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체고, 체대에 대한 것과 그 이후의 진로를 알고 싶어요.

아들 진학고민 조회수 : 4,599
작성일 : 2012-12-22 08:54:10

이 와중에 이런 고민 적어 죄송합니다.

날씨까지도 흐리네요. 예전부터 이 고민을 쓰고 싶었으나 미루다 미루다

이제야 적습니다.

아들이 이제 중3 올라갑니다. 중상정도 합니다.

아뭏튼 중1 겨울방학부터 복싱체육관을 다니기 시작했어요.

이제 딱 1년 되가네요. 순전히 취미로요.

우리 애 체구는 그냥 가는 편입니다. 전혀 운동과는 관계없는,  생긴것도 그냥 말끔하게 생긴..

 

근데 이게 너무 재밌답니다.  단 하루도 결석하지 않고 너무나 열심입니다.

아마 영수학원을 그리 열심히 다니면  전교 1등 했을거에요.

그러면서 체육관에서 소소히 무슨 대회 같은 것도 참가하고요.

그러면서 서서히 이 길로 가고 싶어하는게 보여요.

근데 사실 어떤 부모가 이걸 찬성하겠어요?

어제도 가만 보니 체육고 진학을 해서 체육대 가고 싶다, 그리고 국가대표 되고 싶다.

- 직접적으로 이렇게는 안했지만 제가 짐작해보기에-

사실, 저도 인문계고에 진학해서 밤10시까지, 보충수업, 야자 등등을 이 애가 이겨낼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가끔 들고, 저 역시 학창시절을 공부외에 뭘 해본 적이 없어

오히려 하고싶은 것 하면서 사는것도 좋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그래도 복싱은 얼마나 위험한가요, 기절도 하고 쓰러지기도 하고, 온통 얼굴이 깨지기도 하고..

 

체고 교육과정은 어떻게 되는가요?

그리고 체육학과 졸업 후 진로들은 어떻한가요?

엄마가 무얼 알아야 애에게 적절한 조언을 하고, 또 대비도 할텐데

체육쪽으로는 너무나 문외한이라서 이렇게 글 씁니다.

애 아빠는 아예 얘기도 못꺼내게 할 정도로 극심한 반대라 아빠에게는 감히 얘기도 못합니다.

 

애들을 대학에 보내보신 분들의 현명한 조언 많이 기다립니다.

 

IP : 120.29.xxx.20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일반적인얘기
    '12.12.22 10:02 AM (116.37.xxx.204)

    체고, 체대는 모르지만 입시얘기하고 싶어서요. 앞으로 얼마나 달라질지 모르나 예체능은 이름날정도 아니면 생활인으로서 생각하는게 나을겁니다. 체대도 선수아닌 아이들 많아요. 생활체육인거지요.
    좋은대학 체대는 실기보다 성적이고요. 그런면에서 일반고 다니면서 공부하길 권해요. 좋은대학 체대 떨어진 애들 실기보다 성적문제였어요.

  • 2. 사탕별
    '12.12.22 10:05 AM (39.113.xxx.115)

    아는 애가 한국 체대 나왔습니다
    지금 31살이 넘었고 학교 선생님 하려고 지금까지 시험치고 있지만 계속 떨어지고
    여전히 백수 이고
    학교때는 운동만 했고 막상 졸업하니 배운게 없어서 시험을 몇번을 떨어지는지 몰라요

  • 3. 취미니까
    '12.12.22 10:19 AM (61.73.xxx.109)

    그게 취미니까 재미있지 정말 선수가 되려면 공부보다 더 열심히, 공부보다 더 긴 시간 운동에 매달려 있어야 되니까 취미일때 재밌어 하는 것과 선수훈련을 견디는건 차원이 다르답니다
    그리고 국가대표 하는 아이들은 운동 하는 아이들 중에서 정말 상위 1% 미만의 아이들이고 체대 졸업한 대부분의 아이들은 진로가 참...막막한 편입니다
    동네 스포츠센터 강사, 체대 입시학원 운영 이런쪽 일 많이들 하는데 박봉이고 안정적이지 못한 강사일 하는 아이들이 대부분이죠

  • 4. ...
    '12.12.22 12:48 PM (39.113.xxx.36)

