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어공부는 너무 이른 때도 없지만 왕도도 없습니다.

singlist 조회수 : 1,666
작성일 : 2013-01-19 09:16:02

아래 영작에 관한 팁이라 해서 글 올렸던 사람인데요,

요새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격론이 한참 진행 중이군요.

빨리 하는 게 좋다, 늦게 해도 상관없다..

제 2 cents를 던져 넣어보자면..

왜 빨리 영어 공부 시킬 수 있는데 하지 않냐입니다.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배우는 데로 흡수가 되는 거라 어린 나이 때부터 하는 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영어 때문에 한국어도 버벅대는 바보로 만들지는 말아야죠.

어차피 어린 나이에 열심히 영어 공부시킨다고 해도 2-30대 대학생이나 professional이 되었을 때 접하는 방대한 양의 전문적인 지식을 흡수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괜히 한국어를 희생해가면서 공부시켜봐야 콘텐츠 없이 발음만 느끼한 바보로 만들기 쉽상입니다. 한국어 잘하는 아이가 영어도 잘합니다.

영어공부도 '적당히' 시켜야죠.

그리고 하기 싫은 애 억지로 붙잡아 시키는 짓도 하지 말아야죠.

우리애가 영어에 재미를 못 느낀다 싶으면 안 시키는 게 상책입니다. 모두가 영어를 잘해야 한다는 건 억지스러운 전체주의적인 사고입니다. 그리고 한국어

대신 영어를 잘 못하는 만큼 다룬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세요.

아무리 우리나라가 영미권에 사상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이 의존하고 있다 해도 못한다고 못 먹고 살 정도는 아닙니다. 성공의 기회도 많고요. 영어에 대한 집착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집착입니다. 영어잘하는 사람이 더 아는 게 많다는 건 미디어가 만들어낸 일종의 착시 현상이기도 하죠.

하지만 아무리 영어 잘 해봐야 콘텐츠 좋은 사람 못 이깁니다.

물론 둘다 잘하면 금상첨화겠죠. 이런 사람들이 대체로 성공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애 키우려면 애 잡습니다. 하나만 잘하게 하는 건 어떻게 해보겠는데, 둘다 잘하게 하면 애 빗나갈 겁니다, 아마.

본인이 원해서, 필요하다 느껴서, 영어든 기술이든 더 공부하고 싶게끔 만들어야죠.

그러기 위해선 차라리 돈 부어 영어 가르치는 것보다 아이가 그런 열정을 가질 수 있도록 인성을 키워주고, 부지런할 수 있는 기율있는 교육을 시켜야죠.

공부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왕도는 자신이 만들어가는 거죠.

고등학교 영어선생님의 길 또한 자신의 길입니다. 그게 적용되는 사람이 있고 안 되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공부 잘하는 사람의 공통 특징은 자신만의 공부법을 연구하고 개발하고 끊임없이 수정해 나간다는 겁니다. 전략적으로 사는 거죠.

아이가 스스로 전략을 짜서 영어를 공부할 수 있게 해주고 엄마 아빠는 옆에서 당근과 채찍을 가끔 활용하는 정도가 가장 좋지 않을는지요.

영어도 너무 과하게 어린 나이부터 애한테 맞지 않게 시키면 역효과만 납니다. 영어는 조금 하는데 한국어도 버벅대는 아이는 영어도 사실 깊게 이해하지 못할 뿐더러 콘텐츠도 흡수할 능력이 모자라서 이도저도 아닌 아이가 될 수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공부 방식이야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지 않나요. 자기한테 맞기만 하고 꾸준히 할 수만 있으면..

IP : 115.137.xxx.8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9 9:40 AM (119.202.xxx.99)

    영어 중딩부터 해도 잘할 수 있다. - 맞는말
    근데 그 사람이 유아때부터 했으면 훨씬 더~~~잘 했을거다. 그리고 힘 덜 들이고 쉽게 했을거다. - 맞는말

  • 2. 공부라는게
    '13.1.19 10:06 AM (211.234.xxx.128)

    어느정도 지식이 차올라있으면 그때부턴 가속도가 붙는거라서 초3이후에 급속히 빨리 습득되는건 맞는것 같아요.그이전엔 즐겁게 배워야 하는데 울나라 그게 안되니 문제인거고 돈이 많이 들어 문제인거지 빨리 시작하는 자체가 안좋은건 아닌듯..모국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건 논외로 하고요...

  • 3. 미루82
    '13.1.19 10:26 AM (112.153.xxx.97)

    적용되는 사람이 있고, 안돼는 사람이 있다. 동감입니다. 아이들이 다 내 바램처럼 움직여 주는건 아니니까요 .

