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식조리기능사 많이 어렵죠..??

수니짱 조회수 : 2,149
작성일 : 2013-02-12 17:16:33

   결혼한지 5년 가까이 되었는데 여전히~솜씨는 별로 안늘고 그렇다고 음식이 그닥 맛있지도 않아요..

   제가 몸이 안좋아서 한달에 한번씩 병원에 가는 상황이라 자연식 위주로 많이 해먹어야 하는데

   딱한번 김치담그기 문화센터 프로그램에 간적 있었거든요....근데 그닥 늘지도 않더라고요..

   기초가 부족한데 욕심만 많은것 같고 칼질도 그닥 능숙하지도 않아서 너무 실망스러워요..

   나중에 시골 촌집으로 가게 되면 혼자서 음식도 해먹고 효소나 이런것도 담궈야 할것같은데..

   봄학기 문화센터 프로그램을 보니까 새내기요리랑 사찰음식 강의가 있더라고요...

   이걸 신청한 이후 한식을 한번 배워봐야할까요..?? 아님 한식부터 배운 이후에 문화센터에 다녀야할까요..??

   울 형님은 단번에 합격하셨던데..ㅠㅠ..많이 어려웠다고 하더라구요..울 형님 ..원래부터 손재주가 있으셔서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하고요..

   필기 이후 실기 맞죠..?? ...휴...자격증 있으신분들 부럽습니다......

IP : 1.254.xxx.22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해서
    '13.2.12 5:27 PM (180.182.xxx.153)

    조리사 자격증과 요리솜씨는 전혀 상관없어요. ㅠㅡㅠ

  • 2. ..
    '13.2.12 5:29 PM (121.153.xxx.229)

    맛내기를 배우시려면 조리사보다는 그냥 생활요리? 이런걸 배우셔야 할것 같아요.
    자격증도 따놓으면 뭔가 요리의 기본이랄까 그런 기술은 익힐수 있지만 맛내기랑은 거리가 멀거든요

  • 3. 자격증 과정이 기초라
    '13.2.12 6:35 PM (121.190.xxx.242)

    먼저 하고 생활요리 배우는게 효과적이예요.
    거꾸로 한 입장이라서 후회되거든요.
    자격증 딴 다음엔 책보고 대충 얘기 들어도 무슨말인지 감이 잡히거든요.
    기초를 단단히 하는거라 가르치는 대로 하는 초보들이 더 잘 붙어요.

  • 4. one_of
    '13.2.12 7:42 PM (121.132.xxx.169)

    실기는 맛과는 아무런 관계 없어요. 공식 대로인 동작을 얼마나 정확히 하는가가 핵심이지.
    자격증과 요리솜씨가 별 관리 없는 것은 사실인데, 만약 요리가 정말 초짜시면 멘땅에 헤딩하는 것보다 자격증으로 동작이나마 정확히 익히는 것이 낫습니다.

    이럴때 제대로 된 동작을 한번 익혀두면 나중에 두고두고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1213 성형하신분들께 여쭤봐요. 4 .. 2013/02/19 1,380
221212 싹 난 고구마 먹어도 되나요? 3 .. 2013/02/19 2,984
221211 노트2 50만원초반대면 괜찮은거겠죠? 5 스노피 2013/02/19 1,409
221210 월세 수리비 부담-집주인, 세입자 15 월세 2013/02/19 8,688
221209 드럼세탁기, 세탁끝나고 튜브에 물 고이는게 정상인가요? 3 ... 2013/02/19 767
221208 서운한 점은 당사자에게 말을 안하는게 좋은가요? 서운하다. 2013/02/19 654
221207 배두나 짐스터게스와 열애설 9 진홍주 2013/02/19 6,037
221206 활동하시는분 계세요? 아마추어 오.. 2013/02/19 427
221205 급여 인상시에.. 5 급여 2013/02/19 913
221204 국민연금 임의가입 해지 해야하나요? 6 ? 2013/02/19 2,422
221203 포트메리온 가격괜찮은가 봐주세요. 1 살빼자^^ 2013/02/19 815
221202 요새 제가 쿡스리 라는 생선구이기에 꽂혔어요. 1 엽기공주 2013/02/19 1,454
221201 마르쉐 롯데월드점 없어졌나요? 2 외숙모 2013/02/19 945
221200 삐용이(고양이) 중성화 수술하고 왔어요. 12 삐용엄마 2013/02/19 4,212
221199 출산후 모유수유 중..다이어트 어찌 해야 하나요? 5 다욧 2013/02/19 1,343
221198 익히지 않은 배 먹어도 기침에 효과가 있나요? 3 기침 2013/02/19 857
221197 환불안해줬던 가구회사 어찌할까요? 구매자 2013/02/19 614
221196 겨울 등산 도시락 어떻게하죠? 5 추워요. 2013/02/19 8,501
221195 오피스텔 전세 부동산 수수료는 얼마인가요? 1 수수료 2013/02/19 706
221194 청남방 연청 or 진청 어떤게 이뻐요? 5 뭘 사야하나.. 2013/02/19 1,347
221193 다이어트 중인데요.. 밥 안먹어두 될까요? 9 ^^ 2013/02/19 2,159
221192 홈쇼핑서 사도 괜찮은가요? 5 스마트폰 2013/02/19 1,685
221191 이제 먹어도 될까요?? 4 회!! 2013/02/19 751
221190 모르는 번호들로 전화가 오는데 어떡하죠? 8 82 2013/02/19 2,839
221189 딸이 7번방의 선물 나오는 애랑 닮았다는데.. 4 .. 2013/02/19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