    저는 남편이 그쪽계통에 있는데 지금정도의 상황이면 다시 생각해보시길 권합니다.
    보통 운동하는 애들은 초등학교 고학년이면 시작을 합니다.
    그렇게 시작해서 한길만 파도 사실 성공하는 아이들은 많지않습니다.
    특히나 비인기종목에다가 운동선수라면 부상의 위험은 필수로 갖고있는데 복싱은 그 특성상 더더욱. ..
    공부에 뜻이 없는 아이라면 차라리 특성화고를 알아보고 복싱은 체력단련이나 취미차원에서 하는게 어떨지 아이랑 잘 상의해보세요
    사실 우리가 살아보면 내가 하고싶은 일을 하고사는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내생활을 보장해주지못하면 그 의지가 얼마나 빨리 깨어집니까?
    남의 아이라면 하고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게 중요하다고 쉽게 말할수있지만 부모된 입장에서는 많은것을 생각하지않을수없습니다.
    저 역시 경우는 좀 다르지만 제아이와 진로문제로 갈등을 겪고있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 5. 감사해요
    '12.12.22 4:13 PM (120.29.xxx.208)

    체대 나와도 다들 막막하군요. 안정적인 직장과는 거리가 멀고요.
    자꾸 자기는 공부 스타일 아니다 고 해서
    저 역시 고등학교 3년 내내 서로 갈등을 벌이느니 차라리 지 좋아하는거 하는게 어떨까 하는
    잠시 섯부른 생각을 했네요.
    그렇다고 해서 안할려는 공부를 억지로 시킬 방도는 더더구나 없는데
    어떡하면 좋나요?
    저는 제일 부러운게 아이들이 엄마가 맞춰주는 학원, 스케줄 따라 군말 하면서도
    그래도 하는 척이라도 하는 거에요.
    지금 저희 애는 아무 학원도 안다니거든요. 심하게 거부해서 서서히 모두 끊었어요.
    그래도 성적은 고만고만해요, 학원 다닐때와 안다닐때 차이도 별 없고.
    학원비나 따로 적금 들어야겠어요. 다른 집들은 학원비에 허리가 휜다는데
    이거 좋아할 일인지 아닌지, 암담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0515 마트 인터넷몰에서 주류주문도 되나요? 3 주류 2012/12/26 954
200514 꼬마요리사 노희지 1 궁금 2012/12/26 3,041
200513 휘트니휴스턴 노래중 어떤걸 가장 좋아하셨어요?^^ 17 미호 2012/12/26 1,805
200512 코세척기 뭐가 좋을까요? 5 2012/12/26 2,646
200511 이사나가는날 할일좀 체크해주세요. 3 콩쥐엄마 2012/12/26 1,859
200510 지난해 직장인중 억대연봉자는 100명당 2명.2.3%... .. 2012/12/26 880
200509 중3이 볼만한 미드 추천 좀 해주세요 11 ㅇㅇ 2012/12/26 1,843
200508 배가 아파요 3 임신초기 2012/12/26 820
200507 (급) 4살 아들이 계속 토해요~ 8 에버그린 2012/12/26 2,101
200506 답답함-문재인되면 집값떨어질까봐 박근혜찍은 수도권50대분들 보세.. 9 기린 2012/12/26 2,395
200505 게시판에 적어 죄송한데 청풍명월님 연락 부탁 드립니다. 호박 2012/12/26 626
200504 문재인님 광고건 중요안건이라 링크 다시 올립니다 2 믿음 2012/12/26 1,178
200503 좌골신경통과 허리디스크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4 rose12.. 2012/12/26 2,458
200502 한국경제 - 민주 원내대표 김한길 추대로 가나 9 어떻게 생각.. 2012/12/26 1,773
200501 디지털 도어록 6 현관문 2012/12/26 1,319
200500 난방 안하고 버티시는 분들 59 더운나라로이.. 2012/12/26 16,738
200499 저도 지갑 한번 봐주세요~ 9 .... 2012/12/26 2,221
200498 부부모임에 다른 남편들 신경쓰여요 25 꾸러기맘 2012/12/26 8,877
200497 학원땜에 속상해서 올려요. 7 실망 2012/12/26 1,962
200496 여러분이라면 어떤 사이즈 하시겠어요?? 10 패딩 2012/12/26 1,127
200495 지갑 좀 봐주세요 ^^ 4 111 2012/12/26 839
200494 7000년전 인류 최고(最古)의 목조 건축물이 발견되었다고 하네.. 1 신기 2012/12/26 1,081
200493 낼 벙커 가시는분 미리 출첵해볼까요? 32 몇인분인지알.. 2012/12/26 2,133
200492 지난달 가스비 17만원 나왔는데 어떤가요? 10 아민 2012/12/26 3,480
200491 유지비 경제적인 프린터가 뭘까요 4 다람쥐여사 2012/12/26 1,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