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제민주화 공부-요게 핵심

학수고대 조회수 : 692
작성일 : 2012-10-24 17:08:09
지금 우리나라는 경제민주화 논의가 한창이다. 헌법에 나와 있기는 규정을 두고 벌이는 논쟁이다. 어째서 헌법규정에 비추어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어야할까?

많은 사람들은 법이라고 하면 판검사들이 관여하는 형법이나 민법을 주로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법은 헌법이다. 헌법은 한 국가의 가장 근본적인 원칙들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형법이나 민법을 포함한 모든 법률의 근거는 헌법이다.



지금 논란이 되는 경제관련 헌법규정들(제119조-127조)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추상적이고 불확정적인 개념들이 있기에 단순한 원칙에 불과할까? 아니면 법적 구속력을 가진 실효규정일까? 한번 자세히 살펴보자.

일반적인 규정인 119조은 ‘대한민국의 경제 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는 시장자율이라는 원칙규정 1항과, ‘국가는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라는 2항이 있다. 이 가운데 2항을 경제민주화규정이라 하며 지금 정치권에서 더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제민주화 규정만으로는 모든 정책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 더욱 근본적인 헌법 제37조 제2항이 정하는 기준이 있다. 목적이 정당하고 수단도 이에 맞추어 정당한 경우에만 기본권의 제한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목적이 정당하다고 하여 모든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우리 속담 중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운다.’라는 말이 있다. 무엇이든지 과하면 모자라는 것만 못하다.


(사진출처: 조세일보)


경제민주화 목적의 정당성은 시대적 상황에 있다. 빈부격차 확대,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로 인한 자영업자의 어려움, 그리고 대기업의 단가후려치기와 하도급의 문제점 등이다. 그러나 목적이 정당하다고 해도 실효성 있는 수단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현행제도는 경제력집중을 통해 재벌의 독과점적 위치를 보장해 주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경제민주화의 유형을 수단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자.


첫째, 사후적 책임 강조형이다. 자유를 원칙적으로 폭넓게 보장해주는 엄격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 강화된 처벌을 통해 대기업이 룰을 어기거나 법적 문제를 일으켰을 때 큰 부담을 지게 만드는 방식이다.

둘째, 좀 더 강력한 방법은 사전적 규제 강화형이다. 미리 엄격한 입법·행정적 규제 즉 출자총액규제와 순환출자의 금지, 기타 논란이 있는 재벌해체여부, 하도급권력남용의 문제를 미리 금지하고 감독하는 방식이다.

세번째로 절충형이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쓰는 것이다. 가장 강한 형태의 국가개입이므로 극단적 경제위기시에만 가능하다.


현재의 논의는 결국 하나다. 법을 어기는 개별행위에 대해서만 규제할 것인가, 아니면 근본적인 재벌구조개혁을 하여야 하는가의 문제다. 추상적인. 경제민주화논쟁보다는 실질적으로 어떤 수단이 더 국민을 위해 좋은 효과를 가져올 지 면밀히 검토되었으면 한다.

IP : 211.196.xxx.18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202 어머니 실비보험 4 조언 2012/10/30 954
    172201 安, 文과 정책 TV토론 제안 거부…왜? 15 .. 2012/10/30 6,151
    172200 애니팡 바꼈네요;; 3 애니팡 2012/10/30 3,207
    172199 중고등 책읽기 프로그램 있을까요? 3 .. 2012/10/30 1,054
    172198 없는 비밀대화록…KBS·MBC, “해석 엇갈렸다”며 왜곡 1 yjsdm 2012/10/30 940
    172197 소형가전제품 택배 사고 나보신분 계신가요? 1 아직은 2012/10/30 1,369
    172196 수시합격문의요. 8 m.m 2012/10/30 2,609
    172195 오일풀링 한번에 레진 떨어짐 4 ㅠㅠ 2012/10/30 9,811
    172194 올수리한 티는 몇년 가나요? 3 dma 2012/10/30 2,663
    172193 덜익은 쭈꾸미를 먹엇어요 2012/10/30 3,317
    172192 온열치료기 미건의료기나 세라젬 같은것 정말 효과있나요? 4 고민.. 2012/10/30 13,203
    172191 토익문제 한글버전으로 본다면? 1 토익시험만2.. 2012/10/30 1,279
    172190 대기업 생산직및 현장관리직 연봉 많다고 부러워했는데.. 2 // 2012/10/30 5,067
    172189 실파 빨리까는 요령이 있을까요...?ㅠ 9 파김치 2012/10/30 1,858
    172188 (급질) 돼지갈비찜에 무 넣어도 되나요? 가장 빨리 하는 방법은.. 1 .. 2012/10/30 2,653
    172187 기분 우울할때 어떻게 하시나요?? 1 sjy114.. 2012/10/30 1,375
    172186 연애가 힘들어지면 직장생활도 힘들어져요 1 ㄴㅁ 2012/10/30 1,453
    172185 상하지 않으면서 요기가 될 만한거 추천부탁드려요 3 요기 2012/10/30 1,437
    172184 병원 어디를 가봐야 할까요? 2 .. 2012/10/30 1,020
    172183 아는분 아드님이 수능 보는데 적절한 선물이 있을까요? 7 수능 2012/10/30 2,011
    172182 작은 정부로의 회귀는 불가능할까요? ㅠㅠ 2012/10/30 884
    172181 수능 앞둔 조카의 합격기원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2 합격 2012/10/30 1,441
    172180 ss501 멤버 박정민 11살 연상 연인 폭로 파문. 28 ... 2012/10/30 18,414
    172179 중학생 아이들 영어 어떻게 공부하고 있나요? 3 열혈맘 2012/10/30 2,122
    172178 투표일이 공휴일인 유일한 나라 9 우리나라 2012/10/30 2,230