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부가 무허가인 주택 골치 아플까요?

매입 고민중 조회수 : 1,493
작성일 : 2013-03-05 12:48:35
주택이 싸게 나왔는데요.
이층이 옥탑방 비슷하게 무허가 건축물이 포함돼 있습니다.

그것만 빼고는 위치며 뭐며 다 좋아요.
게다가 급매라 싸게 나와서 더 관심이 갑니다.

보통 다가구주택은 그런 무허가 부속물 포함된 집이 많다...
정 신경 쓰이면 철거하거나, 허가절차를 밟거나, 벌금 내고 살거나 하면 된다...
다들 그렇게 한다고 하는군요.

그 부동산 말뿐 아니라 전에 어디서 듣기로도, 웬만한 다가구 옥탑 세대는 대부분 무허가란 말을 듣기는 했습니다.

일단 철거는 쉽지 않을 거 같거든요.
무허가 부분을 허가 받으려면 절차가 많이 복잡한가요?
괜히 이런 집 샀다가 골치 아프려나요?

경험 있으신 님, 답변 꼭 좀 부탁드립니다.


IP : 58.240.xxx.25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라플란드
    '13.3.5 12:59 PM (220.89.xxx.92)

    골치아프실듯합니다.
    일단 철거가 비용이 비쌀꺼에요...
    그리고...보통...동네에 한두명씩 민원잘넣는사람 있습니다.
    재수좋으면 잘넘어가겠지만 민원들어가면 벌금에 철거에 (벌금도 아마 매년낼거에요.몇백만원) 복잡해요

    요즘같이 자재값 인건비 비쌀때는 지어진집 오래된것사서 리모델링하는게 좋긴합니다. 건축법이 무척 까다로워졌다고해요~새로짓는건 엄청 더 복잡하다네요
    그래도 무허가인건...법에 걸리는걸텐데 법개정이 될거아니면 복잡해질테니 말리고싶으네요

  • 2. 개인 경험
    '13.3.5 1:10 PM (175.215.xxx.24)

    개인 경험인데요.... 시골에 농가 주택도 아니고, 그렇다고 전원 주택도 아니, 그런 집을 사러 돌아 다닌 적 있습니다.
    시골에는 무허가 증축은 기본이더군요.
    뭐, 마당 한 컨에 지붕 올리고 벽 만들면 증축이죠.
    거기에 구들 넣으면 주택이구요. ㅎㅎ

    집 자체가 아예 무허가도 생각 외로 많더군요.
    그런 집도 매매가 됩니다.
    무허가가 정 문제가 되면 그 때 돈 들여서 허가 받으면 되고, 벌금.... 이런 건 감안도 안하구요....
    철거.... 못 합니다.
    부분 무허가 까지 꺼집어 내면 줄줄이 온 동네 거진 걸릴 판이라.... 당연 못하죠.
    딱히 허가가 필요할 때에 허가 내고 정당한 세금 내면 되지, 뭤하려 자진해서 허가 낸다고 돈들여?
    허가 내고 재산세 낸다고 또 돈들여?
    필요시 하면 된다.... 는 마음으로 살고 있더군요.
    도시인들은 감히 상상도 안되는 일이죠.
    문의에 답은 아닌데.... 참고는 될듯 하네요.

  • 3. wkswks
    '13.3.5 1:21 PM (114.29.xxx.83)

    부동산은 거래가 일어나야 이득을 보는 사람이지요.
    10%의 가능성도 50%이상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지역 구청 담당과에 가서 정확하게 문의해보셔요.
    요새는 거의 모든 일이 원칙대로 하니 담당 공무원의 말을 듣고 결정하세요.

  • 4. 저도
    '13.3.5 1:23 PM (182.216.xxx.132)

    건물 리모델링 했는데 열평 남짓한 옥탑방이 무허가였나봐요.
    주위에서 민원 넣어서 고발 당했구요.
    관할 구청에 주택으로 신고하고 세금 냈어요.
    상가 건물인데 그 부분만 주택이라 2주택자로 다른 아파트 팔때 양도소득세 냈어요.ㅠㅠ

  • 5. 원글이
    '13.3.5 1:44 PM (58.240.xxx.250)

    우선 답변들 고맙습니다.

    위에 개인 경험 님 말씀처럼...
    시골에선 비일비재한 일이고, 도심 한복판 번듯한 집들도 생각보다 건물에 무허가 부분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부동산업자 아닌 건축사에게서요.

    그런 조그만 주택까지 세세하게 현황파악이 안 돼 있을 듯 해 문의하기 주저됐는데요.
    일단 해당지역 건축과에 문의부터 해야 겠습니다.

  • 6. 큐빅
    '15.12.14 12:33 AM (182.221.xxx.20) - 삭제된댓글

    이 사이트는 모순이 많네요.
    뇌물 받은 공무원들의 비리는 우후죽순 비판의 소리를 내세우면서 정작 개개인은 불법과 타협하려고 하는군요.
    나라를 욕하기 전에 본인의 과오부터 뒤 돌아보시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8034 올드싱글님들 많이 계신가요? 4 노안공주 2013/03/09 1,301
228033 속이 너무 안좋은데요. 2 2013/03/09 1,013
228032 칭찬에 대해서, 영화 분노의 윤리학 인터뷰 보다가 오려옵니다. 2 ........ 2013/03/09 1,048
228031 영어 해석 하나만 부탁해요. 4 최선을다하자.. 2013/03/09 596
228030 대구를 이룬다 라는 뜻이 뭔가요? 4 오늘하루 2013/03/09 4,351
228029 햄버거 보관 어떻게 하세요? 3 버거킹 2013/03/09 5,481
228028 면접 볼때 정장 아닌 깔끔한 복장 어떤게 좋을까요?? 6 .. 2013/03/09 8,158
228027 진주맛집추천해주세요 6 자유 2013/03/09 3,273
228026 세부 싸게 가는 방법 4 뭔가요? 2013/03/09 2,964
228025 강남에 게찜/게무침 4 2013/03/09 836
228024 스타킹 사이즈가요... 6 알려주세요 2013/03/09 2,091
228023 노래제목 좀가르쳐주세요 3 궁금 2013/03/09 642
228022 빈말이라도 칭찬해야 하나요? 13 - 2013/03/09 3,330
228021 불펜 민주당 지지자와 안철수지지자 싸우고 난리 났네요. 13 ... 2013/03/09 1,762
228020 다정한 아들 6 6세 2013/03/09 1,559
228019 임신 아니면 폐경? 10 산부인과 2013/03/09 2,890
228018 하프클럽에서 판매하는 옷은 다 괜찮은 브랜드인가요 2 .. 2013/03/09 2,319
228017 서울 숙박할곳이요 (가족어른2아이2) 11 어머 2013/03/09 3,006
228016 게가 넘먹고 싶어요.. 2 강원도 사시.. 2013/03/09 907
228015 월요일 조조로 볼 영화 추천해주세요 16 혼자 2013/03/09 1,804
228014 김포공항 국제선은 다른세상 6 띠어리 2013/03/09 4,021
228013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 정말 아무도 걱정을 안하고 있다는 생각이 .. 36 세레나데 2013/03/09 3,978
228012 맘먹으면 조금씩 바뀌나봐요. 4 노력하고 2013/03/09 1,630
228011 다양한 신발수선 어디로 가야할까요? 1 어디? 2013/03/09 995
228010 딸내미의 놀라운 드럼 실력 1 라익 2013/03/09 1,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