  • 4. 맞아요
    '13.1.19 10:26 AM (110.1.xxx.228)

    빨리 시작하는게 문제가 아닌거 같아요,,문제는 빨리 시작하는데 어.떻.게 시작하고 같이 나아가느냐가 문제인거 같아요,,억지로 끌고 가느냐,,재미있게 함께 가느냐,,

  • 5. ..
    '13.1.19 10:44 AM (110.14.xxx.164)

    그러게요
    똑같이 가르쳐도 받아들이는 아이에 따라 많이 다른거 보면 답이 없어요
    근데 저도 15년간 가르친 우리 아이 보면..
    조금씩 유치원 무렵부터 익숙하게 해줄 필요는 있어요
    초등만 되도 아이가 쑥스러워서 표현력도 줄고 ...
    본격적인 공부는 초등 고학년에 시작하더라고요

  • 6. 정말 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13.1.19 10:59 AM (58.231.xxx.80)

    저희 시어머니가 그러더라구요 tv에 나왔는데
    산골에 할머니랑 단둘 사는 여자아이가 라디오만 듣고 영어 다 알아 듣고 유창하게 말도하더라고
    너희들도 학원 보내지 말고 미국 라디오 방송틀어 주라고
    산골에 사는 여자아이가 라디오만으로 영어 성공했다고 니들도 라디오만 들으면
    성공한다고 강조해서 좀 답답했어요

  • 7. singlist
    '13.1.19 12:58 PM (116.127.xxx.114)

    크레이그리스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사이트네요.

    네 밑에 분 말씀하신대로 피나게 공부하지 않으면 영어 아무리 일찍 깨우친다 해도 소용없습니다. 겉멋만 들고 자만하게 되죠.

    애기 때 배웠든 나이 먹어서 배웠든 머리 싸매고 공부해야 영어도 잘합니다.

    미국애들도 중고등학교 대 공부열심히 안 한 애들 글쓰는 거 보거나 어휘력 보면 정말 웃음도 안 나옵니다.

    결국 아이들의 initiative가 중요하죠. 시킨다고 다 되는 거 아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460 의사얘기 지겹다 7 ... 2013/02/04 1,294
214459 아마존 직구로 DVD 구입해신 분께 여쭤봅니다. 3 해피베로니카.. 2013/02/04 1,567
214458 (방사능)"보도의 자유"일본 53 위에 크게 .. 1 녹색 2013/02/04 565
214457 형이 졸업하는데 동생은 학교에 가요 3 졸업식 2013/02/04 935
214456 국정원 여직원처럼 '대선 개입' 또 다른 인물 있다 17 세우실 2013/02/04 1,017
214455 해찬들 고추장 삿는데 맛이 없어요ㅠ 3 부자살 2013/02/04 1,453
214454 여기에 친정 넋두리 좀 해도 될까요......? 3 SJ 2013/02/04 1,365
214453 호빵에서 이물질 나왔어요 2 이물질 2013/02/04 801
214452 비염 식이요법 반년째. 1 하얀공주 2013/02/04 1,099
214451 불쌍한 DKNY 수술해야할까요? 9 ... 2013/02/04 2,091
214450 주식은 결국 증권사 수수료 벌어주기네요 3 ... 2013/02/04 1,455
214449 초딩 아이들과 하루 다녀올 수 있는 기차여행 추천해주세요~ 3 기차여행 2013/02/04 1,345
214448 내딸 서영이.. 장지갑 어디꺼죠? 1 볼수록 예뻐.. 2013/02/04 1,738
214447 실직한 남편을 바라보는 나의 심정 6 팔자라는게 .. 2013/02/04 4,360
214446 17개월 딸아이 튜튜스커트 아래 레깅스색상? 6 열매사랑 2013/02/04 634
214445 무식한 질문이지만 용기내서 질문요. 2 ... 2013/02/04 1,078
214444 스마트폰 유심번호 등록 어떻게 하는거죠? 갤3입니다 4 초보 2013/02/04 889
214443 눈꼬리쪽 눈커플이 떨려요 ? 어느병원가야해요? 4 40 2013/02/04 887
214442 박근혜 탄핵 카폐 벌써 수십개 12 취임전에 2013/02/04 1,946
214441 권성동 ”이동흡, 직권상정해서라도 국회표결해야” 1 세우실 2013/02/04 409
214440 눈 많이 와서 어린이집 차량 운행 안 한 곳 있나요?? 4 ... 2013/02/04 789
214439 영어캠프 보내보신분 어떤가요? 1 질문 2013/02/04 683
214438 살기좋은 도시순위 아이셩 2013/02/04 1,310
214437 다빈치코드는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죠? 7 소설 2013/02/04 2,088
214436 담임샘께 선물을 해야할까요? 11 초등 2013/02/04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