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동기 부여와 공부 희열도 중에서

공부 조회수 : 1,528
작성일 : 2012-12-29 00:05:54
고봉익씨 강의를 들은 적이 있어요
그 분은 공부 잘 하는 아이들의 공통점을 찾아보았는데
1위가 공부 희열도라고 하네요
꿈이 확실히 정해지지 않아서 동기 부여는 약 했어도
공부희열도가 있는 애들은 확실히 공부를 잘 한다는 겁니다
왜 공부를 해야 되는지보다 공부하고 나면 좀더 알게 됐다는 기쁨, 성취감 이런게 크다는 거지요
공부 희열도는 타고날 수도 있지만 부모의 양육 방식으로도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한다고 해요
근데 동기 부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은 듯 해서 여쭤봐요
공부 잘 하셨던 분들은 어떤 요소로 공부를 잘 했던 거 같습니까? 매일 복습하는 습관? 시간 관리 능력?

저는 저 자신을 스스로 관리하는 능력은 떨어졌지만 일단 공브늘 하고 있으면 공부가 재밌었어요 즉 저도 공부희열도가 제일 큰 요소였던 거 같아요
다른 분들 얘기도 듣고 싶어요 만약 동기 부여가 제일 중요하다면 그 방법도 배우고 싶습니다.
IP : 220.85.xxx.3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Uyp
    '12.12.29 12:10 AM (119.207.xxx.160)

    좋은글 잘읽었어요

  • 2. 꾸룽내
    '12.12.29 12:15 AM (1.177.xxx.33)

    중학교떄는 십대의 치기때문에 잘했구요.
    그때 이상하게 난 너희들과 달라.난 잘놀고 공부도 잘하고 그런 멋진 여자애야.그런 치기가 엄청나게 강했던것 같아요.
    그래서 학교에서 애들과 잘놀고.집에서 그 시간을 보충해서 또 하고.애들이 와 너 멋지다 그럼.뭔가 세상을 다 얻은것 같고..그게 일종의 동기부여일수도 있겠네요.
    사춘기때 한창일때...그게 공부쪽으로 치기가 발달한게 다행이라면 다행인가 싶기도 하네요.

    고딩때는 수학과학만 공부희열도가 컸어요.상대적으로 국어는 낮았구요.영어는 쏘쏘.
    공부희열도도 맞는 말이지만 모든 아이가 모든 과목을 다 희열감을 가지고 하기는 좀 힘든부분이 있을거라 생각해요.
    자신과 맞는 과목이란게 잘하는애 못하는애 다 있거든요.


    갠적으로 공부희열도가 큰 과목이 수학이라고 생각하고요.
    그담이 과학..
    이건 순전히 저의 기준.
    수학은 원리대로 풀려서 답이 짜짠하고 나오면 감동이 오잖아요
    상대적으로 사회나 국어같은경우는 그런게 좀 덜하고.
    그러나 성향이 모두 다르니 사람마다 다를거라 생각해요.
    이건 순전히 제기준..ㅎㅎ

  • 3. 한국적 학습 분위기에서
    '12.12.29 12:19 AM (99.226.xxx.5)

    공부 희열도는 조금 왜곡 되기 쉬워요.
    보통은 성적으로 평가되고 등수로 나오니까요.
    문제도 사지선다형이 압도적이니까요.

    따라서, 점수가 잘 나오면 그것에 대한 보상이 따르거나, 친구들이 좋아한다던가, 뭔가
    삶의 질이 높아지는 듯하다 싶어 점수나 등수에 관심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동기부여가 그래서 제일 중요하다 싶네요.

  • 4. 공부
    '12.12.29 12:25 AM (220.85.xxx.38)

    그렇군요 과목별로 공부희열도 여부가 달라지겠군요
    저는 수학 물리쪽은 전혀 희열을 느끼지 못했네요

    그리고 저도 난 공부 잘 하는 애야라는 저 스스로 내린 정체성도 한 몫 한 거 같애요 미래에 뭐가 돼야겠다는 없었어요 열심히 하면 뭐라도 하고 있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이었죠

    그러고보니 그 한계는 대학 이후에 왔군요
    공부희열도는 좀 있어서 대학은 어찌 어찌 갔지만 뚜렷이 뭐가 되고 싶은 게 없어서 대학 때와 졸업 이후에 방황을 했구나 싶네요
    아.. 그래서 사람들이 동기부여, 꿈 이런게 중요하다고 하는구나.. 제가 제 댓글 달면서 답을 얻게 되네요^^
    긴 인생을 놓고 봤을 때는 목표 꿈 동기 이게 더 중요한 요소이겠다 싶네요

