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저녁을 견과류로 대신하는데요

.... 조회수 : 6,296
작성일 : 2012-12-04 12:52:38
요게 몸에 나쁘진 않겠죠?
대신 그냥 무염으로 구운것으로 먹어요.
여러가지 견과류로. 다른 음식 먹으면 꼭 더 배고파지는데
견과류 먹으면 폭식을 안해서 먹거든요.
양은 조금만 먹으려고 하는데 꼭 더먹게 돼요.
살뺄려면 조금만 먹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건 좀 힘들어요/
그냥 칼로리는 일반 식사랑 크게 다를것 같지 않아요.
견과류가 워낙 고칼로리라고 하잖아요.
참 야채주스하나랑 같이 먹어요

IP : 118.33.xxx.22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3
    '12.12.4 12:57 PM (211.189.xxx.250)

    저라면 샐러드에 견과류를 뿌려 먹겠어요^^
    건강을 생각하신다면, 갈아드시는 것보다는 직접 씹어드시는 것이 좋구요.
    샐러드에는 삶은 달걀을 곁들이시면 더 좋겠지요.

  • 2. ㅇㅇㅇㅇㅇ1
    '12.12.4 12:59 PM (218.152.xxx.206)

    전 안 먹다 먹음 엄청 맛있는데
    매일 조금씩 먹으라면 며칠있다 질리더라고요.

    몸이 필요로 할때 먹는게 저한테는 더 맞는것 같아서요

  • 3. 아..
    '12.12.4 1:12 PM (210.109.xxx.130)

    저는 오전 오후에 간식으로 먹어요.
    호두 아몬드 섞어서 먹는데 호두는 금방 질리는데 아몬드는 고소하고 씹는 맛도 있어서 안질리네요.
    저도 조금 먹어야겠다 싶은데 나도모르게 한주먹 쥐고 다 먹어버려요.ㅎㅎ
    그래도 몸에 나쁜건 아니니깐 하고 스스로 위로하네요..ㅎㅎ

  • 4. 세이버
    '12.12.4 1:28 PM (58.143.xxx.225)

    저도 허기질때 견과류 먹어요 ^^
    원어데이에서 행사할때 무염으로 호두랑 아몬드랑 캐슈넛 샀어요.
    그거랑 크랜베리 당절임한거 조금 섞어서 먹어요.
    근데 견과류는 많이 먹으면 그냥 배설되는걸로 알고 있어요.
    지방이 많이 든 음식 먹으면 그게 다 지방으로 몸에 쌓이는게 아니라
    과잉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이 지방으로 바뀌는걸로 알고 있거든요.

    우스개소리로 저희 엄마가 집앞 헬스를 다니셨는데 오전 시간을 아줌마 타임으로 정해놓구 좀 저렴한 비용으로 회원모집을 했어요. 그래서 또래분들이랑 운동하셨는데 트레이너분이 중년에 견과류는 필수라고 하셔서
    꼭 조그만 락앤락 통에 지참하고 다니시라고 했는데. 지인 아주머니가 아무리 운동을 열심히 해도 살이 안빠진다고 하셔서 식단 체크를 해드렸는데 ㅎㅎ 견과류 통이 도시락통 크기였다고 ㅎㅎㅎ
    조금씩 한줌씩 드시라는걸 도시락통에 넣고 다니시면서 틈틈이 많이~ 드셨다는..

  • 5. 오뎅
    '12.12.4 1:43 PM (211.44.xxx.82)

    저도 샐러드에 견과류 뿌려 먹는거 추천이에요 ㅋ
    다이어트 할때는 그만한 것도 없는 듯, 견과류 몸에 좋잖아요
    많이 드시지 말고 적당량 드세용~~~~~~
    윗님 웃기네요 ㅋㅋㅋ 견과류 통이 도시락통 크기 ㅋㅋㅋㅋ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8855 딸 자랑 33 아벤트 2012/12/07 4,498
188854 내가 가장 좋아하는 말 1 진정 2012/12/07 564
188853 은지원도 노이즈마케팅 하는 것 같아요. anne 2012/12/07 796
188852 김장할때 무채없이 갈아서 넣을때요.. 4 2012/12/07 2,298
188851 주식이란게 공부하면 되긴 하나요? 16 . 2012/12/07 4,597
188850 음악적재능이라는건 어떤걸 말하나요?여러의견부탁드려요 13 하얀구름 2012/12/07 3,485
188849 진중권 판세 분석.JPG 6 투표하면 이.. 2012/12/07 2,975
188848 대전아줌마님 엑셀가계부 구합니다~ 4 .. 2012/12/07 1,020
188847 직장인분들,, 6개월간 칼퇴의 자유가 주어진다면 뭐하고 싶으세요.. 3 으쌰쌰 2012/12/07 858
188846 보라돌이맘님의 납작주물럭 레시피 찾아주세요! 4 요리 2012/12/07 1,684
188845 새누리당의 부정선거가 벌써 시작되었네요 5 정신 바짝 .. 2012/12/07 1,295
188844 朴·文, 2차 TV토론 어쩌나…대응전략 고심 9 세우실 2012/12/07 1,378
188843 가게주인이 제 겉옷을 만져보더라구요.. 6 코트 2012/12/07 4,299
188842 부산인데요 눈이 수제비처럼내려요 6 2012/12/07 1,782
188841 82수사대님들 그림 좀 찾아주셈 사노라면 2012/12/07 412
188840 목련꽃봉우리차 몇분 끓여야하나요?(대기중) 2 비염 2012/12/07 1,911
188839 연어로 회무침하려고 하는데요.. 7 송년회음식 2012/12/07 1,058
188838 시댁식구들을 이해할수 없다. 24 ... 2012/12/07 4,996
188837 잡뼈로만 국물내도 맛있나요? 6 ㅇㅇ 2012/12/07 1,634
188836 새누리, '안철수씨' 규정…"정치권력 위해 영혼 팔아&.. 6 세우실 2012/12/07 707
188835 빅마마 이혜정씨의 채소스프. 건강해지자... 2012/12/07 2,233
188834 결혼 기념일인데 홍대근처에 맛집 없을까요? 4 기정떡 2012/12/07 1,314
188833 한혜진 “CF 끊겨도 겁나지 않아요… 젊은 세대도 그날을 알아야.. 6 샬랄라 2012/12/07 2,984
188832 1월에 싱가폴 여행 다녀오신 분 계신가요? 3 여행 2012/12/07 16,489
188831 백만원 들여 집전체 방음매트를 깔아야할까요? 12 2012/12/07 9,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