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풍속: 지방서 전세버스 결혼식 올라 올때...

개혼 조회수 : 1,558
작성일 : 2013-02-20 23:16:36

오랫만에 개혼이라 잘 몰라서 여러분께 여쭈어 보아 달랍니다.

신부 집안 지방이라서 (버스로 3시간 거리) 하객들이 전세 버스로 올라 옵니다.

예식후 내려 가시는 버스 안의 음식은 서울에 있는 신랑측에서 해야 하나요? 신부측에서 해야 하나요?

음식은 무엇이 좋은가요?

폐백시 집안 친척이 무지 무지 많습니다.

요즈음은 친척들 한꺼번에 폐백 받으시는 것이 어느 정도 용인이 될까요?

근래 혼사 치루신 분 들의 고견이 듣고 싶습니다.

IP : 124.56.xxx.6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2.20 11:27 PM (110.14.xxx.164)

    신부집에서 음식 다 준비하지 않나요
    대신 신부측 식대를 신랑측에서 내준다거나 뭐 그런식인거같아요
    폐백은 많으면 시부모님 , 형제들 같이 , 시아버지 형제분들 한꺼번에 받던대요
    사촌도 받는지는 모르겠고요 서너번 정도면 될거에요

  • 2.
    '13.2.20 11:32 PM (218.154.xxx.86)

    신부집안이 지방인 경우
    시부모님이 결혼식장 식대를 부담하시거나
    버스 대절비와 간식을 부담하시더라구요.
    저희도 시부모님이 버스에 간식 넣고 결혼식장 비용 전체를 부담하시겠다고 하셨는데
    남편은 3번째 혼사이고, 저는 개혼이라
    버스 대절한 것인데도 저희 쪽 하객이 너무 많았어요.
    그리고 친정 아버지가 식대는 각자 계산하는 것으로 하자고 그러셨지요.
    버스에 간식은 출발지에서의 간식은 친정에서 넣고,
    결혼식장에서 되돌아오는 간식은 시댁에서 넣어 주셨어요.
    식대는 각자 하되, 결혼식장이 지방이라, 호텔도 아니었고, 그냥 토탈로 계약한 거라, 식대를 제외한 나머지 식장 비용은 전부 시아버님이 결제하셨네요.

    폐백 다 받으면 그 날 신부 신혼여행 가는 게 아니라 병원에 입원해야할 껄요...
    저희는 시부모님 한 번, 시아버님 형제자매 전부 앉으시고 또 한 번, 시어머님 형제자매 전부 앉으시고 또 한번, 남편의 형제자매 전부 앉고 또 한 번, 도합 4번 절했네요.
    시부모님에게 절한 뒤, 시부모님이 친정부모님도 앉아서 새신랑신부 절 한 번 받으시라고 권하셨구요.
    친정 부모님은 그냥 마다하셨지만, 권해주셔서 감사했어요...

  • 3. ...
    '13.2.20 11:33 PM (222.237.xxx.108)

    원래 움직이는 쪽 집안 식대를 안 움직이는 쪽에서 계산합니다.
    먼저 그쪽에서 차량 간식이나 술을 준비하겠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구요..말 없으면 혼주가 따로 준비하시더군요..혼사라는게 그래요..남들 어떻게 해나 궁금할 수 있지만 젤 좋은 방법은 직접 서로서로 물어보면서 하는 거죠. 어자피 식구될 집인데 서로 서로 베풀고 양보하면서 더 사이가 돈둑해질 기회도 되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4386 삼생이 성인역의 연기자.. 얼굴이 너무 부담스럽네요. 15 .. 2013/02/27 2,909
224385 신세계 영화요 4 신세계 2013/02/27 1,471
224384 야채하나도 없이 된장찌개끓이면.. 14 데이 2013/02/27 4,032
224383 급질! 브루마블할때요 통행로낼돈없으면? 4 어색주부 2013/02/27 1,590
224382 갤럭시s2 0원짜리 떴네요 8 ss 2013/02/27 1,958
224381 미나리... 7 초보 2013/02/27 1,111
224380 증상 문의 드립니다 2 4ever 2013/02/27 481
224379 유류분 청구해서 땅으로 받았는데 등기안하고 바로 줄수있나요? 2 아줌마 2013/02/27 1,286
224378 수입이 끊기면 난 몇달을 버틸까? 1년은 가능할까? 5 월급쟁이가정.. 2013/02/27 2,199
224377 저학년 사고력 수학 꼭 필요한가요? 선배님들 댓글 좀 11 2013/02/27 12,991
224376 치과 신경치료요,,, 13 엉엉 2013/02/27 3,092
224375 미역국에 곰피 넣어도 될까요 3 곰피 2013/02/27 1,572
224374 베스트에 아까 교사 그만두신다던 글 24 ?? 2013/02/27 4,788
224373 예단을 받기로 했는데요 7 고민 2013/02/27 2,356
224372 현미, 전기밥솥에 하려면 꼭 하루정도 불려야하나요? 11 밤안개 2013/02/27 3,402
224371 은행 다니시는 부운~장애인은 생계형저축 들 수 있나요? 2 질문 2013/02/27 997
224370 이사 세잎이 2013/02/27 325
224369 남편하고 여행 갈 때는 패키지가 편하더라구요 7 zzz 2013/02/27 2,639
224368 프린터 처음살때 들어있는 2 .. 2013/02/27 540
224367 포도씨유 넣는 간단한 식빵레시피 좀 찾아주세요. 3 30분째 검.. 2013/02/27 663
224366 고입 검정고시에 대해 아시는 분...고득점을 원하는데요. 18 중딩맘 2013/02/27 4,222
224365 초5자습서 어디걸로 구입하세요? 3 초5 2013/02/27 707
224364 필요한 정보 알고나면 글 지워버리는 사람들 8 ... 2013/02/27 1,219
224363 비싼 도자기 깨진건 뭘로 붙이면 되나요? 9 도자기 2013/02/27 7,179
224362 회사에서 개인적인일로 복사기 많이 쓰는직원 4 초보경리 2013/02/27 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