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드신 경상도분들께 질문 좀 드립니다. (음식관련)
설명을 드리면 좀 알수있을까요?
제가 초등학교 시절 명절에 제사지낸후에 먹던 음식이에요..
국인데,콩나물,무,갈은 깨가 들어있었어요.
근데 그 깨와 무가 얼마나 고소했던지요.
무는 네모나게 자른게 아니고 콩나물같이 길쭉길쭉하게 들어있었어요
인터넷에 나오는 무콩나물국하고는 맛이 틀려요..조리법도 다른 것 같구요..
무를 볶고 국을 끓인 것인지 그 깨 맛과 어우러져 맛있었다는 기억만 있어요
이게 제사때 필요한 국이어서 남은 음식을 먹었던 것인지는 모르겠어요
중학교이후로는 할머니도 돌아가시고 더이상 가지않아서 그 이후로 먹어본적이 없어요
무엇인지 어떻게 만드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1. 겨울
'13.1.30 11:05 AM (210.105.xxx.212)그거요 무하고 콩나물하고 같이 넣어서 뽁아서 물 약간넣고 국간장넣고(약간) 간은소금으로 하고 뚜껑닫고
은은한불로 끊입니다,,어느정도 끊고나면 참기름 넣고 깨를 빻아서 넣슴니다 여기에 제사때 그리 해먹대요
경남 봉하마을근처2. ..
'13.1.30 11:05 AM (1.225.xxx.2)그거 제사 지내고 난 다음에 젯상에 올리는 무나물하고 콩나물하고 다 섞어서 멸치 다싯물 더 붓고 끓인거에요.
3. ..
'13.1.30 11:06 AM (1.225.xxx.2)제사 음식이라 마늘은 안 들어가요.
4. ...
'13.1.30 11:06 AM (211.179.xxx.245)짠지국은 아니죠?
울엄마는 깨는 안갈아 넣어시던데 ㅎ5. 추억
'13.1.30 11:07 AM (218.158.xxx.209)아주 어렸을때 먹었던 기억만 있어요.들깨가루 많이 들어가서 약간 걸쭉하게 해서 저희집은 고사리 오뎅도 넣어 먹었던 추억이 있네요.그동안 잊고 있었는데...저도 만드는 방법을 알면 한번 해보고 싶네요.음식이란게..생각을 해보니 그 맛도 생각이 나면서 살던 집도 떠오르게 되는군요..
6. 저 알아요
'13.1.30 11:08 AM (182.209.xxx.42)무시나물 이라고 친정엄마 단골음식이에요
저희집에서는 소금도 약간 국간장도 약간 -너무 많으면 색이 거매져요
조리시 유의할 점은 절대 휘어으면 안된다는 거예요^^7. Jo
'13.1.30 11:08 AM (1.243.xxx.156)진작에 물어볼걸 그랬네요^^
볶을 때 그냥 기름에 볶나요?참기름은 넣어야 되나요?
생콩나물을 볶아야 된다는 거지요?8. ..
'13.1.30 11:10 AM (124.54.xxx.164)경상도 어르신은 아닌데 경상도 살고 있네요...
무를 채썰어 냄비에 참기름 넣고 들들 볶으세요..
소금 약간 넣으면 간도 배고 좋아요...
살짝 밀쳐놓고 옆에 콩나물도 참기름 넣어 볶아요...
자리가 비좁으면 한쪽에 콩나물 얌전히 놓으시고 물은 재료 높이 정도로 넣고 끓여요..
참기름 넣고 잘 볶아야 뽀얀 국물 나오고요..기름 안뜨고...
나중에 간 하시고요...
깨소금은 마지막에 넣으시고요...
따로 국그릇에도 올렸던 거 같아요...
토박이가 아니라 본대로만 전해드리네요..9. 저도
'13.1.30 11:14 AM (58.226.xxx.111)경상도인데요..
무를 참기름에 볶는게 아니구요
콩나물하고 무 채썰어서 국으로 끓이는거에요..
물은 국치고는 적게 잡구요..
그래서 그위에 참깨 갈은걸 올리는거죠..
젯상에 올릴때..
다른 나물처럼 건더기만 건져서 그 위에 참깨를 뿌리시던데요
저희엄마보니까10. 겨울
'13.1.30 11:16 AM (210.105.xxx.212)참기름 들어감니다
11. ...
'13.1.30 11:18 AM (119.197.xxx.71)먹고싶네요. 저는 추울때 거기에 청양고추랑 굴 좀 넣어 얼큰하게 만들어서 국밥으로 해먹거든요.
저희집도 경상도인데요.
무를 채썰어서 참기름이나 기름 조금 넣고 오래 볶아요. 그래야 달거든요. 무에서 물이 나와 자박해지면
거기에 다시육수 붓고 끓으면 콩나물 넣고 끓여요,
조선간장이랑 소금으로 간하고 먹기전에 깨소금 뿌리고요.
기름은 기호에 따라 쓰시면되요. 저희집은 엄마가 참기름만 넣으면 느끼하다고 식용유랑 섞어쓰셨어요.
넣어봐야 한두스픈이니 큰 차이는 없어요.12. .....
'13.1.30 11:18 AM (116.37.xxx.204)볶는집도 있고 안볶는 집도 있어요.
국물이 뿌옇다면 볶은거고요
맑으면 안볶은겁니다.
지금도 제사때 합니다.13. 앗
'13.1.30 11:23 AM (180.230.xxx.83)저희집도 볶지않고 물 자작하게 부어서 익히는데 그리고 제사지내후 밥비빌때 같이 비벼먹어요~~
14. ㅎㅎ
'13.1.30 11:23 AM (119.17.xxx.14)윗분들 설명처럼 하신후, 국물 자작할때 들깨가루 한 스푼 넣어서 약간 조리면 됩니다.