  • 5. 행복한봄
    '12.12.29 12:51 AM (1.224.xxx.77)

    과외 하는데..영어 dictation 같은 교재를 6학년과.. 중 3한테 줬어요.. 실력은 비슷하구요.. 6학년은.. 어려운 교재임에도 dictation 완벽하게 다 맞아와요.. 중 3은 대충 쓰다가 하는 둥 마는 둥.. 다 틀려요..
    그래서 6학년 아이한테 어떻게 이것을 다 맞을 수가 있니.. 교재가 쉽니? 하니까.. 집에서 씨디를 정말 몇번을 돌리고 돌려서.. 풀어 온거라고 하더라구요.. 근데 중 3 학생은.. 좀 하다 어려우면.. 그만둬요..

    6학년 아이는 전교 1등 하는 아이에요.. 중 3 아이는 반에서 중상위권 정도..

    공부 잘하는 애들은 확실히 달라요.. 성취의 기쁨.. 그리고 무엇보다 욕심이 있구요.. 이기적인 아이들도 종종 있기는 하지만..

  • 6. 와락!!
    '12.12.29 12:57 AM (59.16.xxx.47)

    일상의 작은 성공에서 기쁨을 느끼는게 희열의 시작인것 같아요
    그리고 주변의 잘한다 잘한다라는 칭찬 또한 당근이 될수 있고요

    그런 작은성공이 자존감을 높이고 결국은 슬럼프에서도 다시 재개하게 하는 것 같아요

    희열도나 동기부여나 무엇이 되었든 둘다 행복바이러스 인것 같습니다

  • 7. 공부희열도...
    '12.12.29 4:17 AM (112.150.xxx.4)

    첨 들어보는데..
    전 문법(국어),한문,고문 쪽이었네요.
    그래서 국어만 전교1등했었어요...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4769 신경외과 정보가 없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늘향 2013/01/08 952
204768 1월 8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3 세우실 2013/01/08 584
204767 컴퓨터에서 사이트 열 때 스피드윈도우라고 뜨는 것. 1 두혀니 2013/01/08 564
204766 우리나라 IMF가 삼성자동차 때문이라고 하던데.. 11 제가 잘 몰.. 2013/01/08 3,758
204765 우래옥 육개장 어떻게 끓이죠..(외국ㅠ)?? 1 보라육개장 2013/01/08 1,071
204764 집에서 할 수 있는 어깨 운동? 2 아파요ㅠ 2013/01/08 861
204763 서초48모임이요~^^ 관악강남동작 모두 환영 15 지지지 2013/01/08 1,803
204762 케이준 파우다 대용양밖에 없나요? 2 찡찡이 2013/01/08 679
204761 제가 몰라서요 과외ㅡ급해요 13 예비고1 2013/01/08 1,828
204760 [건의] 모바일 로그인 유지기능 부탁드려요 2 마음씨 2013/01/08 661
204759 광고 잘 나왔어요... 출근하면서 한 부 사 갖고 왔어요. 7 한겨레 2013/01/08 1,663
204758 만약 해외여행.. 10 ... 2013/01/08 1,829
204757 성남시 사태 서명하기로 해요. 7 새누리박살 2013/01/08 1,323
204756 주방 렌지 후드의 소음은 숙명인가요? 6 알고 싶어요.. 2013/01/08 6,064
204755 박세리선수 집 수영장, 호텔 수영장, 외국 집 수영장,, 왜 수.. 3 .. 2013/01/08 6,132
204754 안중근처럼 지금 여기서 거짓언론과 맞서야 한다 2 샬랄라 2013/01/08 545
204753 안산에 (아니면 서울) 점 잘 빼는곳있으면 추천부탁합니다. 1 복받으실거예.. 2013/01/08 3,025
204752 초등수준 영어해석 질문 ^^ 고맙습니다. 4 영어 2013/01/08 726
204751 이것도 사기인지 봐주세요 11 국민은해 2013/01/08 3,037
204750 중학생 아들 바지는 어디서 사시나요? 3 모과향 2013/01/08 1,288
204749 7에서 8천차이나고 10년더 된 아파트라면? 2 ... 2013/01/08 1,174
204748 장이 좋아지는 습관 있을까요? 3 후라이 2013/01/08 1,988
204747 (속보)삼성전자 실적발표,2012년 연간 영업이익..30조.헐 12 zh.. 2013/01/08 4,512
204746 모임장소 추천 1 모임장소 2013/01/08 707
204745 '사랑했나봐' 아이가 어떻게 바뀌었나요? 7 아침드라마 2013/01/08 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