 아닌가 싶어 조금 미안해지기도 합니다.

    그래도 공부는 성실함이 최고가 아닌가 싶은데...

    답변주신 님들, 고맙습니다.^^

  • 9. 저희 아이들도 그래요
    '13.3.24 12:35 AM (183.102.xxx.20)

    그래서 저도 얼마 전에 비슷한 질문을 올렸어요.
    저는 문과이고 수학을 그다지 잘한 편이 아니라서
    꼼꼼히 차근차근 문제를 풀었었기 때문에
    아이들이 지금 잘하고 있는 건지 아닌지 모르겠어서 질문했었어요.

    그때 답변들이 그런 식으로 문제 푸는 습관들이면
    학년 높아질수록 힘들다고 해서
    제가 옆에서 꼼꼼히 지켜보고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저와 애들의 수학적 감각이 다릅니다.
    지금 제 나이 탓도 있겠지만
    저는 모범답안식의 착실한 풀이라면
    애들은 단계 단계 암산이 습관적으로 빨라요.
    이해력도 다르죠.
    그래서 저는 아이가 빨리 풀어버린 문제는 제가 물어봐요.
    어떤 식으로 푼 거냐고..
    그런데 그렇게 푼 문제들은 또 거의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요.
    풀이과정을 다 적어보라고 하면 제대로 적어요.
    그런데 아이들은 암산으로 되는 걸 왜 다 일일이 적어야하냐고 살짝 투덜거려요.
    그래서 요즘은 꼭 필요한 게 아니라면
    어지간한 건 테클 걸지 않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 10. 울 따님도
    '13.3.24 2:38 AM (46.165.xxx.53)

    그러는데요. 나같으면 너댓줄 풀문제를 주로 안줄 미만으로 풀거든요. 공식도 안외우고 해서 저도 처음엔 게을러서 그렇다고 혼을 내기도 했는데, 검사해보니 수학적 재능이 남다른 경우더라구요. 저도 학교다닐때 수학은 인서울 상위권 갈정도는 했는데, 저는 수학을 암기해서 비슷한 유형문제끼리 분류해서 배운데로 풀었고, 울아이는 스스로 이해하면서 해답을 독자적으로 풀어가는것 같아요. 확실히 수학을 즐기는거 같구요. 등잔밑이 어둡다고 엄마들이 의외로 애들 재능을 몰라볼수도 있어요.

  • 11. ..
    '13.3.24 11:45 AM (121.145.xxx.192)

    모의고사나 수능 수학 시험칠때 시험지가 깨끗할수록 고수라고들하지요,
    그래도 공부가 완전히 무르익기 전까진 노트에 필기하듯 과정을 적어가며
    논리적으로 풀어야할듯

  • 12. 원글이
    '13.3.24 3:21 PM (58.240.xxx.250)

    고수도 아니면서 저러니 걱정이 되는 거지요.ㅜㅜ

    아무튼 지나치지 않고 계속 댓글 주신 님들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5794 임산부 정장 어디서 사나요? 3 ... 2013/03/30 818
235793 핸드폰 아직 개통전인데 취소할수있나요? 4 ... 2013/03/30 3,840
235792 77-88 입으시는분들~ 8 ^^; 2013/03/30 3,215
235791 천궁세안 1 미인되자 2013/03/30 1,369
235790 휴..답답하네요 1 ... 2013/03/30 744
235789 서대문쪽에 팔순잔치 할 수 있는 좋은 장소 4 팔순 잔치 .. 2013/03/30 859
235788 애둘데리고 가출할 만한곳 4 가출 2013/03/30 1,719
235787 뻔데기탕 맛있나요?? 9 탕은 무슨맛.. 2013/03/30 1,909
235786 장터에서 꿀 파신(다은이네 제주 벌꿀님). 질문 있어요. 11 질문 2013/03/30 2,834
235785 요즘 연기자들 대사 습관이랄까요? 21 ㅇㅇ 2013/03/30 7,327
235784 급해요~초등6학년 과학1단원 공부할수 있는사이트 4 과학 2013/03/30 1,163
235783 십년째입은 면추리닝에서 벗어날 수 있나요? 4 도움절실해요.. 2013/03/30 1,356
235782 망고 먹고 싶은데... 5 바람 2013/03/30 1,588
235781 친구가 독일에서 이유식을 사다줬는데요.. 6 야식왕 2013/03/30 1,805
235780 개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요 2 미세스씨 2013/03/30 635
235779 전깃불 켤때 딱!!하는 소리가 나요. 오늘은 지지지직.... 5 무섭네요.... 2013/03/30 2,894
235778 류승용이 멋진가요? 22 더네임 2013/03/30 3,709
235777 전인화씨 몸매 환상이네요. 21 우와 2013/03/30 16,170
235776 쳐진 얼굴 13 노화 2013/03/30 4,541
235775 남편친구 3 // 2013/03/30 1,676
235774 검은콩 뻥튀기 할려고 하는데 씻어서 말려서 가지고 가야하나요??.. 3 ... 2013/03/30 3,229
235773 예전가요 제목 알수있을까요? 3 오래된가요 2013/03/30 923
235772 연애의 온도..볼만 했어요 6 ... 2013/03/30 2,563
235771 오래서있으면 허리가 넘아파요 5 ....ㅠ 2013/03/30 4,510
235770 시끄러워 죽겠어요 8 스트레스 .. 2013/03/30 2,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