그리고, 무나물 콩나물을 각각 만든걸, 한 그릇에 돌려담아 놓으면, 국물이 흥건히 생겨요.15. .....ᆞ
'13.1.30 11:23 AM (116.37.xxx.204)볶으면 구수한 맛이고 안볶으면 시원한 맛입니다.
16. ocean7
'13.1.30 11:27 AM (50.135.xxx.33)제사때 젯상에 올리는 "탕국"이라고해요
참기름이 들어가고요 볶다가 물을 자박하니넣고 긇여요
조선강장으로 살짝 간을 하고요17. ㅡㅡ
'13.1.30 11:36 AM (210.105.xxx.212)경상도에는 제사때 그리 함니다
18. ocean7
'13.1.30 11:38 AM (50.135.xxx.33)아 ㅋㅋ
그러네요 ㅋㅋ
하도 오래되서ㅋ
그냥 제사식 나물같네요
맞아요 탕국은 무를 나박하게 썰고 소고기도 들어가고19. 콩나물
'13.1.30 12:00 PM (99.226.xxx.5)채썬무 그리고 냉이나물을 콩가루에 함께 버무립니다. 멸치랑 다시마로 맛낸 국물에 버무린 나물을 넣고 끓여 줍니다
간른 국간장으로 합니다. 죽음의 맛이죠. 냉이는 봄에만.20. 라맨
'13.1.30 12:12 PM (125.140.xxx.57)제사때 하는 음식 맞습니다.
1. 무 채를 썰되 너무 가늘지 않게 썹니다.(무의 파란 부분이 많을수록 단 맛이 나지요^^)
2. 콩나물을 무와 나란히 냄비에 놓습니다.
3. 소금을 원하는 양만큼 넣고 아주 뭉긋하게 오래 끓여야 맛있습니다.
무채를 너무 가늘지 않게 썰어야 하는 이유입니다.(깨져서 젓가락으로 안 건져질 수가 있어요)
물을 재료의 양에 비해 너무 많이 넣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 82에서 다룬 콩나물 국 맛있게 끓이기에서
콩나물의 양이 많아야 맛있다는 이유와 같습니다.
즉, 재료의 양과 거의 같은 양의 물을 넣어야 맛있습니다.21. 나물
'13.1.30 12:13 PM (118.37.xxx.171)제사 때 쓰는 나물이에요 엄마가 준비하셔서 잘은 모르는데 암튼 무가 달아야 맛있다는...무 잘 사셔야해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238569 | 친구가 폰분실했다고 술먹고 전화했네요 4 | ,,, | 2013/04/06 | 1,973 |
238568 | 기왕에 북이 핵을 갖고 있다면 9 | .. | 2013/04/06 | 1,274 |
238567 | 이 언니 왜이럴까요? 52 | ㅅㅅ | 2013/04/06 | 16,243 |
238566 | 원추리 신경써서 조리해야 하는 거군요 4 | 아이미미 | 2013/04/06 | 2,003 |
238565 | 코스코에 크록스 들어왔나요? 4 | ㅅᆞㅅ | 2013/04/06 | 1,389 |
238564 | 상하기직전 먹거리주는 시엄마 13 | 16년차 | 2013/04/06 | 3,338 |
238563 | 그것이 알고싶다 보세요. 10대 조건 사기단 포주들 나오네요 ㅠ.. 17 | ,,, | 2013/04/06 | 5,152 |
238562 | 오늘 국수가게에서.. 44 | .. | 2013/04/06 | 14,633 |
238561 | 사기를 못당한 이야기 4 | 흠 | 2013/04/06 | 2,076 |
238560 | 파스타 접시는 왜 그렇게 생긴 걸까요? 7 | ??? | 2013/04/06 | 2,869 |
238559 | 야밤인데 우리 자랑 하나씩 해요.. 166 | 자유 | 2013/04/06 | 11,837 |
238558 | 파란색 줄무늬(가로)자켓에는 어떤색깔이? | 줄무늬 | 2013/04/06 | 608 |
238557 | 빗댄다는 말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요? 3 | 초롱어멈 | 2013/04/06 | 606 |
238556 | 스미싱으로 대출까지…안드로이드폰이 더 위험 1 | .. | 2013/04/06 | 958 |
238555 | 검은 원피스에 자켓 2 | 옷못입는여자.. | 2013/04/06 | 1,934 |
238554 | 택배물량 어마어마하네요 4 | 대단지 아파.. | 2013/04/06 | 2,003 |
238553 | 일식 샐러드 소스 어떻게 만들어야 될까요? 3 | 소스 궁금 | 2013/04/06 | 2,700 |
238552 | 전쟁났을때-강용석의 고소한 19 [ 23회 ] 4 | 알아두면 좋.. | 2013/04/06 | 3,909 |
238551 | 결혼하고 싶어요 14 | .... | 2013/04/06 | 2,994 |
238550 | 자녀들 학원 보내지 마세요:어느 학원 강사의 양심선언 94 | 사교육 | 2013/04/06 | 21,090 |
238549 | 진짜 무임승차는.... 7 | ... | 2013/04/06 | 1,435 |
238548 | 심야 택시 단거리 갈 땐 어떻게 하세요? 3 | ~ | 2013/04/06 | 1,197 |
238547 | 이 노래 들으니 첫사랑이 마구 보고 싶네요... 3 | 첫사랑 | 2013/04/06 | 1,635 |
238546 | 결혼시 남녀의 신분(?) 차이에 대한 두가지 글. 2 | ㅇㅇㅇㅇ | 2013/04/06 | 2,181 |
238545 | (리틀스타님) 양배추 초절임이요 8 | 초절임국물 | 2013/04/06 | 2,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